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2016 SPRING

LIFE

IMAGE OF KOREA 마로니에 공원의 마술

여기는 서울 대학로의 ‘마로니에 공원’. 붉은 모자에 붉은 재킷을 입은 배우가 광장 한가운데서 공연을 벌인다. 마술사일까? 그의 주변으로 구경꾼들이 하나 둘 모여들기 시작한다. 거리의 축제. 이 거리에서는 매일 매 순간이 축제다. 그러나 이 축제의 겉모습을 한 꺼풀 벗기면 대한민국 근대사의 압축된 단면이 드러난다.
서울의 구시가 북동쪽. 아르코예술극장을 비롯하여 무수한 소극장들이 몰려 있는 거리. 지하철 4호선 혜화역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1.5 킬로미터에 달하는 대학로 주변은 국가에서 지정한 ‘문화지구’다. 이 지역은 낙산을 등지고 인근에 창경궁, 종묘, 창덕궁 등의 중요한 사적들이 위치한 유서 깊은 곳이다.
‘대학로’라는 거리 이름은 1946년 이곳에 처음으로 문을 열었던 이 나라 최초의 근대식 국립대학인 서울대학교에서 유래한 것이다. 나는 1961년 이 대학교 문리과 대학 불문과에 입학했다. 사진의 저 뒤쪽으로 보이는 붉은 건물 아르코극장 자리에는 고풍스런 베이지색 벽돌 건물 안에 중앙도서관과 수많은 교수 연구실들이 있었다. 나는 그곳에서 처음으로 카뮈의 <이방인>을 읽었다. 그 앞은 느티나무 숲. 라일락 향기 그윽한 잔디밭 사이 소로를 따라나오면 대학교의 정문. 우리들끼리 머나먼 파리를 상상하며 ‘센 강’이라고 불렀던 개천 위로 난 다리를 건너면 오늘의 대학로이다. 그리고 그 길 건너편에는 지금도 서울대학교 부속병원과 의과대학이 남아 있다.
1974년 가을, 내가 프랑스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최초 최후로 모교 학생들에게 강의를 했던 강의실도 여기였다. 1975년 서울대학교는 서울 남쪽 외곽의 넓은 새 캠퍼스로 옮아가고 이 지역은 젊음과 문화예술의 중심지로 변했다.
그뿐이 아니다. 서울대학교가 생기기 전 이 곳에는 일제가 1924년에 세운 경성제국대학교 법문학부가 있었다. 사진의 뒤쪽 숲을 이루는 두 그루의 거대한 나무는 1927년 경성제대 일본인 미학교수 우에노 나호테루가 프랑스에서 가져와 심은 마로니에다. 이 공원의 이름은 바로 거기서 온 것이다. 빨간 모자를 쓴 저 배우는 이 광장이 숨기고 있는 시간과 역사의 고고학적 마술을 알고 있을까?

김화영(Kim Hwa-young 金華榮) 문학평론가,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