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Arts & Culture

전 세계를 울린 가족 드라마

Arts & Culture 2025 SUMMER

전 세계를 울린 가족 드라마 방영 내내 국내외에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킨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 폭싹 속았수다 >는 제주도를 배경으로, 격동하는 한국 현대사를 관통하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한국적 정서가 물씬한 이 드라마는 국내를 넘어 세계 각국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 폭싹 속았수다 >는 제주도를 배경으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을 아우르며 주요 인물들의 삶을 조명하는 드라마다. 촬영지를 찾아 인증샷을 찍거나 드라마를 테마로 한 이벤트가 열리는 등 현재까지도 인기가 식지 않고 있다. ⓒ 넷플릭스 올해 3월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16부작 드라마 < 폭싹 속았수다 >는 한반도 남쪽에 자리한 아름다운 섬 제주를 배경으로 광례에서 애순을 거쳐 금명으로 이어지는 3대에 걸친 가족사를 그려냈다. 이 드라마는 전 회차를 한꺼번에 공개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4회씩 순차적으로 방영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그럼에도 첫 회부터 최종회까지 흡인력과 화제성을 잃지 않으며 시청자들을 몰입시켰다. 특히 OTT 플랫폼의 주 이용층인 20~30대뿐만 아니라 중장년층과 노년층 시청자들까지 불러들이면서, 그동안 젊은 세대의 전유물로 인식되었던 OTT 서비스의 장벽을 허물었다. < 폭싹 속았수다 >는 배우들의 압도적인 연기력을 비롯해 김원석 감독의 짜임새 있는 연출과 임상춘 작가의 탄탄한 극본이 삼박자를 이루며, 작품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근래 한국 드라마들 중 최고의 작품’이라는 극찬이 무색하지 않게, 지난 5월 열린 제61회 백상예술대상에서도 8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으며 최종적으로 작품상, 극본상 등 4관왕의 영예를 안았다. 그런가 하면 글로벌 평론 사이트 IMDb에서 9.2점, 로튼토마토에서는 토마토미터 100%의 평점을 받았다. 이는 역대 한국 드라마 중 가장 높은 점수다. 이 수치는 < 폭싹 속았수다 >가 국내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도 인정받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한국적 감성 < 폭싹 속았수다 >는 첫 회부터 한국인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얻었다. 바다 깊숙이 들어가 고된 물질을 하는 애순의 엄마 광례의 모습에서 저마다 자신의 어머니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드라마 초반부의 시대적 배경이었던 1960~70년대는 경제 발전이 최상의 과제였던 재건의 시기였다. 이 시대를 살았던 한국의 어머니들은 몸을 아끼지 않고 억척스럽게 일하며 자식만큼은 남부럽지 않게 키워내려 했다. 주인공 애순이 어린 시절 급장 선거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고도 가난하다는 이유로 부급장이 됐을 때 광례는 애순에게 “엄마가 가난하지, 네가 가난한 거 아니야. 쫄아붙지 마. 너는 푸지게 살아.”라고 위로했다. 그 말은 한국전쟁 이후 생존이 절실했던 대부분의 부모들이 자식들에게 가진 소망이었다. 광례는 딸에게 푸지게 살라고 했지만, 정작 자신은 거친 물질로 생계를 이어가다 겨우 스물아홉의 나이에 세상을 등졌다. 광례는 자신의 꿈이나 성공 같은 것은 사치에 불과했던 생존의 시대를 상징하는 인물이다. 열 살에 엄마를 잃고 생활력 없는 새아버지의 아이들을 돌보며 살아야 했던 애순의 삶도 모질기는 마찬가지였다. 애순에게는 지긋지긋한 섬을 떠나 대학도 가고 시인도 되는 꿈이 있었다. 하지만 현실은 소처럼 밭을 일궈 수확한 양배추를 시장에 내다 팔아 생계를 잇는 고된 삶만을 허락할 뿐이었다. 생존과 생계의 시대를 지나 부모 세대의 꿈을 현실화한 건 다음 세대이다. 애순의 딸 금명은 결국 애순이 그토록 바라던 섬을 떠나 최고의 대학에 들어갔다. 그리고 고군분투 끝에 인터넷 강의 회사를 차려 성공을 거두고, 엄마의 꿈이었던 시집 발간도 대신 이뤄준다. 금명의 성공 스토리는 매우 현실적으로 그려지는데, 행복과 불행이 끝없이 교차하는 복잡한 인생사를 통해 등장인물들이 느끼는 고통과 절망, 기쁨과 열망이 고스란히 전달된다. 시청자들이 온전히 감정을 이입할 수 있었던 이유다. 그래서 드라마가 공개된 후 오랜만에 펑펑 울었다는 시청 후기들이 쏟아져 나왔다. 보편적 테마 < 폭싹 속았수다 >는 지극히 한국적인 드라마다. 제주 방언을 그대로 사용한 제목에서부터 이미 드러나듯 지역적 정서가 깊게 밴 작품이다. 작품 제목인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 방언으로 ‘수고하셨습니다’라는 뜻이다. 사실 제주 방언은 타 지역의 한국인들에게도 매우 낯선데, 이 작품에는 한국인도 알아듣기 어려운 제주 사투리로 가득한 대사가 계속 이어진다. 여기에 더해 제주 지역의 토속적 문화, 여성들에게 버거웠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그리고 질풍노도 같았던 한국 현대사가 간접적으로 펼쳐진다. 18개 언어로 더빙되어 전 세계 시청자와 만난 이 드라마는 등장인물들의 감정선을 고스란히 전달하기 위해 번역과 더빙에 심혈을 기울였다. ⓒ 넷플릭스 그런 연유로 이 드라마가 넷플릭스에서 막 공개됐을 때만 해도 세계적 반향을 일으킬 거라고 예측하는 사람은 드물었다. 더욱이 자극적인 장르물들이 적지 않은 넷플릭스에서 따뜻한 가족 이야기가 과연 통할지 의문이었다. 하지만 결과는 놀라웠다. 방영 내내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뜨거운 반응들이 쏟아졌고, 넷플릭스 순위 집계에서도 비영어권 1위, 전체 3위를 기록했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권 대부분의 국가들은 물론이고 남미권에서도 열풍이 불었다. 브라질에서는 한 마트에서 마지막 회를 다 같이 모여 단체 관람하는 이색적인 풍경도 펼쳐졌다. SNS에서도 해외 팬들의 이른바 ‘나의 관식’ 인증 릴레이가 유행처럼 번졌다. 평생 가족을 위해 몸을 혹사해 무쇠 같던 몸이 어느새 닳아버린 남자 주인공 관식은 당대를 살았던 한국 아버지들의 전형적 모습이다. 그런가 하면 아내 애순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는 순정의 캐릭터이기도 하다. 이 캐릭터에 몰입한 팬들은 ‘당신의 아빠가 당신의 관식일 때’라는 제목으로 아빠와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거나 커플 사진에 “나는 나만의 관식이랑 결혼할 것입니다.”라는 글귀를 붙였다. “나는 이미 나만의 관식과 살고 있다”며 다정해 보이는 부부의 사진을 올린 경우도 있었다. 가족을 위해 헌신한 관식의 삶에 대한 감동을 릴레이 인증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사례들은 결국 국가, 언어, 문화가 달라도 ‘가족’이라는 보편적 테마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것이 가장 한국적인 드라마가 세계인들의 ‘인생 드라마’가 될 수 있었던 비결이다. 한국형 가족 서사의 가능성 근대화 과정에서 남다른 가족주의 시대를 거쳐온 한국인들에게 가족 서사는 오랜 전통을 지닌 소재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 1인 가구가 전체의 30%에 다다르게 된 한국은 가족보다는 개인의 삶을 더 중시하는 풍조로 변화했다. 이러한 사회상은 드라마에도 반영되어, 가족 드라마보다는 멜로물이나 장르물이 한국 드라마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올랐다. 특히 넷플릭스 같은 글로벌 OTT의 등장 이후 보다 보편적인 서사에 무게중심이 쏠리면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릴러 같은 장르물이 더 많이 쏟아졌다. 그런 점에서 < 폭싹 속았수다 >는 최근 흐름에서 빗겨나 있는 작품이다. 이 드라마는 젊은 날의 꿈과 좌절, 가족 간 갈등과 화해, 예상치 못한 이별 등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인 이야기들을 그려내며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했다. ⓒ 넷플릭스 문화적 할인(cultural discount)은 한 문화권의 문화 상품이 다른 문화권으로 진입할 때 언어, 관습, 종교 등 문화적 차이 때문에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하지만 SNS와 유튜브가 공유되면서 문화적 할인은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다. 글로벌 시청자들이 한국 드라마를 함께 보며 감동의 눈물을 흘리는 이색적인 풍경은 문화적 장벽이 점차 무너지고 있음을 뜻한다. 이는 곧 차별화된 로컬 문화를 깊이 있게 담아내는 콘텐츠가 글로벌 성취의 관건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취향과 관심사가 다원화된 시대에 전 세계 모든 대중들이 열광하는 콘텐츠를 만드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하지만 < 폭싹 속았수다 >의 이례적 성취는 가족 서사가 한국 콘텐츠 산업에서 중요한 매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준다.

보이지 않는 것을 그려내다

Arts & Culture 2025 SUMMER

보이지 않는 것을 그려내다 구정아는 일상의 평범한 재료들을 깊은 감각적 경험으로 탈바꿈시킨다. 전통적인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작품을 통해, 존재와 부재의 경계를 탐색하고 예술이 공간 및 공동체와 관계를 맺는 방식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2024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에서 열린 전시 전경. 구정아의 세계관이 담긴 검은 형상의 작품 우스(OUSSS)가 2분에 한 번씩 입으로 향을 내뿜는다. Courtesy of Pilar Corrias, London, and PKM Gallery, Seoul, Photo Mark Blower. “그저 평범한 것은 없다.” 이것은 구정아 작가의 핵심적인 예술 철학이다. 일상을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접근하며,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요소들을 천천히 관찰하면 깊은 연결성을 발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의식의 가장자리를 맴도는 듯한 그녀의 작업은 ‘부재’를 ‘존재’만큼 중시하는 한국 전통 미학과도 맞닿아 있다. 수묵산수화나 사찰 건축에서도 살펴볼 수 있는 원리다. 구정아는 빛, 공간, 향 등의 요소를 조용히 녹여내 인위적인 경계를 허물어 낸다. 평범함의 오케스트레이션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난 구정아는 경제학자인 아버지를 통해 가치와 교환의 개념을, 전업주부였던 어머니를 통해 일상 공간에 깃든 감성을 배웠다. 파리 에콜 데 보자르에서 유학한 후, 서구 중심적 예술 담론을 넘어 한국 작가들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시작하던 전환기에 예술계에 등장했다. 그녀가 주목받게 된 1996년 작품 은 파리의 한 아파트에 좀약을 전략적으로 배치한 설치 작품이었다. 관람객은 시각적으로 작품을 인지하기 전에, 먼저 할머니의 장롱을 연상케 하는 특유의 향을 통해 작품을 조우하게 된다. 같은 해 발표한 에서는 아스피린 가루에 푸른 빛을 비추어 미니어처 산봉우리와 계곡으로 변신시켰다. 이처럼 일상을 사유의 대상으로 전환하는 감각은 이후 구정아의 작업에서 대표적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초기 실험을 통해 구정아는 자신만의 고유한 예술 언어를 확립했다.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는 찰나의 요소들을 활용해 공간을 살아나게 한다. 서구 미술에서 나타나는 시각 중심적 접근법에 도전하며, 미(美)가 명확함에서 비롯되기보다 예측 불가능한 구성 속에서 맺어지는 관계를 통해 드러나는 것임을 보여준다. 그녀의 작업은 감각의 재조정을 유도하는 경험을 만들어 내며, 일상적인 재료와 순간들 속에 깃든 특별한 가능성을 발견하게 만든다. 많은 현대 미술가들이 규모와 기술적 완성도로 관객을 압도하는 반면, 구정아의 의도적으로 절제된 미학은 빠르게 소비되는 오늘날의 시각문화 속에서 좀처럼 경험하기 어려운, 사색적인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 그녀의 독창적인 예술 언어는 많은 미술관의 주목을 받았고, 2002년 구겐하임 미술관의 휴고 보스 상 최종 후보까지 올랐다. 같은 해 열린 전시 <3355>에서 그녀는 빈 제체시온 갤러리 안에 24시간 머물며 수백 개의 담배를 꼼꼼하게 쌓아 올렸다. 담배꽁초, 비닐 포장지, 개인 물건 등 그녀가 남긴 자취들은 차가운 흰 벽과 인간의 존재가 충돌하는 묘한 긴장감을 만들어 냈다. 뉴욕 이봉 랑베르 갤러리에서도 비슷한 맥락의 작업이 이어졌다. 텅 빈 듯한 공간 안에 미니어처 기념비처럼 정리된 동전 더미, 거의 느끼지 못할 속도로 회전하는 흰 원통, 불규칙하게 빛을 흩트리는 유리 결정들이 숨겨져 있었다. 이처럼 섬세한 작업들은 훗날 그녀가 빛과 물질을 정교하게 다루며 공공 공간을 변화시킨, 보다 대담한 작업들의 출발점이 되었다. ‘OUSSS’와 조명 구정아는 1998년부터 ‘Ousss’라는 개념을 탐구해 왔다. 그녀의 표현에 의하면 “장소이면서 장소가 아닌 곳, 세계이면서 세계가 아닌 곳, 인간이면서 인간이 아닌 존재”이다. 이 신조어는 그녀의 설치 작업, 드로잉, 텍스트 속에서 ‘Oussser’, ‘Ousssology’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어 왔다. 2007년에는 카리브 철학자 에두아르 글리상과 『Flammariousss』를 출간했는데, 표정 없는 여러 인물들을 통해 Ousss의 본질을 해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Ousss는 2017년 아트선재센터 개인전 에서 다시 한번 진화했다. 이 전시에서는 와 라는 제목의 흑백 3D 애니메이션이 공개되었는데, 태아를 연상시키는 존재들이 우주를 유영하듯 헤엄치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후 함께 전시된 2010년 작 < Dr. Vogt > 시리즈는 형광 핑크빛 조명이 비추는 바닥 위에 파란색 펜으로 그린 드로잉이 걸려 있는 작품이다. 관람객을 낯선 시각적·지각적 세계로 안내하며, 단순화된 캐릭터의 움직임과 외딴섬의 풍경이 몽환적이고 독창적인 서사를 만들어 낸다. 2020년 PKM 갤러리에서 열린 < 2020 > 전시 전경. 이 전시에서 선보인 인광 회화 시리즈 < 7개의 별들(Seven Stars) >은 조명이 사라지는 순간 우주를 유영하는 듯한 3차원 공간을 연출한다. 화이트 큐브라는 제한된 공간 너머 낯선 세계를 감각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Courtesy of the artist & PKM Gallery 한편 2020년 서울 PKM 갤러리에서 선보인 <7개의 별들(Seven Stars)> 시리즈는 구정아가 현실 자체의 본질을 탐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시장 조명 아래서는 흰 캔버스로 보이지만, 불을 끄는 순간 형광빛을 내는 초록색 별자리 패턴이 드러난다. 고정된 한순간이 아니라 다양한 시간의 변화 속에서 경험해 봐야 하는 작품이다. “별이 보이지 않는 낮에도 별은 존재하는 것일까?”라는 존재와 부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한국 철학은 오래전부터 존재와 부재의 상호보완적 관계에 주목해 왔으며, 이러한 개념은 의도적인 빈 공간을 통해 주변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여백’이라는 미학의 원칙으로 표현되고 있다. 2020년 부산비엔날레 참여 이후, 구정아는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 김혜순에게 예술적 영감을 받아 <7개의 별들> 시리즈를 발전시켰다. 김혜순의 추상적 은유들은 구정아의 표현에 의하면 “낯선 경험”을 더했고, 그녀의 작업에 새로운 영감을 불어넣었다. 이러한 학제 간 교류는 구정아가 시각 예술의 경계를 넘어 끊임없이 작업의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 Density >. Koo Jeong A. 2023. Polyamide, paint, wood, magnetic levitation device. 126.3 × 43.6 × 60.8 ㎝. 2023년 PKM 갤러리에서 열린 < 공중부양(Levitation) >전의 한 축을 이루는 작품 < Density >. 중력을 거스르며 부유하는 이 조각 작품은 관람객들에게 압도적인 시각적 경험을 제공했다. Courtesy of the artist & PKM Gallery 공공미술, 변화를 이끄는 촉매 구정아의 혁신적인 시선을 가장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작품은 아마도 야광 스케이트 보드장일 것이다. 낮에는 평범한 콘크리트 구조물처럼 보이지만, 밤이 되면 빛을 내며 신비로운 풍경으로 바뀐다. 2008년 프랑스 외곽에 설치된 첫 번째 프로젝트 < ORTO >는 곡선형 콘크리트 구덩이와 경사로가 자연 지형에 일부 묻힌 형태로, 원래의 수평선을 보존하면서도 지역 주민들을 위한 실용적인 공간을 만들어 냈다. 그녀는 2015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이 작업은 망자를 빛으로 감싸는 일과 같다.” 고 설명했다. 한국의 장례 문화에서 빛은 ‘끝’이 아닌 ‘이행’을 상징함을 떠올리게 한다. 존재와 부재의 순환에 대한 전통적 지혜를 현대적으로 담아낸 시적인 해석을 통해, 새로운 여가 공간이 탄생하게 되었다. 리버풀의 에버튼 파크 설치 작업은 그녀의 작업이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촉매제가 될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 청소년들과 스케이트보더 커뮤니티와의 방대한 협업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약 3미터 깊이의 구덩이를 갖춘 영국 내 최대 규모 스케이트 보드장 중 하나가 완성되면서 한때 소외되었던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기억 구정아의 예술은 감각의 경계를 넘나든다. 특히 후각에 대한 탐구는 기억의 연결망을 탐색하는 데 완벽한 매개가 되었다. 뇌과학 연구에 의하면, 후각은 의식적인 사고를 거치지 않고 감정과 연결된 뇌 영역에 직접 작용한다. 냄새를 하나의 예술적 소재로 삼으려는 구정아의 관심은 이러한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2016년 작 는 동굴 같은 공간 안에 퍼지는 침향의 복합적인 향을 통해 잊힌 과거의 여행객들을 떠올리게 함으로써, 폐쇄된 런던 지하철 플랫폼을 새로운 공간으로 바꾸어 놓았다. 2024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에서 열린 < 구정아 – 오도라마 시티 > 전시 전경. 향을 주제로 한 이 전시는 후각과 시각의 공감각을 통해 감각적 경험의 확장을 제시했다. Courtesy of Pilar Corrias, London, and PKM Gallery, Seoul, Photo Mark Blower. 이러한 실험들은 2024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을 위해 제작된 에서 완성된다. 집단적 기억을 탐구한 구정아의 프로젝트 중 최대 규모이다. 한국적 정체성을 하나의 서사로 규정하기보다는 한국인, 이민자, 입양인, 외국 방문객, 탈북민 등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기억하는 향에 대한 개인적인 이야기를 600건 이상 담았다. 국내 향수 브랜드 논픽션(NONFICTION)과 협업하여 이 이야기들을 17가지 향으로 개발해 한국의 ‘향기 풍경’을 만들어 냈다. 미니멀한 전시관 공간 한가운데에는 뫼비우스의 띠 형태로 만든 나무 벤치가 놓였다. 관람객들은 그곳에 앉아 할머니의 집, 밤공기, 목욕탕의 냄새를 떠올리게 하는 향을 맡으며 작품에 빠져들었고, 비어 있는 듯했던 공간은 어느새 모두가 공유하는 문화적 기억이라는 보이지 않는 차원으로 바뀌었다. 경계를 넘어서 구정아는 국가 정체성이라는 틀 안에 갇혀 있기보다는, 물질성과 인식에 대한 폭넓은 담론을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해왔다. 그녀가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고유한 미학적 전통과의 연결성을 유지하면서도 특정 문화에 고정되지 않는 초월적인 경험을 만들어 냈기 때문이다. “한반도의 초상을 그리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갖고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지식에서 향기 풍경을 충분히 만들어 낼 수 있었어요.” 그녀는 『아트리뷰(ArtReview)』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작업을 통해 국가 간 분열을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연대’와 ‘함께함’에 대해 말하고 싶었어요.” 국가 분단이라는 가슴 아픈 현실 속에 살아가는 대한민국에서 구정아의 방식은 경직된 정치적 경계를 넘어서는 강력한 대안을 제시한다. 그녀의 작업은 정체성과 소속이라는 복잡한 문제들을 예술적으로 탐색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2024년 말 가 서울 아르코미술관에 소개되었을 때, 구정아는 전시장 곳곳에 아이보리 색 배너를 설치하고 개인적 서사에서 발췌한 문장들을 담았다. 집단적 기억을 시각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향수를 자극하는 기억의 조각들을 지리적·정치적 분열을 넘어선 공동의 경험에 대한 깊은 사유로 전환시켰다. 이러한 방식은 참여미술이 전통적인 작가성에 질문을 던지고 있는 현대 미술의 흐름과도 맞닿아 있다. 서울 아르코미술관에서 2024년 12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열렸던 제60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귀국전 < 구정아 - 오도라마 시티 > 설치 전경. 아르코미술관 제공, 사진 고정균 또한 구정아의 접근법은 유럽과 미국 미술관들이 비(非)서구 작가를 바라보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전 세대의 한국 작가들이 종종 국가 정체성이라는 틀 속에서 해석되었다면, 그녀의 작업은 개념적 깊이와 감각적 경험 자체에 기반해 평가받고 있다. 최근 프로젝트에서는 과학적·철학적 탐구에 대한 더욱 깊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서울 PKM 갤러리에서 열린 개인전 에서는 중력, 변성암, 물리 세계의 근원적인 힘 등을 주제로 삼았다. 88, 518, 625, 911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숫자를 제목으로 붙인 마그넷 조각 작품을 통해, 집단적 기억을 나타내는 이러한 숫자들이 물리적 배열에 따라 어떻게 재구성될 수 있는지 관객들로 하여금 생각하게 했다. 구정아는 이탈리아의 이론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를 자주 인용한다. 로벨리는 양자중력 연구와 ‘시간’과 ‘실재’의 본질에 대한 대중적인 책들로 유명한 인물이다. 그녀는 한 인터뷰에서 로벨리의 말을 인용하며 이렇게 말했다. “언제나 관계가 먼저입니다. 우주는 존재의 상태에서 관계의 구조로 변화했습니다.” 그녀는 현재 하우스 데어 쿤스트 뮌헨(2025), 아스펜 뮤지엄(2026), 리움 미술관(2026) 전시를 준비 중이며, 그녀의 작품에서는 여전히 에두아르 글리상(Édouard Glissant)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특히 글리상이 말한 ‘관계의 시(poetry of relations)’, 즉 투명성과 보편성을 지양하고 불투명성과 다양성을 지향하는 세계관을 담고 있다. 구정아의 작업은 미(美)가 명확함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예측 불가능한 구성 속에서 역동적으로 맺어지는 관계 속에서 탄생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조경가 정영선, 모두를 존중하는 조경

Arts & Culture 2025 SUMMER

조경가 정영선, 모두를 존중하는 조경 한국의 1세대 조경가 정영선(Jung Young-sun)은 서구에서 시작된 조경이란 개념을 한국의 땅과 기후, 그리고 한국인의 삶의 방식에 맞게 정착시킨 인물이다. 그녀의 대표작들은 자연과 인간, 장소와 시간이 서로를 존중하며 공존하는 풍경을 그려낸다. 그녀는 조경을 아름다움을 설계하는 기술이 아니라 모두의 삶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실천으로 여기며, 그 실천은 언제나 조심스럽고 겸허한 태도에서 출발한다. 원다르마센터는 원불교가 미국 포교 활동을 위해 뉴욕에 건립한 시설이다. 건축물과 경관이 하나의 유기체로 어우러지며 상생의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광활한 대지의 기존 질서를 그대로 존중해 설계되었다. 원다르마센터 제공 정영선과 그녀의 작품 세계를 조명한 다큐멘터리 (2024)에서 ‘조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는 ‘국토’이다. 그녀가 말하는 국토는 지정학적 범주나 경제적 개념이 아니다. 그녀는 국토를 시간과 기억, 생명과 감각이 중첩된 살아 있는 풍경으로 이해한다. 그래서 그녀의 작업은 언제나 장소의 맥락을 읽는 것에서 출발하며, 이는 곧 국토를 구성하는 각각의 장소들이 지닌 고유성과 관계성을 회복하려는 시도로 이어진다. 1941년생인 정영선은 한국의 1세대 조경가이다. 그녀는 50여 년의 조경 인생 동안 우리 땅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자생종의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 하퍼스 바자 > 코리아 제공, 사진 표기식 정다운(Jung Dawoon) 감독의 다큐멘터리 < 땅에 쓰는 시 >의 한 장면. 선유도공원은 산업 시설물이었던 정수장을 다양한 공간적 체험이 가능한 장소로 탈바꿈시킨 사례이다. © 영화사 기린그림(Giraffe Pictures) 국토에 대한 인식 정영선에게 국토는 채워야 할 공간이 아니라, 비우고 들여다봐야 할 장소다. 그녀는 무분별한 도시화와 균질화된 개발이 국토의 고유한 풍경을 지우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맞서 그녀는 조경을 통해 국토의 본래 결을 되살리고, 그 안에 스며 있는 역사와 생태, 사람의 흔적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다가간다. 서울식물원은 이러한 태도가 가장 선명하게 드러난 사례 중 하나다. 이 프로젝트에서 그녀는 기존의 습지와 수로, 버드나무 숲을 존중하며 인공적인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연의 흐름을 따라 정원을 구성했다. 관람객은 정형화된 식재가 아닌, 물과 식물이 어우러진 생태적 흐름을 경험하면서 국토의 원형을 감각적으로 체험하게 된다. 서울식물원은 다양한 식물 종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는 한편 이곳을 찾는 이들에게 도시의 일상적 공간에서 벗어나 어딘가 다른 곳으로 들어온 듯한 느낌을 주도록 만들어졌다. 조경설계 서안(SeoAhn Total Landscape) 제공 이와 더불어 여의도샛강생태공원에도 정영선의 국토 인식이 스며 있다. 정치와 경제의 중심지인 여의도에는 초고층 빌딩숲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회적 풍경과는 대조적으로 여의도 가장자리를 따라 흐르는 샛강 일대는 한때 콘크리트 제방에 갇혀 방치된 수로였으며, 생태적으로는 죽어 있는 공간에 가까웠다. 그녀는 이곳을 녹지 공간으로 만드는 데에서 나아가 본래의 자연성이 되살아날 수 있도록 도시와 생태 사이의 관계를 회복시키는 방식을 택했다. 기존의 인공 구조물을 걷어내고, 샛강의 수질 정화와 호안 조성을 통해 강과 습지가 스스로 기능할 수 있도록 조성했다. 생태적 복원뿐 아니라 사람들의 접근성도 중요하게 여겼다. 행인들이 무심코 지나치던 둑길과 철로 주변을 걸으며 산책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고, 야생 식물과 조류가 살아 숨 쉬는 곳에 인간의 감각이 다시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 통로를 열었다. 이는 그간 잊혔던 국토성과 자연성이 어떻게 되살아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런가 하면 정영선은 국토를 감각과 경험의 장으로도 인식한다. 그녀는 땅을 걷고, 만지고, 냄새 맡고, 들을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총체적 감각으로 국토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조경은 이러한 감각을 다시 연결하는 실천이며, 국토는 그러한 감각의 무대가 된다. 감각의 회복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옥상 정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녀는 문화 시설의 옥상이라는 비일상적 조건에서도 땅과 하늘, 바람과 식물, 사람의 움직임이 얽히는 생생한 풍경을 조성하고자 했다. 방문자들은 옥상 위에 펼쳐진 ‘대지’를 걸으며, 이곳이 위치한 광주라는 도시의 역사성과 자연의 숨결을 감각적으로 체험한다. 이는 단순히 흙이 깔리고 한국 고유의 수종이 식재된 정원이 아닌, 국토적 풍경의 수직적 확장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정영선이 말하는 국토는 ‘국가의 땅’이 아니라 삶과 시간, 감각과 기억이 쌓인 우리의 자화상이다. 그녀는 조경가의 역할을 단지 땅 위에 ‘무언가를 만드는 일’이 아니라, 이미 그곳에 존재하던 것들을 다시 보이게 하고, 다시 살아나게 하는 일로 파악한다. 국토는 그녀에게 있어 언제나 ‘다시 읽어야 할 시’이며, 조경은 그 시를 낭독하는 또 하나의 언어다.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은 빌딩 숲 사이에서 숲과 습지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조류학, 곤충학, 어류학, 식물학 등 각계의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받아 한강 변에서 가장 생태적인 공간으로 거듭났다. © 서울관광재단 공공성과 정치성 정영선은 조경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 공공의 장소’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화려하고 기념비적인 공간이 아니라 걷고, 쉬고, 머물 수 있는 공간 말이다. 그녀는 그것이 조경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말한다. 특히 그녀는 조경의 ‘정치성’에 주목한다. 즉, 조경은 사회의 구조와 권력의 흐름, 일상의 불균형을 드러내고 조율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녀의 프로젝트에서는 언제나 사용자의 관점이 중심이 된다. 벤치 하나, 나무 하나, 길 하나까지도 누구를 위한 것이며, 어떻게 쓰일 것인지를 끊임없이 되묻는다. 특히 공공 프로젝트에서 이런 태도가 더 두드러진다. 특정한 계층의 미감을 위해 공간을 계획하기보다 누구나 평등하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정영선은 조경을 공공성과 가장 깊이 맞닿아 있는 디자인 영역으로 본다. 그녀의 설계는 늘 사용자에 대한 세심한 상상에서 출발한다. 누구나 앉을 수 있고, 누구나 지날 수 있으며, 누구나 머무를 수 있는 장소. 그는 “조경은 삶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공간”이라 말한다.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조경, 누구에게도 편파적이지 않은 조경 말이다. 이러한 철학은 서울 곳곳의 공공 프로젝트에서 구현되어 왔다. 그녀는 아름다운 경관을 조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조경이 도시 속에서 어떻게 권력과 시선을 분산시키고, 사람과 사람 사이를 연결하며, 사회적 대화를 가능케 하는지를 고민한다. 조경을 사회를 조율하는 하나의 장치로 다루는 것이다. 정영선의 작업이 조용하면서도 깊은 울림을 주는 이유는 그 안에 기술을 넘어선 태도와 철학이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조경은 그녀의 손에서 ‘풍경을 디자인하는 일’이 아니라, ‘삶을 위한 여백을 마련하는 일’로 확장된다. 복합 문화 시설인 예술의전당 설계를 위한 모형. 1980년대에는 경제 성장에 따른 생활 방식의 변화로 다양한 문화 기관과 레저 시설이 계획됐다. 특히 예술의전당은 여가 활동을 위한 장소를 조성하는 데 있어서 조경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한국적 조경 정영선의 작업에는 늘 묵직한 질문이 깔려 있다. “조경이란 무엇인가, 한국에서 조경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해야 하는가.” 그녀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자신의 작업 속에서, 그리고 자연과 사람을 대하는 태도 속에서 풀어내고자 노력해 왔다. 그녀의 철학은 2023년 세계조경가협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Landscape Architects, IFLA)로부터 제프리 젤리코 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주최 측은 선정 이유에서 “서양에서 유래한 조경의 낯선 개념을 한국적 토양과 경관에 맞게 해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정영선이 보여준 조경적 감각이 단지 지역적 특색을 덧붙이는 토속주의가 아니라, 장소의 본질과 관계를 섬세하게 짚어내는 방식으로 조경의 세계적 언어를 갱신한 것임을 의미한다. 삼성문화재단이 운영하는 호암미술관의 전통 정원 희원은 정영선이 전통적 요소를 본격적으로 구사하게 된 전환점이었다. 화계, 연못, 담장, 정자 등의 건축적 요소와 더불어 한국 전통 정원의 미의식이 곳곳에 구현되었다. © 호암미술관 그녀는 ‘한국적 조경’에 대해서 “조경은 주변 경관과 어우러져야 한다”고 자주 언급한다. 건물, 나무, 물길, 동선 등 각각의 요소들은 그 자체로 목적을 갖기보다는 근경, 중경, 원경으로 이어지는 시선의 흐름과 관계 속에서 비로소 의미를 갖는다는 뜻이다. 이때 그녀가 중시하는 개념이 바로 차경(借景)이다. 차경은 말 그대로 외부 자연 경관을 정원의 일부처럼 끌어들이는 전통적인 조경 기법이지만, 정영선에게 그것은 단순한 시각적 수법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태도, 자연을 향한 겸허한 시선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정영선의 조경은 흔히 말하는 ‘전통 재현’과는 다르다. 그는 전통의 형태나 상징을 복원하려 하지 않는다. 오히려 과거 한국인의 경관 인식과 자연관, 삶의 태도를 오늘의 언어로 다시 구성한다. 그녀가 받은 제프리 젤리코 상은 단지 한 개인의 성취를 기리는 것이 아니다. 조경이라는 서양 중심의 공간 개념이, 한국의 경관과 철학 속에서 어떻게 다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지를 세계에 보여준 결과였다. 정영선은 자신의 설계가 “자연이 말할 수 있도록 조율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그녀의 작업은 언제나 눈에 띄지 않지만, 자연이 항상 드러난다. 그녀의 작업은 땅을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자연과 다시 관계 맺을 수 있도록 장면을 마련하는 일이다. 그녀는 그렇게, 오늘날의 땅 위에 담 너머 풍경의 조용한 아름다움을 다시 불러온다. 제주도에 위치한 오설록 티뮤지엄은 아모레퍼시픽이 차 문화를 소개하고 확산하기 위해 건립한 박물관이다. 정영선은 건축물 주변으로 제주의 차밭과 자연이 서로 어우러질 수 있도록 정원을 조성했다. © 김용관(Kim Yong-kwan)

과거에서 온 현재의 인형들

Arts & Culture 2025 SUMMER

과거에서 온 현재의 인형들 연희공방 음마갱깽은 오랜 역사를 지닌 한국 전통 인형극을 계승하는 동시에 현대적 요소를 도입해 전통 인형극을 확장하고 대중화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또한 기존 인형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과 움직임이 가능한 인형을 개발하고 있다. 흔히 꼭두각시놀음으로 불리는 덜미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전통 인형극이다. 남사당놀이 이수자이자 전통 연희 집단 음마갱깽 대표인 음대진은 인형 제작과 극 창작 및 연출을 통해 전통 인형극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서양에 마리오네트극, 일본에 분라쿠가 있듯이 한국에는 꼭두각시놀음이 있다. 전통 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음은 남사당놀이의 일부이다. 남사당놀이는 40여 명의 남성들로 구성된 유랑 극단 남사당패가 선보였던 전통 민속 공연이다. 풍물과 버나(대접돌리기)를 비롯해 현대의 텀블링과 비슷한 살판,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이), 덜미 등 총 여섯 마당으로 구성된다. 덜미가 바로 꼭두각시놀음인데, 연희자들은 꼭두각시놀음이라는 용어 대신 보통 덜미라고 부른다. 인형의 목덜미를 잡고 조종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꼭두각시놀음은 주요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서 박첨지놀음이나 홍동지놀음이라고도 불린다. 이 인형극은 음악, 춤, 곡예와 같은 기교 외에도 사회적 메시지를 던진다는 점에서 여전히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인형극의 등장인물들은 양반 주인과 저항하는 하인, 늙은 부부와 남편의 첩, 속세의 쾌락에 빠져버린 승려, 끝없는 억압과 착취로 고통받는 민중 등 각기 다른 사회 계층의 전형적인 인물을 대표한다. 극은 단지 이야기의 재미만 주는 것이 아니라, 신분제에 갇힌 남성 중심 사회에서 살아가는 여성의 삶을 풍자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성평등과 인간 존중의 이상을 보여 주기도 한다. 사회상 반영 꼭두각시놀음은 포장막을 치고 사방에 네 개의 기둥을 세워 공중무대를 만든 다음 인형 조종자인 대잡이가 포장 안에 들어앉아 인형이 달린 막대기를 잡고 움직인다. 인형들은 상반신만 포장 위로 올라와 관객들과 마주한다. 대잡이가 막 안에 들어가면 관객들의 표정을 볼 수 없기 때문에 무대 앞에 앉은 산받이가 내뱉는 소리를 통해 객석의 분위기를 파악한다. 산받이는 인형과 대화를 나누는 사람을 가리키는데, 대개 악사(樂士) 중에서 이 역할을 맡는다. 대잡이와 산받이가 재담을 주고받으며 1시간 남짓 극을 끌어간다. 이들이 중간중간 관객에게 말을 걸기 때문에 꼭두각시놀음은 무대와 관객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형태를 띤다. 창작극 < 절 대목 >의 한 장면. 전통 연희와 전통 건축이 어우러진 이 작품은 절을 짓고 부수는 과정을 통해 인간의 욕망과 번뇌, 깨달음을 그리고 있다. © 음마갱깽 고려 시대의 문신이자 시인인 이규보(1168~1241)가 쓴 「관농환유작(觀弄幻有作)」은 꼭두각시놀음을 본 후 감상을 시로 남긴 작품이다. 꼭두각시놀음의 극본이 언제 처음 만들어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 시를 통해 고려 시대에도 극본이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꼭두각시놀음의 내용은 채록본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보통 7~10막으로 구성된다. 주인공 박첨지의 일대기가 펼쳐지면서 서민들의 애환과 어지러운 세상에 대한 풍자, 종교를 뛰어넘는 구원 등이 묘사된다. 꼭두각시놀음은 일제강점기에 명맥이 끊어질 뻔했으나 1964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1988년에는 남사당놀이의 나머지 다섯 종목도 추가 지정되었다. 그리고 2009년 남사당놀이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 새로운 시도 연희공방(演戱工房) 음마갱깽은 남사당놀이의 덜미 인형을 직접 제작해서 가장 활발하게 공연하는 단체로 꼽힌다. ‘음마(音摩)’는 소리를 어루만져 음악을 만든다는 뜻이고, ‘갱깽’은 대장간에서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이다. 이들은 기존 덜미 인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표현과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개발해 현대에 맞는 전통 인형극을 보여 준다. 음마갱깽은 2016년 연희자이자 인형 제작자인 음대진(Eum Dae-jin 陰大眞)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출신 7명이 모여 창단했다. 현재 인형 제작 및 예술감독, 기획자, 작곡가, 디자이너, 연희자 등 총 18명이 활동 중이다. 음마갱깽 작업실 한쪽에 놓인 덜미 인형들. 덜미 인형은 하반신과 팔꿈치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인형을 어떻게 잡고 조종하느냐에 따라 살아 있는 듯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저희는 덜미 인형극 단체인 만큼 처음부터 창작극에도 전통적 요소를 꼭 넣자는 원칙을 정했어요. 대잡이와 산받이, 그리고 관객의 구도 안에서 전통 인형극의 요소가 하나라도 나오게 합니다. 마리오네트극에 덜미 하나, 테이블 인형극에 산받이를 넣는 식이죠.” 음마갱깽 대표 음대진은 남사당놀이 이수자이다. 그는 덜미 인형뿐 아니라 마리오네트라고 불리는 끈인형, 손을 인형 안에 넣어서 연기하는 손인형 등 다양한 형태의 인형을 제작해 개성 있는 오브제극을 보여 주고 있다. 이를 위해 그는 미국, 러시아,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각지의 인형 전문가들을 찾아가 배웠다고 한다. 그는 꼭두각시극에 나오는 절을 짓고 허무는 장면을 만들기 위해 전통 건축인 대목(大木) 이수 과정을 수료하고, 실제로 절 짓는 현장에 들어가서 상세히 배우기도 했다. 이를 토대로 2023년 무대에 올린 창작극 은 세간의 호평과 함께 극단이 크게 발돋움하는 계기가 됐다. “덜미 인형은 팔꿈치와 하반신이 없는 게 특징인데, 대잡이에 따라 여러 동작이 가능합니다. 음악을 타며 춤 동작을 할 때면 투박하지만 고유한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덜미는 대사 외에도 즉흥적인 재담을 통해서 극을 이끌어 가다 보니 관객의 몰입도가 매우 높다. “공연을 하다 보면 인형에 사람의 감정이 투사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관객 입장에서 앞에 막이 드리워지고 인형만 나와 있는 상태에 놓이면 인형에 신경이 집중되죠. 또 인형과 인형을 조종하는 사람이 노출돼 있는 경우에도 인형의 동선에 따라 관객의 감정이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인형극임에도 눈물을 흘리는 관객분들도 많습니다.” 그는 사람이 보여줄 수 없는 환상을 불러일으키는 게 인형극의 가장 큰 매력이라고 말한다. 음대진 대표가 덜미 인형을 제작하기 위해 도면 작업을 하고 있다. 인형은 성별과 성격에 따라 디자인이 다른데, 그는 주로 관상 책을 참고해 캐릭터의 특징을 담는다. 해외 관객들의 반응 음마갱깽을 세상에 제대로 알린 것은 2020년 황해도 장연(長淵) 지역에서 전승되던 인형극을 재현한 공연이었다. 장연 꼭두각시극에 사용되었던 전통 인형들을 복원해 제작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시대 변화에 따른 현대화를 모색했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다. 이 공연은 음마갱깽의 고정 레퍼토리로 자리 잡아 매년 무대에 올리고 있다. “황해도 장연 꼭두각시놀음의 경우 대본 채록본이 남아 있었어요. 대본에 나와 있는 6점의 덜미 도판을 토대로 29개 인형을 재현했습니다.” 인형극은 대본이 먼저 나오기도 하지만, 인형을 먼저 만들고 이야기를 풀어가기도 한다. 그때는 인형의 성별, 성격, 특징에 따라 디자인을 하는데 주로 관상 책을 참고한다. 또한 비뚤어진 성격이라면 코를 비튼다든지 말이 많은 캐릭터라면 입을 크게 하는 식으로 포인트를 잡아서 표현한다. 밑그림이 완성되면 모눈종이에 옮겨 그려서 나무 도판에 붙이고 조각한다. “덜미 인형은 얼굴부터 손잡이까지 일체형이에요. 얼굴 윤곽을 따고 코를 중심으로 조각하죠. 입이나 안구가 움직이는 구조라면 전체 얼굴을 먼저 완성한 뒤 뒤통수를 파내고, 어깨판과 팔을 만든 뒤 마지막으로 의상을 제작합니다. 사람이 입던 옷을 리폼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2024년 5월에는 모스크바 킥클랍(KykLab) 극장에서 음마갱깽의 대표 레퍼토리 세 작품을 옴니버스극으로 올려 화제가 됐다. 전석 매진을 기록한 이 공연은 러시아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한국 인형극이다. 지원 사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기획으로 성사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지난해 10월에는 러시아에 이어 이탈리아 토리노 인칸티연극제(Incanti Theatre Festival)에도 참가해 꼭두각시놀음 중 일부를 공연했어요. 해외 관객들의 열띤 반응에 K-인형극의 가능성을 엿보았습니다.” 인형 제작자로서 그의 꿈은 세계 어디를 가도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서 덜미를 알아봐주는 것이다. 음대진 대표의 작업 공간. 그는 탈이나 소도구 등 작품에 필요한 도구들을 모두 직접 만든다. 처음에는 인형 하나를 만드는 데 두 달이 넘게 걸렸지만, 지금은 며칠 만에 만들 정도로 손에 익었다.

이야기를 건네는 패션을 꿈꾸다

Arts & Culture 2025 SUMMER

이야기를 건네는 패션을 꿈꾸다 이승주(Sung Ju Beth Lee) 디자이너가 2017년 론칭한 다시곰(Darcygom)은 한국 전통을 모티브로 삼은 패션 브랜드이다. 브랜드명에는 ‘다시 한번 더’라는 의미가 담겨 있으며, 모던 한복과 업사이클링을 통해 새로운 패션 아이템을 제시하고 있다. 디자인이 소비자와 소통하는 매개체라 생각하는 이승주 디자이너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이승주 디자이너는 선염 직물인 색동이 점차 사라져가는 현실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이를 대중적으로 풀어내기 위해 애쓰고 있다. 이승주 디자이너가 이끄는 다시곰은 전통을 현재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 구현하는 브랜드이다. 옛날 선비들이 착용했던 정자관의 형태를 본뜬 가방, 한복 저고리의 동정 깃 디자인을 활용한 점프슈트, 색동을 전면에 내세운 스니커즈 등 전통적 요소에 재치와 개성을 뒤섞으며 특색 있는 디자인을 선보인다. 다른 한편으로는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둔 업사이클링 디자인도 병행한다. 브랜드명 다시곰은 부사 ‘다시금’의 옛말인데, 이 작명에는 그녀가 추구하는 패션의 가치가 담겨 있다. 기존의 것들을 다시 들여다보고 해석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 그녀는 미국, 캐나다, 독일, 탄자니아 등지로 옮겨다니며 해외에서 오래 살았다. 그 세월을 합치면 17년이다. 패션 문외한이었던 그녀는 한국으로 돌아온 뒤 어느 날 불쑥 한복과 침구 등으로 유명한 서울 광장시장에 찾아가 옷 짓는 법을 배웠다. 그러고는 2017년 브랜드를 론칭하고 패션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후에는 오뚜기, 카스 등 국내 기업들과 다양한 협업을 펼쳤고, 디자인 영역도 계속 확장하고 있는 중이다.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박물관, 런던 빅토리아 앨버트 뮤지엄과도 협업해 뮤지엄 스토어에 제품을 입점시키기도 했다. 패션 디자인과 거리가 먼 삶을 살다가 어떻게 브랜드를 만들게 되었나? 내가 해외에서 마지막으로 머물렀던 곳이 탄자니아였다. 당시에 건강이 나빠져 일을 그만두고 한국에 돌아오게 되었다. 당장 일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미래를 그려보다가 새로운 걸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가만 보니 해외를 돌아다니는 동안 각 나라의 전통 원단이나 옷을 사 모았더라. 베트남에서는 아오자이를, 일본에서는 유카타를 사왔는데 막상 내게는 한복 한 벌이 없었다. 그래서 바로 광장시장을 찾아갔고, 재봉하시는 분에게 대뜸 옷 만드는 걸 배울 수 있냐고 물어봤다. 이상한 사람 취급도 받았지만 선뜻 알려주겠다는 분이 있어 재봉을 배웠고, 서울디자인재단과 서울시 산하 한국패션봉제아카데미에서 수업을 듣다가 브랜드까지 만들었다. 정말 우연이었다. 어릴 적, 한복에 대해 어떤 기억을 갖고 있나? 어린 시절을 북미에서 보냈다. 4~5살 때쯤 한복을 처음 입어봤는데 빨간색, 주황색에 장미가 그려진 옷이었다. 지금봤더라면 촌스럽게 여길 수도 있겠지만, 어린 내 눈에는 정말 예뻐 보였고 공주 옷 같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더 자라면 사이즈가 안 맞을 텐데 계속 입을 수 있을까 하는 걱정도 했었다. 타향살이를 하면 고국에 대한 갈증이 생긴다. 남동생은 한식에 빠졌는데, 나는 옷으로 발현된 게 아닐까 싶다. 다양한 굵기와 색채의 색동을 조합해 선보인 프로젝트. 2021년 미국의 라이프스타일 잡지 『레드 핫 몽드(Red Hot Monde Magazine)』에 소개되었다. © 오승준(OH Seungjune) 색동은 다시곰의 시그너처다. 소비자들이 색동에 매료되는 이유를 무엇이라 생각하나? 나는 잊히는 것과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애착이 있다. 광장시장에서 색동 원단을 구하다가 우리나라에서 색동을 만드는 곳이 이제 한 곳밖에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수요가 적으니 공급도 없어진 것이다. 색동은 한국의 문화유산인데 사장될 위기에 처한 것이 안타까웠고, 그래서 색동 작업을 시작하게 됐다. 다행히 반응이 좋아 여러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었다. 브랜드 이름처럼 ‘무언가를 다시’ 부흥시키는 경험이었다. 색동의 쨍한 색감에 매력을 느낀다는 이들도 있었고, 원단 자체가 주는 노스탤지어를 좋아하는 이들도 많았다. 현대무용단 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와는 어떻게 같이 작업하게 됐나? 2020년 문화체육관광부 주최로 한류와 연계한 한복 프로젝트 공모전이 열렸다. 다른 사람들이 아이돌 같은 유명인과 함께하는 프로젝트를 기획한 것과 달리 나는 평소 좋아하던 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를 중심으로 결과물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 생각했다. 운이 좋게도 내 제안이 채택되었고, 앰비규어스 댄스컴퍼니와 협업해 ‘애매모호한 다시곰밀림(Ambiguous Jungle)’이라는 타이틀로 2021년 SS 컬렉션을 준비할 수 있었다. 식품 제조 기업 오뚜기와 협업한 프로젝트로, 오뚜기가 제공한 현수막으로 의상을 제작했다. © 오승준(OH Seungjune) 전통적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첫 번째로 재미있어야 한다. 재미있지 않으면 고통스럽다. 우아하고 아름다운 옷을 만드는 디자이너는 정말 많지 않은가. 나는 스토리텔링을 중시하고, 그래서 이야기하고 싶은 게 있을 때 작업을 시작한다. 디자인에 재미있는 이야기가 담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다음은 실용성이다. 나는 “이 옷을 입고 지금 당장 지하철에 탈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곤 한다. 지금 내가 안에 받쳐 입은 상의는 네크라인을 한복 저고리처럼 디자인하고, 발열 원단을 써서 만든 기능성 옷이다. 전통적인 모티프와 스타일, 기능성을 접목하는 것이 다시곰 스타일이다. 패션 잡화에 특색 있는 이름을 붙인 것도 재미 때문인가? 가방을 만들어서 ‘놀부백’이나 ‘갓백(Gat Bag)’ 등의 이름을 붙였다. 놀부는 전래 동화 『흥부와 놀부』에 나오는 심술궂은 형인데, 동화책을 보면 정자관을 쓴 모습으로 등장한다. 정자관은 조선 시대 선비들이 평상시에 착용하던 모자로, 여기에서 모티브를 얻어 가방을 제작했다. 그런데 이 가방 명칭을 ‘정자관백’이라고 지으면 아무도 기억하지 못할 것 같았다. 뾰족한 형태를 보면 많은 사람들이 놀부를 가장 먼저 떠올릴 것 같아서 그렇게 지었다. 갓백은 갓 모양을 본떠 만들었기 때문에 그대로 이름을 붙였다. 2음절이라 부르기도 쉽고, 영어 단어 ‘god’도 연상되니 재미있었다. 소금을 담는 포대는 튼튼하지만 물류비로 인해 한 번 쓰고 전량 폐기된다. 이승주 디자이너는 국내 대표적 천일염 생산지인 신안군 비금도에서 버려지는 소금 포대들을 업사이클링해 의상을 제작했다. © JUNG Ji Hoon 전통 복식의 실루엣을 현대인의 체형에 맞게 디자인하는 노하우가 있다면? 한복의 아름다운 부분 중 하나는 자연스럽게 잡히는 주름이다. 그 주름이 체형을 보완해주고 움직임을 편안하게 한다. 그래서 평면 재단이 답이다. 입체 재단으로는 구현이 어렵다. 업사이클링 디자인에서 중점을 두는 부분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디자인을 먼저 잡고 그다음에 어울리는 소재를 찾는다. 하지만 업사이클링은 주어진 원단을 가지고 시작한다. 즉 디자인 프로세스가 다르다. 그래서 나는 일단 기상천외한 원단을 찾는다. 어릴 적에 패션 디자이너 경쟁 프로그램인 를 즐겨 봤다. 말도 안 되는 미션이 주어졌는데도 출연자들이 해결해 가는 모습을 보며 쾌감을 느꼈다. 나도 그렇게 챌린지를 한다는 마음으로 임할 때가 있다. 언젠가는 친구 차가 폐차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동차 시트 원단을 떼어내 옷을 만든 적이 있다. 폐현수막은 상상도 못 할 만큼 많이 나온다. 기업들이 행사에서 사용한 현수막의 양도 어마어마하다. 그래서 기업과 연계를 맺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더 뿌듯한 마음이 든다. 해외 박물관들과는 어떤 협업 과정을 거쳤나? 오뚜기와의 협업을 눈여겨본 빅토리아 앨버트 뮤지엄의 제안으로 뮤지엄 스토어에 몇 가지 제품을 입점하게 됐다. 이후에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과도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됐다. 내 작업을 흥미롭게 여긴 것 같다. 동대문에 위치한 서울패션허브 봉제 작업실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이승주 디자이너. 그녀는 전통의 재해석과 업사이클링을 통해 지속가능한 패션을 꿈꾼다. ‘한국적’인 게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나와 비슷한 세대라면 델몬트 오렌지 주스 병을 알 것이다. 옛날에는 주스를 다 마시고 나서 그 병에 보리차를 담아 사용하는 집들이 많았다. 그 병에 보리차를 보관하면 한동안은 보리차 뒷맛에서 희미하게 오렌지 향이 느껴진다. 그게 한국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스라하게 남아 있는 것. 오늘 하루를 사는 데 크게 필요하지 않더라도 언제나 내 안에 남아 있는 것이 한국적인 것이 아닐까?

한글 글꼴을 향한 40년의 실험과 도전

Arts & Culture 2025 SUMMER

한글 글꼴을 향한 40년의 실험과 도전 안상수(Ahn Sang-soo)는 1980년대 초반부터 실험적인 디자인으로 한글의 조형미를 탐구해 온 디자이너이다. ‘안상수체(Ahnsangsoo Font)’를 비롯해 그가 발표한 파격적 글꼴들은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발전을 이끌었다고 평가받는다. 2007년에는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긴 공로로 독일 라이프치히시가 제정한 구텐베르크 상을 받았다. < 홀려라, 홀리리로다 >. 2025. 종이에 실크 스크린. 100 × 70 ㎝. 신세계갤러리에서 열린 안상수 개인전 전시작 중 하나. 자신의 사진을 타이포그래피 작품으로 제작했다. AG 타이포그라피연구소 제공 어린아이들이 처음 학교에 들어가 한글을 배울 때 사용하는 국어 공책은 네모 칸으로 이뤄져 있다. 한 줄에 8칸, 혹은 10칸이다. 연필을 움켜쥔 아이들은 그 칸에 맞춰 글자를 쓰느라 안간힘 쓴다. 어른들은 옆에서 훈수를 둔다. 맞춰 써라, 똑바로 써라, 튀어나가면 안 된다. 1985년, 디자이너 안상수가 완성한 글꼴 안상수체는 네모틀 안에 맞춰 적는 것이 옳은 줄로만 알았던 한글에 대한 고정관념을 깼다. 안상수체는 기존 네모틀에서 벗어나 아래로, 옆으로 삐쳐 나간 글씨체다. 처음 만들었을 때는 글꼴 개발 회사에서 “이게 글자냐?” 하고 난색을 표해 세상에 못 나올 뻔도 했지만, 1991년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 아래아한글에 기본 글꼴로 탑재된 후 사용자들 사이를 파고들었다. 혁신은 ‘근본’에서 탄생했다. “훈민정음 해례에서 ‘초성, 중성, 종성 글자를 음절 단위로 좌에서 우, 위로부터 아래로 쓴다’고 설명한것처럼 한글 합자(合字) 원리에 충실하게 만든 것이 안상수체입니다. 최고의 디자이너는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이죠. 한글 창제는 아이폰 출시만큼이나 당시에 충격적인 사건이었을 거예요.” 안상수는 안상수체가 초성, 중성, 종성이 모두 같은 크기인 평등의 서체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 글꼴은 형태적으로는 모음의 세로 기둥이 받침의 정가운데에 맞닿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한자 문화권의 영향으로 글자를 네모반듯하게 모아 적었던 고정관념을 깼고, 너무 얌전히 갇혀 있던 한글을 깨웠다. 포스트모더니즘 서체 글자는 사람을 닮는다. 안상수체는 안상수를 꼭 닮았다. 1952년 충청북도 충주에서 태어난 그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 입학하면서 디자인에 발을 들였다. 학보사 편집장을 지낼 적에는 자신이 그린 만화를 연재했다. 대학신문을 인쇄하는 과정에서 좌우가 뒤집힌 활자를 지켜봤고, 그때부터 글꼴에 대한 생각이 싹트기 시작했다. 그는 LG전자 디자인연구소의 전신인 금성사 디자인실에 입사한 ‘대기업 직원’이 되고 나서도 잡지 창간과 편집 작업을 이어갔다. 글자에는 시대가 담긴다. 1980년대 한국 사회는 권위주의와 획일성에 대한 반발이 거셌다. 안상수체는 민주화와 다양성에 대한 목소리가 드높았던 시대정신의 한복판에서 태어났다. 네모틀을 벗어난 글자들은 기존 질서에 대한 작은 저항이자 새로운 시대를 향한 몸짓이기도 했다. 해체주의 담론이 한국에 막 도입될 무렵 탄생한 안상수체는 한국 디자인에서 거의 처음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을 실현한 상징적 작업이 됐다. 젊은 안상수는 반듯한 네모틀에서 자꾸만 벗어나려 했다. 30대 중반이었던 1988년에는 친구 금누리와 함께 홍익대학교 앞 골목에 일렉트로닉 카페를 열기도 했다. 조각가 금누리는 유명한 지휘자 금난새의 동생이다. 이들은 카페에서 영화 상영부터 PC 통신 동호회 모임, 서울과 로스앤젤레스를 연결한 실시간 통신 미술까지 선보였다. 이곳은 PC방의 시초로 꼽히며, 인디와 젊음의 상징인 홍대 앞 문화의 산실이 됐다. 안상수를 만나 물었다. 디자인이 뭡니까?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멋을 짓는 일이죠. 옷도 짓고, 밥도 짓고, 집도 지어요. 의식주 모두가 ‘짓는’ 것입니다. 죄도 짓고, 시(詩)도 짓는 것이니 ‘짓다’라는 동사는 어마어마하게 중요합니다. 멋이라는 감각은 누구나 갖고 있는 것이고, 멋의 범주에서 보자면 촌스러운 것까지도 멋이 됩니다. 멋을 부리는 게 아니라 멋을 짓는 게 디자인입니다.” 안상수체.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 근거하여 설계된 간결하고 기하학적인 탈네모틀 글자체이다. 마노체. 안상수체 이후 세벌식 모듈 글꼴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졌는데, 그중 마노체는 선 모듈로 이루어진 글꼴이다. 이상체. 안상수체를 해체한 다음 재배열하여 만든 글꼴이다. 시인이자 소설가인 이상의 전위적이고 초현실주의적인 작품에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미르체. 정사각형 모듈을 조립하여 설계한 글꼴이다. 모듈을 쌓거나 변형하는 방식으로 글꼴에 공간 개념을 적용했다. 안상수의 문자 그림 2012년 정년 퇴임으로 홍익대학교를 떠난 다음 날부터 안상수는 항상 같은 차림이다. 상하의가 붙은 점프슈트, 일명 작업복을 입고 머리엔 비니를 쓴다. 정체성은 일관성에서 나온다. 문자가 일관성 있는 사회적 약속이듯 안상수는 자신의 외양을 디자인했다. 한국 추상미술의 시작에 김환기가 있다면, 한국 디자인 전시의 첫 문은 안상수가 열었다. 삼성문화재단 리움미술관의 전신 로댕갤러리(Rodin Gallery)가 디자인 관련 전시로 가장 처음 기획한 것이 바로 2002년 개최한 안상수의 이었다. 이후에도 그는 파리, 오펜바흐, 홍콩 등지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2017년에는 서울시립미술관이 대규모 회고전 를 개최했으며 이 전시는 해외 순회전으로 이어졌다. 최근에는 4월부터 6월까지 청담동 신세계갤러리에서 개인전 를 열었다. 2017년 개인전을 기점으로 시작된 ‘홀려라’ 연작은 한글에 민화적 요소를 더한 문자도 화풍이다. 자음 ‘ㅎ’이 등장하는 추상화가 ‘하하’ 웃고 ‘흑흑’ 울다가 ‘헉’ 하고 놀라기도 하고 ‘헐’ 하며 맥 빠지기도 한다. 혼(魂)과 흥(興)과 한(恨)까지 있으니 ‘ㅎ’ 하나가 관람객을 들었다 놨다 가지고 논다. “우리 글자 중에서도 가장 독특한 형태가 ‘ㅎ’이에요. 웃음부터 울음까지 ‘ㅎ’이 연상시키는 것은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하나’, ‘한국’, ‘흙’처럼 한국적 정체성이 담긴 단어가 있는가 하면 행복과 해피(happy), 하늘과 헤븐(heaven)도 ‘ㅎ’ 소리로 통합니다.” 현대 미술가 에드 루샤, 바버라 크루거, 제니 홀저 등이 활자를 작품에 활용한다. 하지만 그들의 글자가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주력하는 반면 안상수의 문자 그림은 의미를 강요하지 않는 대신 해석과 감각의 가능성을 열어둔다. 이 전시는 시인이자 소설가 이상(1910~1937)의 타계일인 4월 17일 개막했는데, 안상수는 개막식 퍼포먼스로 이상에게 바치는 제사를 지냈다.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를 아시오?”로 시작하는 이상의 소설 「날개」는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로 끝맺는다. 안상수의 호 ‘날개’는 여기서 왔다. 미술을 하려다 건축가가 된 이상은 안상수의 이상(理想)이다. 그가 박사 논문 「타이포그래피적 관점에서 본 이상 시에 대한 연구」에 썼듯 그는 이상을 우리나라 최초의 타이포그래피스트로 여긴다. < UV_한글도깨비 >. 2025. 캔버스에 UV 인쇄, 아크릴 물감. 145 × 97 ㎝. 한글 자음 ‘ㅎ’과 ‘ㅇ’을 각각 두 개씩 결합하여 도깨비 형상처럼 보이게 제작한 작품이다. 안상수는 1990년대 초부터 전국의 도깨비 문양을 찾아다니고 그것을 도안으로 만드는 등 도깨비를 예술적 상징으로 되살리기 위해 탐구해 왔다. AG 타이포그라피연구소 제공 40주년 프로젝트 안상수체는 출시 이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확장되고 있다. 예컨대 이상체는 낱글자를 모아쓰지 않고 풀어서 늘어놓는 방식이고, 미르체와 마노체는 세벌식 모듈 글꼴에 대한 실험의 결과물이다. 그는 여기에 멈추지 않는다. “국내외 아티스트와 디자이너들을 초청해 안상수체 구조에 맞춰 한글 디자인을 맡겼어요. 내가 뭔가를 하기보다는 그들을 통해 한글을 퍼뜨리는 게 더 의미 있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외국인들이 전혀 다른 상상력으로 한글을 디자인했는데 정말 탁월했고 재미있었어요.” 2024년 10월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안그라픽스에서 열렸던 전시 < 안체 프로젝트 > 전경. 안상수체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디자이너들과 함께 세벌식 조합형 글꼴을 제작하는 프로젝트이다. AG 타이포그라피연구소 제공 2024년 10월 열렸던 전시 를 두고 그가 한 말이다. 올해는 안상수체가 태어난 지 40주년이다. 그는 이 글꼴의 확산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안상수체 40주년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 넷플릭스 다큐 시리즈에서도 소개된 타이포그래피 분야의 거장 폴라 셰어(Paula Scher), 20세기 디자인계의 아이콘으로 꼽히는 네빌 브로디(Neville Brody) 등 14명이 이미 안상수체를 활용한 서체를 선보였다. 올해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무인양품을 대표하는 디자이너 하라 켄야 등 여럿이 참여할 예정이다. 올해 전시는 10월 9일 한글날을 전후해 개막할 계획이다. 더불어 ‘아티스트’ 안상수의 개인전은 올해 일본 도쿄 츠타야서점, 내년 중국 베이징 중앙미술학원으로 이어진다. 제1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의 사전 프로그램인 < 정거장-이미지 커뮤니티 >의 그래픽 디자인에 활용된 AG이상체. AG 타이포그라피연구소 제공

경계를 넘어: 여성 작가들, 동시대 미술을 다시 빚어내다

Arts & Culture 2025 SPRING

경계를 넘어: 여성 작가들, 동시대 미술을 다시 빚어내다 한국 현대미술은 팬데믹 이후 국제 미술계에서 존재감을 크게 더해가고 있다. 1980년대 이후 태어난 새로운 세대에 속하는 한국 여성 작가들은 현재 전 세계 주요 미술기관과 갤러리로부터 전례 없는 관심을 받고 있다. 이들은 지리적 국경과 문화의 경계를 넘어 각자의 시각으로 동시대의 화두를 살핀다. 기술과 인간 취약성의 관계, 디아스포라 상황에서 문화적 전통의 변화, 디지털 시대 정체성의 유동성과 같은 주제를 고유한 시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미래, 제이디 차, 정금형은 이러한 보편적 주제들을 혁신적으로 해석하는 작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4년 영국 테이트 모던 터빈홀에서 열린 이미래의 < Open Wound > 전시 전경. ⓒ Tate, Photo by Larina Fernandes 지금 한국 동시대 미술은 젊은 세대의 여성 작가들이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전 세계 미술계의 변화와도 맞물린다. 최근 주요 미술 기관들은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다양성을 더하고 있으며, 글로벌 미술 시장의 확장으로 젊은 목소리에 전에 없던 기회가 주어졌다. 한국의 문화 위상이 올라가면서, 이와 함께 젊은 세대의 한국 여성 작가들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비옥한 토양이 마련된 셈이다. 1980년대 이후 태어난 작가들은 한국의 민주화와 개방의 혜택을 받으며 자났다. 따라서 이전 세대와는 뚜렷이 다른 청년기를 겪었고, 이러한 변화가 그들의 예술적 표현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새로운 세대의 젊은 작가들은 젠더, 환경, 문화 정체성과 같은 현대적 이슈를 혁신적으로 다루는 작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그들의 고유한 예술적 언어는 한국을 넘어 전 세계 관객들의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미래 지금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한국의 젊은 작가 중에는 유학 등 외부의 경험보다 한국 또는 현지의 문화적 환경이 빚어낸 인재들이 많다. 이미래는 이러한 변화를 잘 보여준다. 폭넓은 국제적 활동을 펼치고 있는 그녀가 모든 정규 미술 교육을 한국에서 이수했다는 점은 무척 의미심장하다. 이미래 작가가 맡은 2024년 테이트 모던 터빈홀 커미션은 한국 동시대 미술에 새로운 장을 써내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래는 이 프로젝트에 선정된 첫 번째 한국인 작가이자 역대 최연소 작가이기도 하다. 터빈홀에 설치된 < Open Wound >는 기계 시스템과 유기적 형태가 융합되어 터빈홀이라는 기념비적 공간을 맥박이 뛰듯 강렬한 감각을 자극하는 환경으로 변모시킨다. 이 작품은 이미래 작가를 더욱 널리 알린 계기가 된 2022년 베니스 비엔날레 전시와 MMK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개인전 < 봐라, 나는 사랑에 미쳐 날뛰는 오물의 분수 >(2022)에서 전개한 주제를 확장한다. 산업 자재와 키네틱 요소로 구성된 이미래의 작품은 폭력, 취약성, 욕망을 탐구하며 강렬하고도 깊이 있는 환경을 창출한다. 흘러내리는 액체와 유기물이 두드러지는 이미래의 설치 작업은 마치 살아있는 듯한 움직임을 보이기도 하는데, 역설적이게도 이런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선 엄청난 기술적 정밀함이 요구된다. MMK 프랑크푸르트에서 선보인 작업은 차가운 콘크리트와 키네틱 요소로 강렬한 신체적 감각을 불러일으키면서 이러한 대조를 잘 보여준 바 있다. 테이트 모던에서는 과거 발전소였던 기념비적 공간을 변형하여 산업적 요소와 유기적 면모 사이의 긴장감을 한층 더 고조시킨다. 산업 시설로 쓰이던 크레인에 매달린 7미터 길이의 터빈은 촉수처럼 보이는 실리콘 튜브와 한 몸으로, 체액을 연상케 하는 끈적한 적갈색 액체가 흘러내린다. 터빈홀은 산업 건축과 유기적 형태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환경이 된다. 이는 액체를 흡수하고 건조시킨 직물로 이뤄진 ‘스킨’을 통해 더욱 강조되며, 산업적으로 생산되는 동시에 살아있는 듯 계속해서 진화하는 설치를 만들어낸다. 이미래의 < Open Wound > 전시회장에 설치된 작품 일부. 이번 전시로 이미래는 터빈홀에서 작품을 선보인 역대 최연소이자 한국 첫 미술가가 됐다. ⓒ Tate, Photo by Oliver Cowling with Lucy Green 정금형 정금형은 국내외에서 동시에 경력을 쌓아가는 새로운 세대의 한국 작가들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들은 먼저 현지에서 입지를 다진 뒤 세계 미술계로 활동 범위를 넓히기보다, 두 영역을 병행하며 경력을 쌓아간다. 2018년 서울 송은아트스페이스에서 개인전을 연 정금형은 쿤스트할레 바젤(2019)과 이탈리아 모데나 시각예술재단(2020) 전시를 통해 단기간에 국제 미술계에서 존재감을 확고히 했다. ICA 런던에서 최근 열린 전시 < under construction >(2024)은 이처럼 동시적인 궤적의 또 다른 중요한 이정표를 남겼다. 작가는 기계 부품과 결합된 인체 골격 모델들을 선보이며 유기적 형태와 기술적 형태의 경계에 대한 탐구를 이어갔다. 의료용 마네킹, 산업용 로봇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인간과 기계 신체 사이에 기이한 관계가 창조되는 것이다. 2018년 송은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린 정금형의 < 스파 & 뷰티 서울 > 전시 전경. Courtesy of 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Photo by Kanghyuk Lee 정금형은 기계를 추상적 시스템으로 다루는 대신 전시를 확장하는 퍼포먼스를 펼침으로써 친밀하면서도 불안감을 자아내는 관계를 발전시킨다. ICA에서 선보인 설치는 퍼포먼스에서 남겨진 흔적, 재료들과 함께 전시 공간에 놓인 하이브리드 오브제들을 보여주었다. 전시 기간 중 일정에 맞춰 진행된 퍼포먼스는 이러한 오브제들을 단순한 대상이 아닌 공동 수행자로 활성화하며, 인간과 기계 사이의 육체적 관계에 대한 탐구를 더욱 심화시켰다. 정금형의 독특한 예술적 접근 방식은 미술계를 넘어 널리 주목받았다. 2023년, 작가는 미우치아 프라다의 초청으로 패션 하우스 미우미우의 런웨이 쇼를 퍼포먼스 작품의 무대로 변모시켰다. 인간과 사물의 관계를 탐구하는 그녀의 작업이 패션계에 진입한 순간이었다. 제59회 베니스 비엔날레 본 전시에 초청된 정금형의 < Toy Prototype > 전시 일부. Courtesy of La Biennale di Venezia, Photo by Andrea Avezzù 제이디 차 런던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제이디 차는 밴쿠버에서 태어난 한국계 캐나다인으로, 한국이라는 문화적 뿌리와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영감으로 삼는다. 그녀의 작업은 한인 디아스포라 작가들의 정체성과 면모를 잘 드러낸다. 제이디 차가 국제 미술계에서 주목받는 작가로 부상한 데는 20세기 중후반 미주 지역으로 이주한 한인 이민자들이 정착하고, 그 후속 세대가 독립적으로 성장하며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해 동시대 예술 담론을 재구성하는 상황도 큰 영향을 미쳤다. 퍼포먼스, 텍스타일, 비디오, 사운드, 멀티미디어 설치를 아우르는 제이디 차의 작업은 한국의 무속 전통과 당대의 디아스포라 경험을 엮어내면서 문화적 특수성과 정체성, 소속과 같은 보편적 주제를 담아낸다. 2024년 타데우스 로팍 파리 마레에서 열린 제이디 차의 < Rough hands weave a knife > 전시 전경. Courtesy of Thaddaeus Ropac gallery, London, Paris, Salzburg, Milan, Seoul ⓒ Zadie Xa 런던 화이트채플 갤러리에서 열린 개인전 < House Gods, Animal Guides and Five Ways 2 Forgiveness >(2022)는 정교한 의상과 멀티미디어 설치를 통해 문화적 혼성성과 유동적 정체성을 탐구했다. 이 전시는 한국의 전통 색채론과 현대적 감성을 융합한 정교한 텍스타일 작업을 선보였고, 퍼포먼스에서는 한국 무속 의식과 현대 클럽 문화의 요소를 결합했다. 작가는 이처럼 다층적인 작품을 통해 문화적 이분법에 도전하며 디아스포라 경험의 복잡성을 다루는 몰입적인 환경을 창출한다. 그녀의 작업이 전통 문화의 요소를 동시대 세계를 아우르는 담론으로 번역하는 것은 바로 이 지점에서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에서 열린 작가의 첫 개인전이 런던 전시보다 다소 늦은 2023년 스페이스 K에서 열린 라는 것이다. 이는 한국 디아스포라 작가들이 고국에서 입지를 다지기 전에 국제적으로 먼저 인정받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세계 미술계에서 부상하는 젊은 한국 여성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성’을 정의하려는 시도는 흥미로운 역설에 부딪힌다. 한국이라는 국가 정체성은 이들을 호명하는 참조점이 되지만, 그들이 창작하는 예술은 국경이나 문화적 경계를 뛰어넘는다. 이같은 복잡성은 한국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작가들과 한인 디아스포라 작가들을 비교할 때 특히 두드러진다. 예컨대 제이디 차와 같은 작가의 작품에서는 무속, 전통 색채, 민담 등 ‘한국적’ 요소가 두드러지며, 문화적 뿌리와 깊이 연결된 모습을 드러낸다.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탐구해야 할 필요성 자체가 한국 문화유산에 대한 탐구를 심화시키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공감을 이끌어내는 재해석으로 이어진다. 2022년 화이트채플 갤러리에서 열린 제이디 차의 < House Gods, Animal Guides and Five Ways 2 Forgiveness > 전시 작품 중 일부. Photo by Andy Keate 지역적 특수성과 보편적 주제 이미래, 정금형과 같이 한국에서 태어나 교육받은 작가들은 동시대 한국 사회와 문화를 살아간 경험에 발을 딛고 작업하며, 은유적이고 개념적인 접근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과 관계를 맺는다. 그들의 작품은 명시적으로 ‘한국성’을 드러내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서는 산업화, 기술, 현대성과 얽히고 설킨 복잡한 (한국적) 관계를 체현한다. 기계적 형태와 유기적 형태의 강렬한 융합에선 급속한 도시 발전이 가져온 긴장이 떠오르기도 하고, 기계와 관계를 맺는 정금형의 퍼포먼스는 초연결 사회에서 점점 모호해지는 인간과 기술적 사물의 경계를 건드린다. 디아스포라 작가들과 한국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작가들의 접근 방식 차이는 ‘한국성’이 개인적 경험, 역사적 맥락, 세계적 영향력 사이에서 오가는 역동적 대화를 통해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게 다양한 관점은 한국 동시대 미술의 가능성을 더욱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우리를 이끈다. 이미래, 정금형, 제이디 차의 작업은 국가 정체성으로 작가를 바라보는 단순화된 관념을 넘어서, 현대 예술가들이 지역적 특수성과 보편적 주제를 어떻게 섬세하게 탐구하는지를 드러낸다. 각자의 고유한 예술 언어로 국제 미술계에서 부상하는 한국 미술가들을 대표하는 이 세 작가는 상호 연결된 오늘날의 세계에서 정체성, 소속감, 문화적 번역의 문제를 다루며 이를 한국 동시대 미술과 연결한다. 물론, 이들이 보여주는 모습은 한국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볼 수 있는 다채로운 면모 가운데 일부에 불과할지 모른다. 문화적 유산을 존중하면서도 경계를 넘어서는 혁신적 시도로 깊은 전통과 끊임없는 변화의 긴장에서 의미 있는 예술적 혁신을 만들어내는 모습…. 세계 미술계에서 주목받는 세 작가는 동시대 미술을 다시 빚어내고 있다.

목조 건축의 가능성을 향한 실험, 건축가 조남호

Arts & Culture 2025 SPRING

목조 건축의 가능성을 향한 실험, 건축가 조남호 조남호(Cho Namho)가 설계한 건축물들은 건축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을 곱씹게 된다고 평가받는다. 1995년 솔토지빈(Soltozibin Architects, 率土之濱) 건축사사무소를 설립한 그는 기획과 기술의 결합이 새로운 건축을 만든다고 여기며, 목구조 시공 기술의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던 시기부터 오랫동안 목조 건축의 가능성을 좇아왔다. 목재의 세포벽은 다공성(多孔性)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조남호는 이러한 목재의 특성을 확장해 ‘숨 쉬는 폴리’ 건물 외벽을 다공성 목구조로 디자인했다. ‘기후 위기가 건축의 중심 과제가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풀어낸 프로젝트이다. ⓒ 윤준환 건축가 조남호는 현대적인 구법을 통한 목조 건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끊임없이 탐색해 왔다. 솔토지빈 설립 이전에 국내 대형 설계사무소에서 먼저 실무를 익힌 그는 비교적 규모가 큰 건물을 설계하는 데 익숙했다. 하지만 1997년 외환 위기 여파로 사무소 존속 문제가 불거졌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그는 수주에 급급해하는 대신 사무소의 성격을 학습 조직으로 전환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이에 따라 솔토지빈은 미래 지향적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새로운 건축 생산 체계에 관한 대대적인 연구를 하는 조직으로 거듭났다. 물론 여기에는 경제적 전략에 대한 고민까지 포함되었다. 그때 주목하게 된 것이 목조 건축이 지닌 가능성이었다. 설계 사무실에서 철근콘크리트조의 분업화된 공정을 주도하는 것보다는 목수라는 전문가와 함께 직접 시공까지 아우를 수 있는 목조 건축이 그에게는 훨씬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또한 제대로 된 현대적 공법들이 발달하지 못한 한국의 목조 건축 시장에도 새로운 공법의 고안이 필요해 보였다. 산업화 시대를 거치는 동안 한국에는 일부 한옥들을 제외하고는 목조 건축이 거의 사라진 실정이었다. 솔토지빈이 설립되던 무렵, 북미 양식의 경골목구조가 유입되면서 경기도 일산을 중심으로 신도시에 목조 주택이 지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는 전형적인 북미 양식의 목조 건축을 그대로 수입한 것에 불과했고, 공급 방식과 공사비 등의 문제들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이러한 사회적·기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조남호는 한국 현대 건축에서 많은 부분이 목조 건축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경제성, 환경 문제, 건축적 가능성 등을 고려했을 때 그 영역이 빠르게 확장되리라고 본 것이다. 조남호는 건축과 사회, 삶의 관계를 탐색하는 건축가이다. 특히 그는 목구조와 현대적 공법을 접목하면서 인간과 환경의 공존을 염두에 둔 다양한 디자인을 선보여 왔다. ⓒ 스튜디오 켄 변용과 진화 새로운 건축 생산 체계에 대한 탐구는 프로젝트를 거듭해 나갈 때마다 변용되고 개진되면서 점점 진화해 갔다. 그 시작점에는 1999년 완공한 신원동 주택이 있다. 신원동은 서울 도심과 수도권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고층 빌딩들이 인접해 있으면서도 동네 안에는 과일과 채소를 재배하는 경작지가 존재한다. 조남호는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감안해 도시 생활과 전원 생활이 절충될 수 있도록 집을 디자인했다. 그 바탕이 된 게 철근콘크리트조와 목조가 혼합된 복합 구조였다. 시공까지 도맡았던 이 작업은 그 자체로 하나의 도전이었다. 초기 대표작 중 하나인 교원그룹 게스트하우스(2000)는 준공하던 해에 한국건축문화대상을 받을 정도로 이목을 끌었던 프로젝트다. 당시 목조 건축에서는 드물게 주택 10채로 구성된 큰 규모였고, 중목 구조를 포함한 여러 목공법이 적용됐다. 구조 엔지니어링을 뒷받침할 국내 기업이 없어 캐나다 및 뉴질랜드 회사와 협업해 완공했다. 조선 시대 교육 기관이었던 서원에서 모티프를 얻은 이 건축물은 전통 건축과 새로운 목조 구법 사이에서 제3의 유형을 탐색하는 작업이었다. 그런가 하면 서울시립대학교 건설공학관(2005)은 철근콘크리트조 건물에 경골목구조를 활용한 우드월 시스템을 접목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경골목구조는 구조 자체이면서 단열재를 채우는 틀, 마감재가 붙는 벽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건축가는 이에 대해 “목구조의 놀라운 효율에 주목하게 되면, 한옥처럼 기둥과 보의 구조미를 드러내야 한다는 강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고 말한다. 이 프로젝트는 공법을 표현의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작업의 기점이 되었다. 서울시립대 강촌수련원은 부재를 짜맞추는 기법을 통해 새로운 목조 건축의 형식에 도전한 작품이다. 목구조의 장점을 극대화한 아름다운 건축물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2011년 한국건축가협회상을 받았다. ⓒ 박영채 서울시립대학교 강촌수련원(2009)에서는 모든 부재의 규격을 통일시켰다. 기둥이나 보 등 각기 역할과 조건이 다른 요소들에 폭과 길이가 동일한 부재를 사용한 것이다. 한 가지 종류의 부재가 전체를 관통하면서 통합된 분위기와 질서를 갖추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 트러스 원리를 활용한 복잡한 구조적 전략이 요구되기도 했다. 이 건물에는 건축의 중심을 해체하고 상징적 요소를 없애 공간에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는 현대 건축의 특징이 담겼다. 비교적 최근작인 인왕산 숲속쉼터(2019)에서는 전통 목구조의 핵심 요소인 기둥과 보의 결합을 드러내지 않고, 기둥 사이에 지붕판을 끼워 넣어 마치 거대한 판이 떠 있는 것 같은 시각적 효과를 냈다. 결구이지만 비결구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일종의 역설이다. 일반적으로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구조는 완결된 프레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건축물에서는 시선이 내부 공간으로 쏠리기보다 바깥의 자연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했기 때문에 비결구적 결구를 사용했다. 인왕산 ‘숲속쉼터’는 부재들을 입체적으로 조립해 3차원의 구조물을 조립하는 목구조의 전형적인 구법에서 벗어나 있다. 건축가는 철근콘크리트조 필로티 기둥 모듈의 1/2 간격으로 목재 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에 지붕판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목구조의 새로운 형태를 실험했다. ⓒ 신정식 숨 쉬는 건축 조남호의 글과 말에는 “숨 쉬는”이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광주폴리(Gwangju Folly)’는 광주광역시가 구도심 공동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 중인 도시 재생 사업인데, 조남호가 최근 광주폴리에서 선보인 작품의 제목 역시 ‘숨 쉬는 폴리’ (2023)다. 그에게 건축이 숨 쉰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물으니, 두 가지로 나눠 설명했다. 첫째는 말 그대로 건축물의 외피가 숨을 쉬는 것, 즉 바람이 통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이는 단열 문제와 상충된다. 현대 건축은 기본적으로 단열과 기밀(氣密)의 역사라고 할 수 있는데, 내부와 외부를 단절시킨 다음 열이나 오염 물질을 내보내 내부를 쾌적하게 만드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단열과 방수, 기밀이 이런 방식을 따른다. 숨 쉬는 폴리는 숨 쉬는 재료와 숨 쉬는 결합 방법으로 벽체를 구성했다. 나무라는 취약한 재료가 근대 이후의 건축이 지향해 온 강함의 원리에 대응하는 방식에 대해 고민했던 프로젝트다. 서울숲에 위치한 야외 공연장 ‘숨 쉬는 그물’은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탄생했다. 조남호는 1미터 간격의 목조 유닛을 그리드 형태로 쌓아 올려 건축물을 완성했다. 그 결과 벽의 구멍은 새 집이 될 수도 있고, 풀과 꽃이 자랄 수도 있는 유연성을 지니게 됐다. ⓒ 윤준환 두 번째로 “형태를 구상하고 재료를 선정하고 디테일을 계획하는 건축 생산의 전 과정을 포함하여 그 이후의 사용과 유지 보수, 그리고 폐기에 이르기까지 주변 환경에 최소한의 피해를 주는 건축이 바로 숨 쉬는 건축”이라고 그는 정의한다. 숨 쉬는 폴리는 두 의미를 모두 충족한다. 우선 기능과 형태에 있어 숨 쉬는 건축이다. 목재 자체는 습기를 머금고 내보내는 기능을 하며, 외피와 내부의 구성은 숨 쉬는 듯한 인상을 준다. 또한 탄소 배출량은 콘크리트 건축과 비교했을 때 10분의 1로 줄었다. 태양광 전기 생산 시스템을 도입해 그마저도 상쇄시킨다면 15년 뒤에는 탄소 배출 제로 시설이 된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다산동 주택은 주거 공간에 대한 건축가의 실험을 엿볼 수 있는 프로젝트이다. 이 집의 1층과 2층은 갤러리 형태로 디자인되었는데, 집주인 부부가 오랫동안 수집해 온 미술 작품들을 전시함으로써 교류와 소통의 역할을 수행한다. ⓒ 김용관 비판과 탐색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천적 앎과 이론적 앎의 앞에 기술적 앎이 있으며, 기술이야말로 새로운 것을 창안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조남호는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지난 25년 동안 목구조를 현대 건축에 적용했다. 하지만 그의 바람과는 달리 국내 목조 건축의 발전은 더디기만 하다. 그 이유에 대해 그는 한옥이라는 전통 목구조 양식에 갇혀 있는 건축 설계를 문제로 꼽는다. 한국은 7세기에 황룡사 9층 목탑을 설계하고, 8세기에 석굴암 같은 우수한 건축물을 지은 국가다. 그러나 조선 시대부터는 혁신적 건축이라 할 게 없다. 고유한 건축 유형을 지속적으로 개발한 다른 나라들과 대비된다. 그들은 고대와 중세를 거쳐 높은 수준의 장인들, 학자에 버금가는 기술자들을 길러냈다. 반면 조선은 기술을 천하게 여기는 사회였으므로 혁신이 일어나기는 힘들었다. 이러한 흐름에 더해 일제강점기 때는 건축 교육의 공백이 이어지면서 상황이 더욱 악화됐다. 그는 한옥 육성책의 보수적 성향을 지금 한국 건축계가 극복해야 할 고질적 문제로 진단한다. 목조 건축에 전통적 한옥 방식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제자리걸음인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건축가들의 솔직한 비판이 동반되어야 하며, 기술적 탐색과 보완을 통한 혁신이 필요하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단아하고 소박한 아름다움

Arts & Culture 2025 SPRING

단아하고 소박한 아름다움 ‘나주반’은 전라남도 나주 지역에서 생산되는 소반이다. 김춘식은 1940년대 이후 거의 자취를 감춘 나주식 소반의 명맥을 이은 장인이다. 1950년대 중반부터 우연한 기회에 나주반에 대한 연구를 시작해 지금까지 약 70년 동안 나주반을 지키고 있다. 국가무형유산 소반장 기능보유자인 김춘식 장인은 맥이 끊어져 사라질 뻔한 나주 소반의 명맥을 잇고 발전시켰다. 그는 수백 개의 헌 상을 해체하고 조립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이를 통해 나주 소반의 원형을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소반(小盤)은 나무로 만든 작은 밥상을 말한다. 좌식(坐式) 주거 문화가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식생활부터 각종 의례에 이르기까지 여러 용도로 음식을 담아 운반하던 부엌 가구다. 우리 민족은 오래전부터 소반을 사용해 왔다. 5~6세기경 제작된 고구려 고분벽화에는 여러 유형의 소반이 그려진 것을 볼 수 있으며, 신라(B.C 57~A.D 935)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 중에도 타원형 소반이 있다. 조선 시대(1392~1910)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보면 국가에 소속되어 상을 만드는 별도의 기관이 있었고, 제작 과정이 분업화되어 다양한 형태로 생산해 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반의 종류는 산지, 형태, 용도에 따라 약 60여 종으로 분류된다. 특히 생산지에 따라 지역색이 뚜렷해 황해도의 해주반(海州盤), 전라도의 나주반(羅州盤), 경상도의 통영반(統營盤) 등으로도 구분한다. 해주반과 통영반은 아름다운 조각으로 장식성이 뛰어난 반면, 나주반은 소박한 짜임새로 견고함과 간결함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상은 우리 문화의 근간이 되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옛날 어머니들은 상에 정화수를 올려놓고 아이의 탄생을 기원했고, 삼신상을 차려 안전한 출산을 빌었다. 출생 후 백일에는 백일상, 돌에는 돌상을 차려 아이의 건강과 행복을 염원했다. 자라면서는 생일상, 결혼 때는 혼례상을 거쳐 나이 육십에 이르러 환갑상을 받고, 죽은 후에도 오래도록 제사상을 받는다. 이처럼 상은 출생 이전부터 죽음 이후까지 삶을 관장하고 이어주는 도구였다. 원형 호족반. 소나무. 36 × 36 × 26 cm. 소반은 생산지, 형태, 용도, 재료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사진은 상판이 둥그런 호족반이다. 호족반의 다리는 위는 굵고 아래로 갈수록 가늘어지다가 끝부분이 위로 살짝 올라간 형태이다. 호족반의 재료는 주로 느티나무, 소나무, 은행나무를 사용한다. 솔루나리빙 제공 앉아서 받는 밥상 소반을 만드는 기술 또는 그 기술을 지닌 장인을 소반장(小盤匠)이라고 한다. 김춘식(Kim Chun-sik, 金春植) 장인은 일제강점기 이후 거의 사라진 전통 나주반을 복원해 냈다. 재료로는, 주로 여자들이 음식상을 차려서 운반한다는 점을 배려해 무늬는 아름다우나 무거운 느티나무보다는 가볍고 단단한 은행나무를 많이 사용한다. “목공예의 기본은 소반이지요. 임금님도 소반에 먹고, 양반이나 서민도 소반을 사용했습니다. 머슴에게도 개다리소반에 밥을 차려주었죠. 거지가 밥 빌러 와도 소반에 차려내는 것이 우리의 인심이었습니다. 아무리 보잘것없는 음식이라도 단아한 소반에 오르면 초라해 보이지 않습니다.” 김 장인은 소반의 아름다움 이전에 소반에 담긴 문화를 강조한다. 서양식 식탁은 음식을 먹기 위해 사람이 식탁으로 가야 하지만, 소반은 앉아서 기다리면 음식이 사람에게 온다. 상을 받는다는 것은 한 사람으로서 제대로 대접받는다는 존중의 의미이다. “식탁에 다 같이 둘러앉아 밥 먹는 것도 좋지만, 늦게 들어온 식구에게 밥상을 차려 들여가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넓은 식탁에서 혼자 먹는 것과 일인용 소반을 받아서 먹는 것이 얼마나 다른지 충분히 느낄 수 있지요.” 반월반. 은행나무. 43 × 31 × 28 cm. 반달 모양의 상판에 세 개의 평평하고 넓적한 다리가 달린 소반이 반월반이다. 다른 상과 합체하여 쓰거나 벽면에 붙여 장식용으로 사용하곤 했다. 나주반전수교육관 제공 당초문 나주반. 은행나무. 50 × 36 × 29 cm. 나주반은 대개 간결하게 제작하지만, 더러는 운각에 문양을 넣기도 했다. 짜임새가 견고해 상판이 휘거나 갈라지는 일이 거의 없어 상대적으로 큰 소반이 많은 편이다. 상판이 널찍해서 책상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나주반전수교육관 제공 헌 상을 스승으로 김 장인이 소반의 길로 들어선 계기는 다소 의외다. 1936년생인 그는 같은 연배의 장인들이 10대에 도제(徒弟)로 기술을 배우기 시작한 것과는 달리, 순전히 먹고 살기 위해 20대 초반 나주 영산포에 공방부터 냈다. 누구 밑에 들어가 기술부터 배운 게 아니라, 기술자를 고용해 소반을 만들어 팔았던 것이다. “목수 일을 하던 팔촌 형님이 연장을 물려주며 ‘상을 만들면 먹고 살만은 하다’고 해서 무작정 공방부터 열었어요. 그때만 해도 잘살든 못살든 어느 집이나 장롱은 없어도 상 없는 집은 없었으니까요.” 당시 솜씨 좋은 목수들은 전국을 떠돌며 더 나은 조건의 공방에 머물며 일하곤 했다. 그는 그런 기술자들을 채용해 곁에서 배워가며 상을 만들었다. 단순한 목물상(木物商)이던 그가 맥이 끊긴 나주반에 주목하게 된 계기는 공방을 차린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받은 특별한 주문 때문이었다. “한번은 서울에서 손님이 찾아왔어요. 집안 대대로 내려오던 제사상을 사정상 잃게 됐는데, 그게 나주에서 만든 상이라는 거예요. 그것과 똑같이 만들어 달라며 자세한 그림과 함께 선금까지 내고, 얼마가 걸리든 부탁한다고 했어요.” 아직 기술을 갖추지 못한 그는 나주반의 마지막 장인으로 알려진 이운연(李雲衍 1895~1972) 선생을 수소문해 찾아갔다. 하지만 선생은 고령으로 이미 손을 놓은 상태였다. 이운연은 일제강점기 조선 예술에 매료됐던 일본의 민예 연구가 야나기 무네요시가 『조선과 그 예술』(1922)에서 극찬했던 소반장 이석규(李錫奎 1866~1940)의 아들이다. 결국 그는 서울 손님이 부탁한 숙제를 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참에 전통 나주반의 원형을 알아보기로 하고, 꾀를 내서 헌 상을 수리한다고 알리고 다녔다. 이윽고 집집마다 창고에 묵혀둔 오래된 상들이 하나둘 들어오기 시작했다. 공방에서는 기술자들이 막상을 만들고, 정작 사장인 그는 공방 옆 헛간을 빌려 헌 상을 해체하고 보수하고 조립하는 일에 매달렸다. “웬만큼 먹고사는 집에 한두 개쯤은 있었던 옛날 상들이 엄청 들어왔어요. 그것들을 받아 연구해가며 고치기를 십여 년 하다 보니 나주반을 직접 짤 수 있게 된 거죠. 내 스승은 바로 그 헌 상들입니다.” 배움의 한을 풀다 전통 소목이 그렇듯이 소반도 모든 이음 부분에 쇠못을 사용하지 않는다. 먼저 나무판에 본을 대고 밑그림을 그린 후 재단해 상판을 만들어 대패질한다. 김 장인은 대패질이야말로 상의 품질을 가름할 첫 단추라고 강조한다. 그다음 상의 테두리 부분인 변죽을 만드는데, 이는 상판의 휘어짐과 갈라짐을 막아주는 역할을 해준다. 해주반과 통영반이 상판을 파내서 변죽을 만드는 반면, 나주반은 변죽을 따로 만들어 상판에 홈을 파서 끼운다. 변죽을 돌려서 끼운 다음 상판과 다리를 연결하는 운각(雲脚)을 조각해 상판에 고정시키는데, 이때 접착제 외에 대나무못을 따로 만들어 박아서 고정하는 것도 견고함을 자랑하는 나주반만의 특징이다. 나주반의 운각은 보통 구름 문양이나 당초문이 많이 쓰인다. 상다리를 만들어 운각에 끼운 다음 다리와 다리 사이의 수평을 잡아줄 족대(足臺)를 연결하고 중간 가락지(中帶)를 만들어 다리 사이에 둘러준다. 상판을 대패질하고 있는 김춘식 소반장. 재단한 부재를 대패질한 다음 사포로 문질러 결을 다듬으면 상판이 완성된다. 대나무로 만든 못은 상판에 운각을 고정시킬 때 사용한다. 하나의 운각에 보통 4개의 대나무 못이 쓰인다. 백골 상태의 소반이 완성되면, 옻칠을 하고 말려서 사포로 문지르기를 7~8회 반복한다. 김 장인은 특히 옻칠에 자부심을 내비친다. 옻칠은 습기에 강해 나무를 보호하는 기능적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은은하고 아름다운 광채가 돌게 해준다. 이렇게 상 하나를 완성하는 데 40~60일 걸린다고 한다. 그는 재현해 낸 전통 나주반 70점을 모아 1977년 광주학생회관에서 전시회를 열어 일반에 공개했다. 이 전시는 당시 방송 뉴스에 소개될 만큼 화제가 되었고, 나주반을 세상에 알린 기회가 되었다. 하지만 그의 공방은 존폐 위기에 내몰리기 일쑤였다. 전통 공예 장인들 다수가 그렇듯이 옛것은 지키기가 더 어렵다. 한때 직원이 열여덟이던 공방은 차압을 당하거나 작품이 경매에 넘어가기도 했다. “좋은 나무가 나오면 빚을 내서라도 무조건 사놔야 하는데, 그 나무들은 십 년 이상 묵혀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쌓인 나무만큼 빚인 거죠.” 그는 1986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유산 나주반장으로 지정되면서 공방을 접었고, 이후로는 전수 교육과 제작에만 힘을 쏟고 있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소학교만 겨우 마친 그는 나주반을 만나면서 배움의 한을 풀었다고 한다. 2011년엔 오랜 염원이던 작품 전시실과 공방을 갖춘 나주반전수교육관이 세워졌고, 마침내 2014년 국가무형유산 소반장으로 지정되었다. 그는 전승에 대한 고민도 일찌감치 해결했다. 4남 1녀 중 막내아들인 김영민(Kim Young-min, 金鈴民)이 국가무형유산 전승교육사로 아버지의 뒤를 잇고 있다. 구순을 바라보는 지금도 작업을 손에서 놓지 않는 그에게 소회를 묻자 눈시울이 붉어지며 한동안 말을 잇지 못한다.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일등 공신은 제 아내입니다. 그 사람이 얼마 전 세상을 떠났어요. 진짜 소중한 보물은 잃고 나서야 알게 되는가 봅니다.” 2024년 12월 9일, 그와 62년을 해로한 이상순(李相順) 씨가 세상을 떠났다. 다양한 형태로 조각된 운각들이 벽에 걸려 있다. 나주반의 운각은 구름 문양과 당초 문양이 가장 많이 쓰인다. 상판의 형태와 상관없이 운각은 보통 두 쌍이 들어간다.

삶을 이야기하는 아트 토이

Arts & Culture 2025 SPRING

삶을 이야기하는 아트 토이 한국의 아트 토이 신(scene)은 해외에 비해 출발이 늦은 편이지만, 꾸준히 성장하며 발전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들로부터 꾸준히 러브콜을 받으며 협업하는 작가들도 여럿이다. 올해로 결성 18년째인 핸즈인팩토리(Hands In Factory)도 그중 하나다. 이들은 조형미가 뛰어난 피규어를 넘어 삶을 매개하는 아트 토이 작업을 선보인다. 2008년 결성된 핸즈인팩토리는 한국 아트 토이 신의 1.5세대에 속한다. 업템포(사진 오른쪽), 락쿤, 하종훈(사진 왼쪽) 세 사람이 시너지를 일으키며 팀을 이끌어간다. 이들은 국내외 전시 및 글로벌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작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아트 토이는 창작자의 철학이 깃든 장난감이다. 작가의 세계관과 기획력을 바탕으로 조형화된다는 점에서 단순히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입체화한 피규어와는 차이가 있다. 국내에서 서브 컬처로 치부되었던 아트 토이가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현대 미술의 한 장르로 자리 잡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2000년대 중반부터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는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젊은 소비자들이 신규 컬렉터층으로 등장했고,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이로써 소수의 마니아들을 중심으로 향유되던 아트 토이 문화가 대중적으로 확산되었다. 핸즈인팩토리는 국내 아트 토이 분야의 현재를 보여 주는 대표적인 크루이다. 2008년 결성된 이 그룹은 업템포(UpTempo, 본명 이재헌), 락쿤(RocKOON, 본명 박태준), 하종훈(Ha Jong-hun) 세 사람이 함께 이끌어 가고 있다. 이들은 자유로운 스트리트 컬처를 원동력 삼아 한국 아트 토이 신의 새 지평을 활짝 열어가고 있다. 아트 토이의 어떤 점에 매력을 느껴 시작했나? 업템포: 우선 평면의 그래픽 디자인을 입체로 만들어 현실 세계로 불러낸다는 점이 흥미롭다. 그리고 아트 토이는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와 주제를 구현하는데, 이런 점을 젊은 층이 힙하다고 느끼며 열광한다. 아트 토이 문화의 기반이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이기도 하다. 마치 악보를 읽지 못하는 이들이 기존 질서에 반하는 랩을 만들고, 오늘날 힙합이 전 세계를 관통하는 장르가 된 것처럼 말이다. 아트 토이도 일종의 ‘카운터 컬처’인 셈이다. 또한 아트 토이는 팬들과 소통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의 대표적 캐릭터 ‘러닝 혼즈(Running Horns)’는 ‘Run again and the again’이 슬로건이다. 내 작업을 좋아해 주는 이들에게 “남들 눈치 보지 말고, 당신의 속도대로 꿋꿋하게 달려라”라는 응원의 메시지를 주고 싶었다. 업템포 작가의 대표 캐릭터는 뿔 달린 초식 동물을 의인화한 ‘러닝 혼즈’다. 최근에는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며 소소한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 사람들을 캐릭터에 담아내고 있다. 핸즈인팩토리가 작업을 지속해 나가는 원동력은 무엇인가? 하종훈: 한마디로 명쾌하게 말할 수 있다. 우리가 아트 토이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하지만 매우 중요한 이유이다. 좋아하기 때문에 힘들 때도, 돈이 되지 않을 때도, 어떤 조건에도 상관없이 작업에 몰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언가를 창작하는 일 자체가 흥미롭다. 만들면서 느끼는 즐거움이 크다 보니 자연스럽게 새로운 아이디어가 계속 떠오른다. 이것이 꾸준히 창작을 이어올 수 있었던 또 다른 원동력인 것 같다. 각 캐릭터들의 성장과 세계관의 변화를 들여다보는 재미도 있는 것 같다. 업템포: 보통 아트 토이 작가들은 캐릭터를 창조할 때 자신이 이상적으로 추구하는 요소를 투영한다. 내 경우도 과거에는 스트리트 컬처의 반항적 성격을 표현하거나 내가 입고 싶은 옷을 인형 놀이하듯 캐릭터에 입히곤 했다. 그래서 초기 작품에는 농구 시합하는 청년들이나 래퍼의 모습을 한 러닝 혼즈가 많았다. 최근에는 우편 집배원이나 정비사 같은 새로운 캐릭터가 생겨났다. 시간이 점점 흐르고 나이를 먹을수록 사회적 기준이나 평가에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이 멋지게 보이더라. 하종훈: 도마뱀을 모티프로 한 캐릭터 ‘하자드(Hazard)’를 만든 게 2016년이다. 나 역시 당시에는 캐릭터의 외형 묘사에 집중했다. 10년 정도 지난 지금은 캐릭터의 성격을 확장하고 정체성을 찾아가는 데 주력한다. 겉모습이 귀엽다거나 스타일이 좋다는 평가를 들을 때마다 아쉬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도마뱀 사육장을 디오라마로 연출하고 있다. 캐릭터가 살아가는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생태계의 공존과 삶의 방식을 강조하고 싶었다. 하종훈 작가의 ‘하자드’는 꼬리가 잘려도 계속 살아가는 도마뱀을 형상화한 캐릭터이다. 그는 수많은 난관을 극복하며 강인한 의지로 삶을 이어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캐릭터에 반영한다. 북청사자 프로젝트가 뜨거운 관심을 받았는데 어떻게 작업하게 됐나? 업템포: 우리는 러닝 혼즈와 하자드 캐릭터를 북청사자와 접목해 2023년 12월 공개했다. 스니커즈 브랜드 세븐에잇언더의 협업 제안을 받았을 때 우리는 단순히 그 브랜드의 신발을 신고 있는 캐릭터를 만들고 싶지는 않았다. 기존의 스니커즈 디자인에 핸즈인팩토리의 성격을 어떻게 매치할 수 있을지 고민하다가 문득 북청사자가 떠올랐다. 거대한 사자 가면을 뒤집어쓰고 여러 사람이 호흡을 맞춰 춤을 추는 북청사자놀음(Bukcheong Saja Noreum, Lion Mask Dance of Bukcheong) 말이다. 그때 곰곰이 생각해 보니 우리는 한 번도 한국적인 작업을 고민해 본 적이 없었다. 그 기회에 전통 민속놀이를 모티프로 한 작업을 시도해 보고 싶었다. 세븐에잇언더가 북청사자의 털을 신발끈으로 연출해 보자는 제안도 해줘서 더욱 생동감 있는 결과물이 탄생할 수 있었다. 2023년 말, 핸즈인팩토리가 스니커즈 브랜드 세븐에잇언더와 협업하여 제작한 북청사자 캐릭터.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인 북청사자놀음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했다. 핸즈인팩토리 제공 한국은 아직 아트 토이 마켓이 활성화되지 않았다. 아쉬움은 없나? 업템포: 지금 우리나라에는 아트 토이만 전문으로 취급하는 플랫폼이나 채널이 없다. 아트페어에 참여하거나 전시회를 개최할 때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아티스트들이 개인 웹사이트나 소셜미디어, 온라인 스토어에서 작품을 거래한다. 이런 시스템에서는 중개자가 개입되었을 때보다 구매자와 작가가 더 직접적으로 교류하고 친밀감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대량생산이 가능한 시장과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아트 토이가 ‘문화’를 넘어 ‘산업’의 단계로 성장해 갈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아트 토이의 트렌드는 어떤가? 하종훈: 과거에는 점토가 주된 재료였고, 3D 프린터가 상용화되면서는 대부분 이 방식으로 제작한다. 하지만 근래에는 최첨단 테크놀로지가 이루어 낸 상향 평준화의 반향으로 레트로 느낌이 물씬한 수제 아트 토이가 떠오르는 추세이다. 예컨대 나무를 재료로 써서 의도적으로 투박한 느낌을 주는 식이다. 레진을 사용할 때도 조각칼로 디테일을 덧입히는 등 핸드 메이드의 흔적을 남기려고 한다. 하종훈 작가의 또 다른 캐릭터 바인(VINE)은 퇴근길에 그날그날 기분에 따라 음악을 선곡해 듣는 자신의 모습을 투영했다. 핸즈인팩토리 제공 솔로보다 팀으로 활동하는 이점은 무엇인가? 업템포: 혼자 작업할 때는 한계가 명확하다. 스튜디오에서 제작에만 열중하다 보면, 다른 분야에 관심을 두기 어렵고 익숙한 영역에만 머무르게 된다. 하지만 다양한 분야를 전공한 이들이 팀을 이루어 활동하면 지속적으로 새로운 의견을 접할 수 있고, 미처 생각하지 못한 피드백을 얻기도 한다. 팀원들에게 아이디어를 얻을 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도움도 받으면서 혼자였다면 결코 구현하지 못했을 작업을 해나가기도 한다. 핸즈인팩토리의 올해 계획은? 업템포: 패션 브랜드 뉴에라의 마스코트 캐릭터 ‘팔로(FFALO)’ 디자인을 우리가 했다. 올해 10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컴플렉스콘(ComplexCon)에 뉴에라와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아트 토이 작가로서 굉장히 영광스러운 일이다. 업템포 작가의 작업 공간. 언젠가는 러닝 혼즈를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를 만드는 것이 그의 꿈이다. 하종훈: 내 작품을 2D나 그래픽으로만 전시해 보고 싶다. 우리끼리 대화하면서 디자인이 정말 중요하다고 입버릇처럼 이야기하는데, 오로지 디자인으로만 전시를 꾸려 관객들에게 그 중요성을 전달하고 싶다. 스티커만 몇 백 장씩 있는 전시회는 어떤 모습일지 머릿속에 그려 본다. 스케치 작업을 하고 있는 업템포 작가(왼쪽)와 도색 작업 중인 하종훈 작가(오른쪽). 아트 토이 산업이 발달한 해외에서는 작업 과정을 세분화해 분담하는 경우가 많지만, 핸즈인팩토리는 디자인과 모형 제작, 도색 등 일련의 과정을 모두 각자 혼자서 전담한다.

한강의 ‘질문하는’ 소설들

Arts & Culture 2025 SPRING

한강의 ‘질문하는’ 소설들 한강(Han Kang)은 199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붉은 닻(Red Anchor)」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묵직한 주제 의식으로 국내 내로라하는 문학상을 수차례 받으며 주목받아 온 이 작가는 매 작품마다 인간의 폭력성과 존엄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그녀는 한국 문학의 저력을 세계에 알리는 대표적 작가로 자리매김했으며, 2024년 한국 작가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2024년 12월 10일,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메달과 증서를 받고 있다. 한강은 비극적 상황과 마주한 인간의 고투와 존엄을 유려하고 시적인 문장으로 그려내는 작가다. ⓒ 연합뉴스 노벨상은 세계 최고의 권위를 지니고 있기에 자국민의 수상을 바라기는 어느 나라 사람들이든 매한가지일 것이다. 그런데 이 상에 대한 한국인들의 집착은 별스러운 구석이 있다. 유난한 교육열과 성취욕으로 유명한 한국인들은 어쩌면 그 연장선에서 노벨상 수상을 염원하며 기다리는지도 모른다. 노벨상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가장 지명도가 높고 대중적 관심이 쏠리는 평화상과 문학상에 대한 열망이 특히 높다. 2000년 김대중 당시 대통령이 노벨 평화상을 받으면서 ‘한국인 최초의 노벨상 수상’에 대한 갈증은 가셨지만, 한국인들은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노벨 문학상을 다음 목표로 삼아 왔다. 일본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와 오에 겐자부로가 각각 1968년과 1994년에 이 상을 수상하고, 중국 작가 모옌이 2012년 수상자가 되면서 노벨 문학상을 향한 한국인들의 기대 심리는 한층 커졌다. 한반도와 근접한 두 국가의 작가들이 이 상을 품에 안게 되자 어쩐지 노벨상이 가시권에 들어온 듯한 느낌과 더불어 가까운 이웃 국가들의 문학적 성취에 부러움과 질투가 뒤따랐다. 노벨상으로 상징되는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민간 기관인 대산문화재단과 국가 기관인 한국문학번역원이 오랫동안 한국 문학 작품의 번역과 해외 출간을 지원해 온 것은 그런 배경에서였다. 역사적 트라우마 마침내 2024년 노벨 문학상을 주관하는 스웨덴 한림원이 한국 작가 한강을 호명했다. 오랜 기다림의 끝이요 숙원의 달성이었다. 한국인들은 “노벨 문학상 수상 작품을 원어로 읽는다”는 말로써 한국 문학의 노벨상 수상에 대한 기쁨을 표현했다. 한강의 노벨상 선정 발표 시점에 그녀의 소설들은 28개 언어권에 걸쳐 82권이 번역 출간되었다. 이 통계는 앞서 언급한 대산문화재단과 한국문학번역원의 노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셈이다.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하는 강렬한 시적 산문.” 이것은 스웨덴 한림원이 밝힌 한강의 노벨 문학상 수상 사유다. 이 기관이 한강의 작품들을 소개하면서 덧붙인 자료에는 이렇게 좀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한강의 작품은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동양적 사유와 긴밀하게 연결한다. 한강은 역사적 상처들과 보이지 않는 제약들에 작품으로 맞서며 매 작품마다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다. 한강은 육체와 영혼,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연결에 대한 독특한 인식을 지니고 있다. 시적이고 실험적인 스타일로 한강은 현대 산문의 혁신자가 되었다.” 이 글에서 밝힌 것처럼 역사적 트라우마를 상대로 한 고투는 한강 문학의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두 장편 『소년이 온다(Human Acts)』(2014)와 『작별하지 않는다(I Do Not Bid Farewell)』(2021)는 각각 1980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Gwangju Uprising)과 1948년 제주 4․3 사건(Jeju uprising)이라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적 사건들을 소재로 삼아 그 사건들이 개인에게 가한 폭력과 상처를 특유의 시적인 문체에 담은 작품들이다. 2024년 노벨상 시상식 부대 행사의 일환으로, 한강 작가가 스톡홀름 외곽에 위치한 린케비(Rinkeby) 지역의 다문화학교에 방문해 아이들과 즐거운 한때를 보내고 있다. ⓒ Nobel Prize Outreach, Photography by Nanaka Adachi 한강은 등단 초기에는 주로 개인의 슬픔과 실존적 고통을 즐겨 다루었고, 2007년에 낸 연작 소설 『채식주의자(The Vegetarian)』에서는 육식 문화와 가부장제 같은 사회적 차원의 억압과 폭력을 문학적 도전 대상으로 삼았다. 이 작품은 고기를 먹지 않으려는 주인공 영혜를 둘러싸고 영혜의 남편과 아버지, 형부 등이 가하는 유무형의 폭력, 그 폭력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사코 육식을 거부한 채 차라리 나무가 되기를 꿈꾸는 영혜의 모습을 통해 폭력의 본질과 위험성을 환상적 필치로 그렸다. 데버라 스미스가 번역한 이 소설의 영어판이 2016년 세계적 권위를 지닌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을 수상하면서 한강은 일약 글로벌 작가로 떠올랐다. 이어서 영어로 번역된 소설 『흰(The White Book)』이 2018년 다시 한번 같은 상의 최종 후보에 오르고, 2023년에는 『작별하지 않는다』가 프랑스 메디치 외국문학상을 수상하면서 한강의 노벨상 수상 가능성은 한층 높아졌다. 근원적 질문 한강의 주제 의식은 개인의 아픔에서 사회적 억압 쪽으로 나아갔으며, 여기에서 다시 역사적 차원으로 작품 세계를 확장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관련해 주목할 만한 증언이 있다. 문학평론가인 정과리(Jeong Gwa-ri) 연세대 명예교수는 한강의 노벨상 수상 결정 이후 한 언론 인터뷰에서 2010년 무렵 대학원 제자였던 한강이 자신에게 들려준 이야기를 소개했는데, 이러했다. “앞으로 다큐멘터리 쪽으로 나아가려고 합니다.”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가 이러한 발언 이후에 쓰였다는 점에서 정 교수의 증언은 의미심장하게 들린다. 물론 두 작품이 비록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삼기는 했지만, 과거에 벌어졌던 사건을 사실 그대로 기록하는 다큐멘터리와는 거리가 멀고, 어디까지나 문학적 가공과 형상화를 거친 작품들이기는 하다. 그러나 역사적 사건의 문학적 승화의 바탕에는 아무래도 해당 사건을 기억하고, 유예된 애도를 이어 가려는 의도가 자리하고 있다 해야 할 것이다. 『소년이 온다』의 중심 인물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벌어진 계엄군의 학살에 희생된 열다섯 살 소년 동호와 그의 친구 정대, 그 누나 정미이다. 그런데 동호와 정대의 주변 인물 중 살아남은 이들이 화자가 되어 당시 상황과 이후 이야기를 이끌어간다는 사실은 이 작품의 일차적 동기가 기억과 애도라는 것을 알게 한다. “네가 죽은 뒤 장례식을 치르지 못해, 내 삶이 장례식이 되었다.”라는 작품 속 유명한 문장에 그 동기는 시적으로 압축되어 있다. 이 문장의 일인칭 대명사는 일차적으로는 동호와 함께 도청 상무관에서 시체 수습 일을 했던 은숙을 가리키지만, 그녀 말고도 사태에서 살아남은 다른 이들, 더 나아가서는 소설을 읽는 모든 독자들 역시 그 범주에 포함될 만큼 보편성을 지닌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군사 쿠데타와 폭력 사태를 경험한 튀르키예나 아랍 독자들이 이 소설을 자신들의 이야기로 읽었다는 독후감이 그 점을 확인시킨다. 『소년이 온다』는 한국의 역사적 경험을 통해 폭력과 저항, 희생과 기억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다루어 세계 독자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이 소설에는 그보다 더 근본적인 질문이 있고 그것이 이 작품의 가치와 의미를 더 높인다고 보아야 한다. “인간은 무엇인가. 인간이 무엇이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소설에 삽입된 이 문장은 광주 5․18이라는 한국 현대사의 한 대목에서 출발해 스페인 내전과 아우슈비츠, 보스니아 학살 등 인류사의 비슷한 경험들을 관통하는 근원적인 질문이라 하겠다. 한강은 자신의 소설을 가리켜 ‘질문의 소설’이라고 했는데, 『소년이 온다』를 읽는 일은 독자들이 소설 속 질문에 각자의 방식으로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2021년 문학동네에서 발간한 장편 『작별하지 않는다』 표지. 2023년 프랑스 메디치 외국문학상 수상작이다. 2016년 인터내셔널 부커상을 수상하며 한국 문학의 입지를 한 단계 확장한 소설 『채식주의자』. 2024년 출판사 창비가 출간 15년 만에 새로운 장정으로 선보였다. 2014년 작 『소년이 온다』는 전 세계 20여 개국에 번역 출간되었고, 2017년 이탈리아 말라파르테 문학상을 받았다. 공감과 실천 『작별하지 않는다』는 제주도에서 벌어진 군경의 민간인 학살 사건을 다루었다. 작품 앞부분에서 소설가로 등장하는 경하는 그 도시의 학살에 대한 책을 낸 뒤 개인적으로 힘든 시기를 겪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소설은 경하와 시각 예술가 인선의 우정에서 출발해 인선의 어머니 강정심의 투쟁으로 무게중심이 옮겨 간다. 강정심은 제주 4․3 당시 잡혀가 실종된 오빠의 행방을 찾고자 평생을 분투했는데, 독자들은 그 과정에서 연약한 한 여성이 강인한 역사적 주체로 부각되는 모습을 확인하게 된다. 이 세 작품과 함께 2011년 작 『희랍어 시간(Greek Lessons)』이 비교적 여러 나라에 소개되어 있는데, 힘든 일을 겪으며 말하는 기능을 상실한 여성과 점차 시력을 잃어 가는 남성이 서로의 취약점을 알아보고 위안과 힘을 주고받는 모습이 그려진다. 이 소설 역시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과 실천이라는 한강 문학의 큰 주제를 다루었다 하겠다.

임영웅과 영웅시대

Arts & Culture 2024 WINTER

임영웅과 영웅시대 임영웅(林英雄 Lim Young-woong)의 서사는 단순한 성공의 이야기를 넘어섰다. 그의 노래는 음률을 넘어 대중의 삶에 위로와 용기를 불어넣으며, 팬덤은 그 선한 영향력을 세상에 퍼뜨리는 등불이 되어주고 있다. 그들이 만들어낸 따뜻한 공동체는 우리에게 진정한 영웅이 무엇인지 새삼 일깨운다. 임영웅의 팬은 대부분 중장년 층이다. 이들은 팬덤 활동을 통해 공동체를 만들어가며, 봉사와 기부로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전한다. ⓒ 물고기뮤직, CJ ENM 일본에서 새롭게 형성된 대중음악의 음악적 영향을 받아 형성된 한국의 ‘트로트’는 임(사모하는 사람)과 고향을 잃은 아픔과 그에 대한 그리움을 그려 당대인의 큰 호응을 얻었다. 옥스퍼드 영어사전에는 트로트가 한국 대중음악의 한 장르이면서 한국 전통 창법과 일본, 유럽, 미국 대중음악의 영향을 결합한 장르로 소개되었다. 부침을 겪으면서도 생명력을 잃지 않은 트로트는 현재 한국의 대표적인 대중음악 장르로 자리하고 있다. 영웅의 탄생 요즘 국내 트로트의 대세는 단연코 임영웅이다. 그는 2016년 디지털 싱글 < 미워요 >로 데뷔한 그는 2017년 KBS 시사교양 프로그램 < 아침마당 >의 ‘도전 꿈의 무대’에서 5연승을 하며 이름을 알리더니, 2020년 TV조선의 트로트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본격적인 전성기의 문을 열었다. 이후 이듬해 발매한 < 별빛 같은 나의 사랑아(My Starry Love, 我如同星光般的爱) >가 MBC 음악 프로그램 < 쇼! 음악중심(Show! Music Core, Show! 音乐中心) >에서 1위를 차지함으로써 독보적인 인기를 입증했다. 트로트 곡이 음악 프로그램에서 정상에 오른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또한 한국 최대 음원 플랫폼인 멜론에서 누적 스트리밍 100억 회를 달성했는데, 이는 BTS에 이어 두 번째이고, 솔로 가수로는 최초다. 그의 공연 실황을 담은 영화 < 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 >은 지난 2024년 8월 28일 개봉한 이후 357,858명의 관객수를 기록했다. 창간 20주년을 맞이한 스타뉴스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갤럽과 함께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그는 ‘21세기 가장 사랑받은 트로트 가수’ 1위에 올랐다. 막강한 팬덤을 거느리며 이른바 ‘임영웅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에서 그는 여타 트로트 가수들과 차별화된다. 콘서트 공연 실황을 영화로 담은 < 임영웅 | 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 > 포스터 ⓒ 물고기뮤직, CJ ENM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국민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할 당시 임영웅의 감미롭고도 부드러운 노래는 불안한 많은 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어루만져 주었다. < 내일은 미스터트롯 > 방송 당시 실시간 국민 투표 7,731,781표에서 전체 득표수의 25%를 차지하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이루어낸 성과이니 그의 인기가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한때의 유행인가 했는데 그 인기가 벌써 몇 년 동안 이어지고 있는 데다 오히려 날로 높아가니 일시적인 신드롬으로 치부하기 어렵다. 영웅의 일대기를 닮은 삶 임영웅의 출현은 이름 그대로 영웅의 탄생이었다. 고난과 역경을 이겨낸 그의 개인 서사는 많은 사람에게 연민과 공감의 감정을 불러왔다. 임영웅의 서사는 영웅의 일대기 구조와도 닮아있다. 영웅의 일대기를 비범한 탄생, 고난과 성장, 조력자의 도움, 위기 극복 후 승리자가 되는 것으로 볼 때, 완벽하게 일치하지는 않더라도 임영웅의 개인 서사를 설명하는 데 이러한 영웅의 일대기가 유효하다. 모든 영웅의 서사에서 나타나는 고난과 역경을 임영웅의 성장 과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일차적 고난은 아버지의 부재에서 비롯한다. 임영웅의 나이 5살 때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돌아가시면서 임영웅의 가족은 큰 시련을 겪었다. 경연 당시 임영웅은 아버지가 잘 불렀다는 배호(裵湖 Bae Ho)의 1969년 리메이크곡 로 대중의 큰 공감을 받았는데, 노래에 개인적인 서사가 더해져 감동적으로 다가왔다. 거기에 더해 그는 긴 무명 시절이라는 고난을 겪었다. 가요계에서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던 그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음식점 서빙부터 공장, 마트, 편의점 등에서 일하며 안 해본 아르바이트가 없었는데도 한 달 수입이 30만 원이었고, 데뷔 이후에도 겨울에 군고구마 장사를 하며 생계를 이었다고 한다. 그렇게 어려운 상황에서도 그는 음악을 포기하지 않고 음악에 대한 열정을 이어갔다. 고난은 성장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걸 몸소 보여주었는데, 발라드에서 트로트로 주 장르를 바꾸고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한 것은 그에겐 모험이면서 동시에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되었다. 기회는 준비된 자의 거라는 말을 증명하듯, 그는 오디션을 통해 실력은 물론이고 성실함과 겸손함까지 보여주며 대중의 호응을 얻었다. 신화나 전설에 등장하는 비범한 능력의 소유자인 고전적 영웅과 달리 현대의 영웅은 꾸준한 노력과 인내를 통해 성공을 이룬다. 오디션이라는 경쟁적 시스템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임영웅은 노력과 열정으로 성공을 이루어낸 현대의 영웅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하게 언급해야 할 게 있다. 바로 임영웅이 영웅으로 우뚝 서는 데 도움을 준 조력자다. 그가 영웅이 될 수 있던 건 조력자 덕분인데, 그 조력자가 바로 임영웅의 팬이라 할 수 있다. 중장년층의 버팀목이 되다 현재 그의 공식적인 팬카페 ‘영웅시대’의 회원 수는 20만 명을 넘었다. 임영웅의 팬은 아이돌의 팬 못지않게 충성도가 높다. 임영웅 팬의 특징은 여타 트로트 가수들의 팬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전 세대에 걸쳐 다양한 연령대가 고루 분포한다는 점이다. 그래도 역시 주축은 50대와 60대의 중장년층 여성들이다. 중장년층의 여성들은 중년 이후에 찾아오는 갱년기나 자녀가 독립하여 집을 떠난 후 양육자가 느끼는 슬픔이나 외로움을 뜻하는 ‘빈 둥지 증후군’을 극복하는 방식으로 임영웅을 선택했는지도 모른다. 아무도 들어오지 않는 텅 빈 가슴에 어느 날 들어온 임영웅은 그들이 삶을 살아가게 하는 원동력이자 버팀목이 되었다. 그냥 하는 소리가 아니다. 실제로 임영웅의 팬 중 많은 이들이 소위 ‘팬질’을 시작하면서 우울증과 불면증이 사라졌다고 고백한다. 아무 의미와 즐거움을 찾을 수 없던 그들은 팬 활동을 하며 존재 이유를 찾고 자신처럼 고립된 여성들과 연대하며 공동체를 만들어 간다. 고립에서 연대로, 소외에서 공감으로 나아가며 ‘다시’ 살기를 시작한 셈이다. 중장년층 여성들의 정신 건강을 책임지고 모든 가정의 화목과 평화에 이바지하였으니, 그의 업적은 그것만으로도 상당하다. 2024년 5월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콘서트 현장. 이 날 콘서트에는 그의 팬인 ‘영웅시대’ 약 10만 명이 함께 했다. ⓒ 물고기뮤직, CJ ENM 물론 이는 단지 임영웅의 팬에만 해당하지는 않는다. 다른 가수의 공연 현장에서 종종 만나는 중장년층의 여성들은 자신의 스타를 위해 연계하고 연대한다. 그런데 임영웅의 팬이 여타 팬들과 다른 점은 일단 그 규모 면에서 우리나라 1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그들은 다른 가수가 아닌 임영웅을 선택하였을까? 임영웅의 개인적인 서사가 지닌 힘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거기에 더해 그가 보여주는 노래와 태도가 팬들의 공감을 받았다고 생각한다. 기존 트로트와 비교할 때 그는 비장하거나 비극적인 걸 강조하기 위해 과장된 몸짓이나 과잉된 감정을 표출하지 않는다. 창법에서 그는 담담과 덤덤 사이를 오가며 말하듯이 노래한다. 그런데 그게 오히려 대중에게 깊은 감흥을 불러일으켰다. (2020)나 (2021) 같은 노래에는 남성을 지칭하는 단어가 나타나지 않으며 허세를 부리는 남성도 등장하지 않는다. 노래, 창법, 태도 등에서 ‘부드러운 남성성’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주효하였다. 또한 임영웅의 팬은 기부와 봉사 활동을 통해 선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기부의 형태도 다양하여 청소년 자립 지원 기부, 장애인 가정에 기부, 소아암 환아를 위한 기부 선행을 이어가며 팬덤의 선한 영향력이 무엇인지 보여주고 있다. 임영웅의 인성과 실력, 그리고 그를 지지하는 팬들이 만드는 수많은 미담은 세상은 아직 살 만하다고, 그래서 살아야 한다고 말해주는 것 같다. 결국 임영웅이란 이름은 한 개인의 성공을 넘어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이들의 희망이 되어 가고 있다.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