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2년, 병든 칼 마르크스는 지중해 기후의 도움을 얻기 위해 알제리로 간다. 불행하게도 그가 바랐던 것보다 날씨는 그의 건강에 좋지 않았고 결국 회복하지 못했다. 그래도 알제리에 머무는 동안 마르크스는 희곡 쓰기에 대한 열망을 되찾았고,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된 유일한 극 작품인 『알제리의 유령들』을 썼다.
마르크스는 얼마 있지 않아 런던에서 숨을 거뒀다. 그리고 백 년이 더 지나 박선우가 파리의 헌책방에서 그 희곡을 발견하고 여전히 냉전 이데올로기 공포에 사로잡혀 있던 한국으로 가져온다. 그와 그의 친구들이 당국의 법에 저촉되는 건 시간문제였다.
『알제리의 유령들』은 오랫동안 분실되었던 마르크스의 희곡이기도 하지만 전설적 극작가 탁오수가 은퇴를 선언하고 제주도에 ‘알제리’라는 바를 열기 전 마지막으로 연출한 작품이기도 하다. 물론 이는 황여정 작가가 문학상을 받으며 데뷔한 소설 제목이기도 하다. 이렇게 겹치는 여러 층위는 소설 자체의 은유로 작용한다. 소설은 섬세하게 제작된 퍼즐 상자처럼 첫눈에 아무것도 드러내지 않으며, 독자들이 박스 안의 비밀을 캐내기 위해 이런저런 방식으로 박스를 찔러보며 이 다층적 서사의 의미를 알아내기 위해 애쓰도록 만든다.
소설은 네 부분으로 나뉘어 있고 세 명의 화자가 이야기를 서술한다. ‘율의 이야기’는 희곡의 그늘 아래서 성장한 젊은 여성이 부모와 자신의 삶을 이해하려 애쓰는 모습을 따라간다. ‘철수의 이야기’는 진실을 찾아가는 불안정한 한 청년의 여정을 기술한다. ‘오수의 이야기’는 서사의 흩어진 조각들을 가능한 해석으로 통합한다. 마지막 부분은 율에게로 되돌아가지만, 이야기는 또 다른 전환을 겪는다. 이 다양한 관점들은 서로 보완되어 일어났던 일을 더 완전한 그림으로 그려내지만, 어떤 면에서는 맹인들이 코끼리를 설명하려고 하는 우화와 같다. 모두가 자신의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고, 누구도 온전하게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모든 답을 알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오수조차도 어떤 객관적인 사실보다 진실의 구도자인 철수의 믿음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모든 이야기는 진실과 거짓의 혼합물이다. 사람들이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것을 보고 듣고 경험한다 해도, 그것을 각자 다르게 기억한다. 가끔은 실제로 당신이 직접 본 것과 들은 것, 경험한 것조차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 율은 희곡 자체에 대해 누구보다도 관심이 없어 보이지만 결국 서사의 많은 실타래를 다시 모으는 것은 그녀이다. 하지만 결과는 여러 갈래의 끝마디를 모아두었을 뿐 깔끔하게 정돈된 매듭은 아니다.
이야기꾼으로서의 황여정 작가의 재능이 이 소설에서 확실하게 드러나는데, 독자의 관심과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요소를 충분히 보여주면서도 카드를 모두 펼치지 않고 독자를 이끌어 가기 때문이다. 우리는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고, 결국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싶어 하지만 작가는 쉬운 답을 피해 간다. 모든 이야기에 사실과 거짓이 섞여 있는 것처럼 모든 이야기는 만화경과 같다. 그것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눈을 통해 굴절된 빛 조각들로 이루어진 것이다. 결국 어떤 것의 ‘진실’을 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가 설사 진실에 근접한 것을 찾아낸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결국 중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알제리의 유령들』은 여정이 목적지보다 더 중요하다는 격언을 재확인시킨다. 이 여정이 독자들에게는 많은 것을 생각해 보게 만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