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일 년 반 동안 코로나 19가 가져온 팬데믹으로 꼼짝하지 못한 많은 사람들은 언젠가 뉴노멀로 돌아갔을 때 하게 될 여행을 꿈꾸고 있다. 그런데 다음 목적지가 열대 해안가나 유서 깊은 도시가 아니라 최근에 일어난 지진으로 파괴되거나 쓰나미로 덮쳐진 도시, 혹은 싱크홀에 빨려 들어간 곳이라면? 윤고은의 소설 “밤의 여행자들”은 바로 이 상황을 전제로 한다. 소설의 주인공 유나는 재난여행 패키지 상품을 제공하는 여행사 ‘정글’에서 일한다.
도대체 누가 재난 지역을 여행하고 싶어 할까? 정글의 고객은 특별히 섬뜩함을 즐기는 사람들도, 다른 사람들의 불행을 즐기는 사람들도 아니다. 한 대학생 고객처럼 초토화된 재난 지역을 돕는 ‘윤리적 관광’의 기회로 삼는 이들도 있고, 다섯 살 된 딸과 함께 여행하는 한 초등학교 교사처럼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는 이들도 있다. 또는 단순히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요나가 알고 있는 것처럼 좀 더 내밀한 힘이 작용하고 있기도 하다. 모든 게 산산조각 난 장소에 있으면 재난의 위험이 늘 도사리고 있음을 실감하고 자신이 여전히 살아있음을 재확인한다. 자연 재난 피해자 추첨에서 뽑히지 않음을 기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여행 직전 진해에 닥친 쓰나미를 경험한 여행자들에겐 더욱 강렬하게 와 닿는다. 이들이 겪은 재난은 소설에서 직접적으로 묘사되진 않지만 그 끔찍한 여파는 소설 전체를 관통하며 독자들에게 전달된다.
살던 곳의 재난을 뒤로 하고 여행자들은 베트남 해안에서 떨어진 무이 섬 여행을 단행한다. 요나는 스스로 원해서 여행을 온 게 아니라는 점에서 남다르다. 회사 상사에게 성추행을 당하고 직장 동료들이 자신을 꺼린다는 걸 알게 된 후 그녀는 사직서를 낸다. 하지만 놀랍게도 퇴사 대신 한 달 휴가를 받고 회사의 패키지투어에 동행하게 된다. 고객으로서가 아니라 패키지 상품을 지속할만한지 평가하기 위해서이다. 유나는 그렇게 다른 여행자들과 무이 섬으로 떠나고 그곳에서 오래된 씽크홀과 그저 그런 화산, 그리고 부족 간에 일어난 대학살의 재연을 보게 된다. 그녀는 희생자 부족의 한 가정에 머문다.
요나가 예정대로 한국으로 돌아와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했다면 그녀의 이야기는 그다지 특별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한 순간의 방심으로 그녀는 공항으로 가는 길에 그룹과 떨어지게 되고 베트남 시골 지역에 혼자 남겨진다. 또 한 번의 방심으로 그녀는 지갑과 여권을 소매치기 당한다. 평소 그토록 경멸하던 문제 많은 여행자가 된 것을 자책하며 그녀는 무이 섬을 다시 찾아 가고, 그 휴양지 섬에서 표면 아래 숨겨진 섬뜩한 현실을 마주한다.
소설은 긴장감과 반전으로 가득한 이야기를 사회적 이슈에 대한 예리한 시선과 결합해 독자가 찜찜한 기분으로 많은 생각에 잠기게 한다. 특히 휴가를 해외에서 보낸 경험이 있는 독자라면 더욱. ‘진짜’를 경험하고자 할 때 우리는 정확히 무엇을 원하는가? 우리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정교하게 꾸며진 외관 뒤에는 무엇이 있는가? 입을 크게 벌린 싱크홀처럼 공동체 전체를 집어삼킬 듯 위협적인 산업에 온전히 의지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이야기는 여전히 심각성을 유지한 채 막판으로 치닫고 독자는 이야기를 겨우 따라갈 뿐이다. 마지막 장을 넘긴 후에도 소설과 소설이 던지는 질문은 강한 여운을 남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