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style
Lifestyle
2023 AUTUMN
신나는 음악적 혁명
2020년 결성한 얼터너티브 일렉트로닉 듀오 해파리(HAEPAARY)는 국악을 현대적 비트로 재해석한 음악을 선보인다. 이들의 독창성은 2022년 한국대중음악상(Korean Music Awards)에서 받은 최우수 일렉트로닉 음반상과 최우수 일렉트로닉 노래상이 입증한다. 서울 합정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무대륙(Mudaeruk, Mu-大陸)에서 두 사람을 만나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얼터너티브 일렉트로닉 듀오 해파리(HAEPAARY)는 노래하는 박민희(사진 왼쪽)와 연주하는 최혜원이 만나 2020년 결성했다. 이들은 대중음악과 국악을 재료로 삼아 자신들의 화법으로 새롭게 재구성하는 음악 작업을 선보이고 있으며, 한국 전자음악계에 새로운 신호탄을 던진 것으로 평가받는다.
2019년, 얼터너티브 팝 밴드 이날치(LEENALCHI)가 발표한 < 범 내려온다(Tiger is Coming) > 는 일대 돌풍을 일으켰다. 판소리 < 수궁가(水宮歌) > 를 포스트펑크 장르로 재해석한 이 곡에 매료된 대중은 이를 기점으로 국악적 요소와 팝 음악을 결합하는 다양한 음악적 시도에 큰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 소무-독경(A Shining Warrior - A Heartfelt Joy) > . 2021년 발매한 해파리의 첫 EP< Born By Gorgeousness > 의 수록곡 중 하나이다. 이 앨범은 2022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일렉트로닉 음반상을 받았다.
박민희(Minhee, 朴玟姬)와 최혜원(Hyewon, 崔惠媛)이 결성한 일렉트로닉 듀오 해파리(HAEPAARY)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조용히 그리고 차갑게 등장했다. 2021년 발표한 데뷔곡 < 소무-독경(A Shining Warrior - A Heartfelt Joy, 昭武-篤慶) > 은 앰비언트 뮤직에 가까운 차가운 비트 위로,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를 기리는 제사에 쓰였던 종묘제례악이 흐른다. 국악 타악기의 영롱한 사운드가 빛나는가 하면 후반부에는 나직한 내레이션이 삽입되어 마치 공포 영화의 사운드트랙처럼 들리기도 한다.
데뷔 때부터 독창적 음악 세계를 선보인 해파리는 날카로운 혁명가처럼 느껴진다. 수백 년 전 창작된 한국의 음악 전통을 끌어오되, 시대착오적 텍스트를 해체하거나 성 역할을 깨부순다. 예컨대 이들은 남성의 영역인 남창(男唱) 가곡을 부르기도 하고, 남성 위주였던 조선 시대의 풍류 문화를 여성적 관점으로 뒤엎어 해석한다. 고정관념과 보수적 음악에 환멸을 느끼던 젊은이들이 이들의 음악에 환호하는 이유다.
두 사람 모두 국악 전공자인데, 국악을 전공하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혜원: 어렸을 때 김덕수(Kim Duk Soo, 金德洙) 사물놀이패에서 어린이 예술 단원으로 활동했다. 김덕수 사물놀이패와 다국적 재즈 그룹 레드 선(Red Sun)이 협업한 앨범에 심취하며, ‘전통 장단을 어떻게 이렇게 가지고 놀지?’ 하고 생각했다. 월드뮤직 그룹 훌(WHOOL)과 함께 공연도 했고, 뭔가 새로운 것을 계속 추구했다. 국악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가서는 일렉트로닉 뮤직에 흠뻑 빠지게 됐다. 민희: 어린 시절, 아버지 손에 이끌려 시조와 가곡을 배우러 간 게 계기였다. 전통성악곡인 시조, 여창(女唱) 가곡, 가사를 익히면서 일반 고등학교에는 진학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했다. 중학교 때는 미국 래퍼 투팍(Tupac)을 좋아했고, 우리나라 펑크 록 1세대 밴드인 크라잉넛의 < 양귀비 >같은 노래를 들으며 열광했다. 오빠 친구들이 들려주던 영국 메탈 밴드 블랙 사바스(Black Sabbath)의 음악에도 귀를 기울였다. 그러다가 국악 고등학교에 진학해 전통 기악곡인 < 수제천(壽祭天) > 을 듣고 충격을 받았다. 그동안 접했던 프로그레시브 록, 아트 록보다 훨씬 더 특이했기 때문이다. 가야금 연주자 황병기(Hwang Byung-ki, 黃秉冀),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Nam June Paik, 白南準) 같은 혁명적 예술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든 게 그 무렵부터였던 것 같다.
데뷔 후 지금까지 느낀 시장의 반응은 어떤가? 민희: 국악계로 수렴되지 않고 일렉트로닉 음악, 나아가 대중음악 시장에서 자리매김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이자 숙제였다. 에스파 같은 K-pop 그룹과 함께 2022년 한국대중음악상 신인상 후보에 오르거나 우리 앨범이 음반 가게에서 앰비언트 뮤직 듀오 살라만다(Salamanda) 옆에 나란히 놓이는 일을 해낸 것이 일차적 성과라고 생각한다.
일렉트로닉 뮤직 신에서는 해파리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궁금하다. 혜원: 독특한 사운드를 많이 사용해서인지 악기 소스를 가장 먼저 물어본다. 국악 소스를 샘플링 하기도 하지만, 사실 다른 전자음악가들이 사용하는 소스를 조금 변형하는 경우가 더 많다. 국악적 요소를 의도적으로 시도하지는 않는데, 아무래도 우리의 음악적 라이브러리에 대중음악과 국악이 둘 다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국악적인 뉘앙스가 풍기는 것 같다.
좀 전에 에스파를 언급했는데, K-pop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 경포대로 가서(go to gpd and then) > . 전통적인 남창 가곡(男唱 歌曲, 남성들이 풍류를 즐기며 부르는 노래)을 비틀어서 재해석한 곡이며, 2022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일렉트로닉 노래상을 수상했다.
민희: 청중으로서 K-pop을 좋아한다. 하지만 창작자로서 그들과 우리의 길은 다르다. 그들은 매끄러움을 지향하지만, 우리는 다른 질감을 추구한다. 예를 들어 평균율에서 벗어난 음, 정박에서 벗어난 박자, 뭐 그런 것들…. 에스파가 선보이는 아바타와 우리가 < 경포대로 가서(go to gpd and then) > 뮤직비디오에서 보여 준 아바타는 대단히 큰 차이가 있다.
혜원: < 경포대로 가서 > 뮤직비디오는 네덜란드의 안무 그룹이 공공 지식재산 차원에서 무료로 배포한 아바타 소스를 활용해 우리의 춤을 얹었다.
민희: 지식재산권에 접근하는 태도를 비롯한 수많은 결에서 K-pop과 우리의 지향점이 상당히 다르다. 우리는 아이돌 그룹처럼 퍼포먼스 훈련을 받은 적이 없는데, 그래서 의도를 읽히기도 전에 서툴고 지루한 퍼포먼스로 치부될까 봐 두렵다.
수백 년 전 음악과 현대 전자음악 두 가지를 동시에 펼쳐내기가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 같다. 혜원: 앨범 녹음을 할 때도 그렇지만 특히 라이브를 할 때 늘 난관에 봉착한다. 민희의 전통적 가창과 발성이 무대 위에서 표출되는 전자 사운드와 잘 붙지 않을 때가 많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사운드 믹스를 조율한다. 앨범 작업을 할 때 프랑스 전자음악 듀오 다프트 펑크(Daft Punk)처럼 사람의 음정을 기계음으로 바꿔 주는 보코더(vocoder)를 써 본 적도 있다. 하지만 효과적이지 않았다. 민희: 플라멩코의 클래식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스페인 뮤지션 로살리아(Rosalia), 예멘 전통음악과 힙합을 혼합하는 이스라엘 그룹 에이와(A-WA)가 좋은 본보기인 것 같다. 물론 그들과 우리는 처한 환경이 다르다. 그들의 경우 자신들이 가진 서구적 전통과 현대적 비트가 잘 맞아떨어지는 측면이 있는 반면에 우리는 아직도 한국 전통 가곡의 뉘앙스를 지금의 것과 결합하는 데 애를 먹는다. 힘들지만 풀어 나가는 보람은 있다. 혜원: 음악을 만들 때 서양 일렉트로닉 음악의 2박 체계와 국악의 3박 체계를 종종 혼용하는 편이다. 민희의 가창이 정박을 벗어나기 때문에 믹싱 엔지니어가 수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묻는 사람도 있는데, 우리는 오히려 그런 상황이 재밌고 매력적으로 느껴진다.
전통적 텍스트에 표출된 성 역할을 전복하는 재해석이 흥미롭다. 민희: 청개구리 기질이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우리가 젠더적 관점에만 관심 있는 건 아니다. 일전에 어떤 공연에서 조선 시대의 문신 남구만(南九萬, 1629~1711)이 지은 유명한 시조 < 동창이 밝았느냐 > 를 풀어냈다. 그런데 ‘소 치는 아이는 상기 아니 일었느냐’라는 대목을 도저히 그냥 둘 수 없었다. 아동 인권 착취가 아닌가. 그리고 < 시작된 밤 > 이라는 곡에서는 성 소수자의 사랑을 다뤘다. 20세기까지 당연시해 왔던 여성 혐오, 약자 착취를 비롯한 사회적 불합리에 대해 질문하고 예술 안에서 각색해 보여 주는 것이 우리에겐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올해 계획, 그리고 장기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혜원: 첫 정규 앨범을 준비 중이다. 10월에는 스페인에서 열리는 월드뮤직 페스티벌 워맥스(WOMAX)에 참여할 계획이다. 사실 월드뮤직 말고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 무대에 더 많이 서고 싶다. 민희: 정좌하고 앉아서 우리 음악을 감상하는 분들보다 ‘미치게 취한 사람들’ 앞에서 더 많이 공연을 하고 싶다. 그래서 앞으로는 신나는 음악을 많이 만들어 볼 작정이다.
2023년 5월 20일, 서울 합정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무대륙(Mudaeruk)에서 공연 중인 해파리. 이들은 관객들이 흥에 취해 몸을 들썩일 수 있는 곡을 만들고 싶어 한다.
임희윤(Lim Hee-yun, 林熙潤) 음악평론가
Lifestyle
2023 AUTUMN
완벽한 취향과 미래의 고민을 담아 만든 매거진
『어반라이크』는 일 년에 두 번 발행되는 잡지지만 실체는 무크 또는 단행본에 가깝다. 시작은 매달 발행하는 타블로이드 매거진으로, 도시 감성의 패션과 라이프스타일을 주로 다루었다. 김태경 편집장은 대학 시절 우연히 발을 들인 이 일을,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지나고 보니 선택의 순간마다 자신도 모르게 책을 만드는 일을 선택하고 있었다고 말한다.
김태경(金泰庚) 씨는 도시를 의미하는 ‘urban’에 ‘like’를 더한 만든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어반라이크』의 편집장을 맡고 있다.
새벽 다섯 시. 그녀는 잠에서 깨어나 ‘새벽에 하는 일’을 시작한다. 이를테면 차를 마시는 일, 음악을 듣는 일, 책을 읽는 일. 잠으로 충전된 몸과 마음이 차와 음악과 책을, 새로운 하루를 오롯이 받아들인다.
학생 기자에서 편집장이 되기까지
한 가지 주제를 다루는 『어반라이크』는 일 년에 두 번 발행된다. 소모성 잡지 보다는 아카이빙의 기능에 더 충실한 편이다.
도시를 의미하는 ‘urban’에 ‘like’를 더해 만든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어반라이크』의 편집장 김태경(金泰庚) 씨의 새벽시간은 오 년 전쯤 시작되었다. 그전까지는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야행성 생활을 이어왔다.
“몸이 좀 안 좋았어요. 건강을 위해 뭔가 하긴 해야겠는데 운동은 귀찮고 건강식을 챙겨 먹는 것도 번거로울 것 같아서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보자’라고 마음먹었어요. 밤에 하던 일들을 새벽에 하는 거죠. 그랬더니 몸이 좋아졌어요. 삶의 질도 달라지고 풍성해진 기분이더라고요.”
그녀가 잡지계에 발을 디딘 건 대학교 1학년 때였다. “각 신문사에서 패션 잡지를 만들 때였어요. 학생 기자를 뽑는다는 광고를 보고 엽서로 응모했어요. 친구들이 커피숍 같은 데서 아르바이트할 때, 저는 선배들 서포트하고, 스트리트 패션 취재했는데 그 일이 꽤 재미있었어요.”
전공인 경영학보다 잡지사 일이 신났지만 내심 간직하고 있던 꿈은 따로 있었다. “드라마 PD가 되고 싶었어요. 이 일은 재미있으니까 잠깐 해보는 거지, 그랬는데 제가 졸업하던 1998년도에 IMF가 터졌어요. 그때 어느 잡지사에서 제의가 왔고, 취직하기도 힘든데 잘됐다 싶어 입사했어요. 그때 시작한 이 일을 이 나이 되도록 이 일을 계속할 줄은 그땐 정말 몰랐죠.”
취향과 개성을 담은 잡지
매거진은 해당 호 주제에 따라 책의 페이지나 크기, 인쇄되는 용지와 표지의 모양새도 매번 달리한다. 늘 만들던 잡지지만, 늘 새롭게 느껴지는 이유다.
이후 여러 잡지사를 섭렵하며 패션 에디터, 프리랜서 등으로 일하다가 2009년, 콘텐츠 전략회사 어반북스에 정착하고 2013년 『어반라이크』를 창간했다. 타블로이드판형의 잡지였던 『어반라이크』가 일 년에 두 번 발행하는 지금의 형태로 변화한 것은 2016년이었다.
“패션 잡지사에서 일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당시 유행하던 타블로이드 판 형의 잡지를 내게 되었는데, 들어가는 에너지가 많았어요. 꾸역꾸역 매달 마감하다가 어느 순간 이게 맞나 싶더라고요. 독자들은 점점 책을 구입하지 않고, 광고주들은 지면광고에서 웹광고로 옮겨가고…. 그때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소장용으로 가는 길밖에 없다. 선택과 집중을 하자’라고 생각했던 것 같아요. 무크 형식으로 제작하면서 한 가지 주제를 다루게 되었어요. 일 년에 두 번 발행하는 잡지가 매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지만 그걸 개성으로 봐주시고 다양성으로 봐주셔서 그때 잘 변화했다고 생각해요.”
이후 『어반라이크』는 ‘호텔’, ‘집에서 일하기’, ‘출판사’, ‘문구’, ‘식사’, ‘그릇’ 등 매 호 한 가지 이슈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무크 형식의 잡지로 변모했다. 볼륨과 판형, 인쇄되는 용지도 주제에 따라 매 호 바꿨다. 그 결과 독자들의 소장 욕구를 불러일으키면서 한 번 발행한 책은 ‘과월호’가 아닌 ‘단행본’이 되어 꾸준히 팔리고 있다.
정형화되지 않은 시스템 ‘이게 되나?’ 했는데 ‘이게 되네’ 싶었던 게 또 있다. 출퇴근과 고정인력을 없앤 것이다.
“3년 전 어느 날, 출근하는 것이 즐겁지 않았어요. 감시하려고 기자들을 책상 앞에 앉혀 놓은 것 같고, 매일 출근하는 게 비효율적인 것 같더라고요. 이러려고 조직을 만든 게 아닌데, 그래서 정리했어요. 직장이 없어진 후배들한테는 다른 직장을 주선해 주거나 프리랜서 일을 맡겼어요. 그 후부터는 책의 테마에 따라 그에 맞는 사람을 찾아 외부 팀을 꾸려 책을 만들었어요. 불필요한 인간관계에 신경 쓰지 않고 일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었죠. 그렇게 2년 동안 자유롭게 지내다가 1년 전에 어시스턴트 두 명을 뽑았어요. 프로젝트가 커지면서 일이 많아졌거든요.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는 건 아닌지 고민도 돼요. 그런데 사람 때문에 스트레스도 받지만 사람으로 인해 기운을 얻기도 하잖아요.”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요소들을 덜어낸 이후, 기획은 김태경 편집장의 몫이 되었다.
“같이 일을 하는 사람들과 기획을 같이 해야 한다고 생각했죠. 그런데 어차피 아이덴티티는 제가 가지고 있는 거잖아요. 결국 제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는 거니까요. 아이템이 정해지면 그걸 토대로 해서 세부 기획안을 받고, 역할을 분담하고, 각자 취재해서 원고를 넘기면 제가 취합해서 디자이너에게 보내요. 아이템은 늘 정리하고 있고요."
프로젝트 에디터들은 매번 바뀌지만, 사진작가 한 명과 디자이너 두 명은 십 년째 함께 해오고 있다. 형식과 돈에 얽매이지 않고, 하고 싶은 것을 해보자는 뜻이 통한 이들이었다. 이런 과정 속에서 『어반라이크』의 정체성은 탄탄해졌다. 틀 속에 갇힌 조직이 아니라 밖을 향해 활짝 열려 있는 시스템이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안주하지 않는 삶을 위한 질문 그녀의 라이프스타일 역시 대다수의 직장인들이 공유하는 일상에서 벗어나 있다. 출근도 퇴근도 없고 회식도 야근도 없다.
“회의는 화상으로 하고 다른 업무는 이메일 등으로 처리해요. 경기도에 『어반라이크』 사무실이 있어서 자료와 책들은 그곳에 보관하고, 서울에도 사무실이 하나 있어요. 사무실은 일주일에 두 번 정도 나가고, 외부 미팅이 일주일에 두어 번 있어요. 주 4일 이상은 일을 하지 않아요. 장소가 어디가 됐든 노트북 하나만 있으면 돼요. 언제든지 일을 그만둘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요.”
이 말의 숨은 뜻은 ‘안주하지 않겠다, 언제든지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기도 하다. 걸음을 멈추고 ‘나는 왜 아직 이 일을 하고 있을까, 어떻게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일도 종종 있다.
“무리하지 않아요. 모든 걸 쏟아붓지는 않아요. 예전에 잡지사에서 일할 때 너무 힘들었거든요. 그래서 내 일을 시작하면서부터, 나 자신이 소진되지 않도록 몸을 사려 왔던 것 같아요. 솔직히 독자를 생각해서 만드는 건 아니에요. 너무 제가 하고 싶은 것만 했나 싶지만 그래서 버틸 수 있었고 질리지 않고 오래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나는 좋은 편집장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도 얻었다.
“저는 글을 특별히 잘 쓰는 것도 아니고 인터뷰를 잘하는 것도 아니고 아는 게 많지도 않고 모든 게 중간이에요. ‘모든 걸 다 잘 알아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고민이 있었어요. 그러다가 잘하는 사람을 찾아서 일을 맡기면 되는 거라는 결론을 내렸죠. 그릇’에 대한 책을 만들기 위해 그릇을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아닌 것처럼요.”
이루고 싶은 꿈 ‘하고 싶은 것’을 선택하고 집중하며 살아온 그녀의 다음 스텝은 무엇일까? 그 즐거운 고민이 깊어지고 무르익는다.
“한 분야에서 무언가를 이룬 사람들을 인터뷰해 보니, 그들의 마지막 정착지는 정원 아니면 서재였어요. 저는 식물 키우는 것엔 재능이 없으니, 정원은 아닌 것 같고, 책을 읽는 공간을 만들고 싶어요. 궁극적으로는 도서관이에요. 얼마 전 출장에서 헬싱키에 있는 도서관에 갈 기회가 있었는데,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전형적인 모습이 아니었어요. 아이들이 보드를 타고 놀고 있고 몇몇 사람들은 잔디밭에 누워서 책을 읽는 등 놀이터처럼 즐겁고 감각적인 공간이었어요. 저도 그런 공간을 만들고 싶어요. 여행 갈 때마다 책을 엄청나게 사 오는데 혼자 갖고 있는 게 무슨 소용이겠어요. 서울과 가까운 곳에 그런 도서관을 만들어서 도서관 할머니로 살고 싶어요.”
『어반라이크』의 다음 스텝도 있다.
“해외에 진출하는 게 목표예요. 그래서 해외 도서전 같은 데 참가하고 있어요. 그리고 한 권의 책을 만드는 과정에 대해서도 고민 중이에요. 책을 만드는 일은 컵 하나를 만드는 일보다 훨씬 어렵고 복잡해요. 그런데 가성비는 컵이 훨씬 높죠. 효율적인 방식을 찾아야 해요. 비즈니스로도 성공하고 싶어요. 잡지 업계에 예전 같은 의 호시절은 다시 오지 않겠지만 뭔가 찾아보고 싶어요. ‘이것도 지겨운데’, ‘하다 보니 비슷해지는데’라는 느낌이 올 때, 거침없이 변화하기 위해 늘 생각하고 있는 거죠.”
『어반라이크』는 ‘어떻게 하면 도시에서 잘 먹고 잘 살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품고 태어났다. 그에 대한 답을 김태경 편집장은 갖고 있을까?
“제가 지향하는 것은 중간이에요. 위와 아래 사이, 경계, 가운데에 있는 중간층에 대한 고민이 부재하다고 생각해요. 보편적인 것에 대한 콘텐츠, 메시지가 없어요. 그들이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선택지도 없어요. 그런 걸 찾아가고 있어요. 도 아니면 모가 아니라.”
중간을 탄탄하게 채우면 도시에서 잘 살 수 있다. 매일 새벽, 그녀는 오롯한 혼자의 시간 속에서 그 방법을 찾아가고 있다. 자신을 위하여, 자신만의 방식으로. 김태경 편집장이 찾아낸 방법은 또 어떻게 변주되고 확장될까? 마음에 품을 즐거운 기대가 하나 생겼다.
황경신(Hwang Kyung-shin 黃景信) 작가 한정현(Han Jung-hyun 韓鼎鉉) 사진 작가(Photographer)
Lifestyle
2023 AUTUMN
한국에서 와인을 빚는 프랑스 농부
프랑스인 도미니크 에어케(Dominique Herqué) 씨에게 한국은 꿈을 이뤄가는 나라다. 땅을 살리는 방법으로 농사를 짓고, 그 결실들로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와인을 제조하며 산다. 그는 한국인 아내 신이현(Shin Ihyeon) 씨와 함께 프랑스 알자스를 닮은 한국의 ‘작은 알자스’에서 꾸리는 이 삶이 참 좋다고 말한다.
프랑스 알자스에서 태어난 도미니크 씨는 오랜 세월 엔지니어로 일하다 와인을 만들고 싶다는 꿈을 이루기 위해 농업 대학에서 양조학을 전공하고 알자스 와이너리에서 경험을 쌓았다. 아내와 한국으로 들어온 후 충청북도 충주에 내추럴 와인을 생산하는 와이너리 ‘작은알자스’를 만들었다.
도미니크 에어케 씨가 있는 작은 알자스는 고요한 듯 고요하지 않다. 마당에선 풍경(風磬 작은 종)이 쉼 없이 울려대고, 밭에선 새와 닭과 거위가 수시로 울어댄다. 하지만 전혀 시끄럽지 않다. 자연 속의 소리는 소음보다는 음악에 가깝다.
숲과 같은 포도밭 귀마저 즐거운 ‘작은 알자스’는 수안보온천(水安堡溫泉)으로 유명한 충북 충주시(忠州市) 수안보(水安堡)면에 있다. 뒤론 산이 있고 앞은 탁 트여 있어, 평온하고 아늑한 느낌을 준다. 도미니크 에어케 부부가 ‘첫눈에 반했던’ 이 땅은 프랑스 알자스와 비슷한 데가 많다. 알자스(Alsace)는 도미니크 씨의 고향이다. 프랑스 최북단에 자리한 와인 생산지로, 산 밑 언덕배기에 포도밭이 많다. 흙도 까맣고 볕도 깊다. 그가 지금 있는 이곳도 마찬가지다. 머나먼 타국 땅에서 새 인생을 시작했지만, 이곳에서 그는 자주 고향을 느끼며 산다.
“2017년에 여기로 왔어요. 한국에서 농사도 짓고 와인도 만들 수 있는 곳을 찾아 1년간 전국을 둘러봤는데, 딱히 마음에 드는 곳이 없었어요. 그러다 지인의 소개로 이 땅을 만났어요. 보자마자 ‘여기다’ 싶었죠.”
도미니크 씨는 아내와 가꾸는 약 4,000㎡의 농토를 ‘숲과 같은 포도밭’이라 부른다. 이들의 밭엔 10여 종의 포도나무와 30종 안팎의 사과나무가 있다. 다양한 와인 맛을 내기 위해 다양한 품종의 포도와 사과를 재배하고 있다. 이 밭에 심은 건 포도나무와 사과나무만이 아니다. 복숭아나무, 대추나무, 감나무, 무화과, 보리수, 키위, 라벤더…. 부부는 제초제나 살균제 같은 화학성분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퇴비’가 되어줄 100여 종의 식물을 주위에 빼곡하게 심어 놨다. 닭과 거위가, 벌과 지렁이, 온갖 미생물이, 서로를 이롭게 하며 더불어 살아간다. 그와 아내는 어떻게 하면 와인을 더 맛있게 만들까보다, 어떻게 하면 땅을 더 건강하게 만들 수 있을까를 더 많이 고민한다. 좋은 와인은 잘 지은 농사에서 오고, 좋은 과일은 비옥한 땅에서 오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농사를 짓고 있지만, 그는 익숙한 프랑스식 농사법을 따른다. “한국인들이 절기(節氣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기후의 표준점)에 맞춰 농사를 짓는다면, 우리는 행성달력(행성의 움직임에 맞춰 농사를 짓는 달력)에 맞춰 농사를 지어요. 우주의 모든 행성은 매일 움직이고, 그 움직임에 따라 식물의 반응이 달라지거든요. 열매에 좋은 날, 뿌리에 좋은 날, 잎에 좋은 날, 꽃에 좋은 날이 따로 있어요. 오랜 세월 축적한 삶의 지혜를 기꺼이 따르고 있죠.”
와인 한 병에 담긴 자연
오크통에서 숙성하고 있는 레돔 내추럴 레드 와인
그들은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맛있는 과일을 얻기 위해 농약이나 퇴비를 쓰지 않고 건강하게 땅을 일구며 다양한 과수나무와 거위, 닭, 지렁이를 키워 땅속 미물까지 함께 돌본다.
그렇다고 달력에만 의지하진 않는다.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오늘 같은 날씨엔 농부가 무엇을 해줘야 하는지, 그는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꼼꼼히 검토하며 농사짓는다. 예컨대 풀을 깎아놓았는데 며칠 후 꽃샘추위가 들이닥치면 갓 나온 싹이 모두 얼어버리고, 풀을 안 깎았는데 장맛비가 내리면 벌레들이 떼 지어 몰려든다. 그간의 실패가 그에게 알려준 소중한 경험들이다. 매년 같은 일을 하지만, 도미니크 씨는 단 한 해도 같은 일을 한 적이 없다고 믿고 있다. “땅이 건강하지 않은 상태라 처음 한두 해는 참 힘들었어요. 거리의 낙엽들을 차에 꽉꽉 채워 오고, 동네 깻단을 죄다 모아와 밭에 뿌렸어요. 해마다 왕겨 5톤씩을 밭에 집어넣었고요. 그렇게 3년쯤 지나니 땅이 믿기지 않을 정도의 모습으로 회복되었어요.”
사과로 만드는 내추럴 시드르는 작은알자스의 대표 상품으로, 레돔이라는 이름은 도미니크의 애칭을 따 이름 붙였다.
‘작은 알자스’에서 생산하는 와인은 사과를 발효시켜 만드는 시드르(Cidre, 영어로는 사이더 Cider), 포도로 빚은 로제와 산머루를 섞어 빚은 레드와인이다. 첨가제는 물론 효모도 넣지 않는다. 말 그대로 ‘내추럴 와인’이다.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는 대신 ‘그 해의 모든 것’이 담긴다. 나무들을 키운 햇볕과 바람, 농부의 땀과 고민까지 와인 한 병에 고스란히 실린다. 발효 시간까지 합하면 1년이 넘는 시간이 걸린다. 그의 와인을 마시는 일은 그가 만난 자연과 교감하는 일이다.
“와인 브랜드가 레돔(LESDOM)이에요. ‘Le’는 불어로 복수를 뜻하고 ‘Dom’은 저의 애칭입니다. ‘도미니크 가(家)’란 뜻이에요. 이젠 여기가 제 고향이에요.”
도미니크의 아내 신이현 씨는 소설가다. 1994년 「숨어 있기 좋은 방」이라는 장편소설을 발표하며 문단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도미니크 씨가 아내를 처음 만난 건 1998년 프랑스 파리에서다. 당시 도미니크 씨는 파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었고, 신이현 씨는 프랑스에서 1년쯤 살아보는 꿈을 이루기 위해 머물고 있었다. 당시 두 사람이 모두 아는 베트남 부부가 집들이에 두 사람을 초대했다. 도미니크 씨와 신이현 씨는 만나자마자 서로 호감을 느끼고 연애를 시작했고. 파리에서 1년만 살아보려던 신이현 씨의 계획은 변경됐다. 2003년 결혼식을 올린 뒤 파리에서 신혼생활을 했다. 그러다 도미니크 씨가 캄보디아 회사로 가게 되면서 6년간 캄보디아 생활을 했고, 이후 그가 한국의 대기업으로 파견되면서 아내의 나라인 한국에서 처음 살아보게 됐다.
한국에서 시작된 제2의 인생
숙성 중인 레드 와인을 점검 테이스팅 하는 도미니크 씨. 그는 누구나 떠올리는 정형화된 맛을 추구하기보다는 과일이 자란 땅의 성격과 맛을 와인 한 병에 그대로 표현하고자 노력한다.
그는 ‘첫’ 한국 생활은 그리 행복하지 않았다고 회고한다. 당시 컴퓨터 프로그래머로서 자신이 맡은 일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그땐 일에 허덕이느라 삶을 돌보지 못했어요. 하지만 결과적으론 매우 고마운 시기예요. 농부가 되는 꿈을 갖게 해줬으니까요. 알자스에서 평생 포도 농사를 지으신 외할아버지가 자식들에게 포도밭을 나눠주시면서, 어릴 때부터 저는 포도밭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어요. 포도밭에서 자주 놀았고, 포도 수확기 때마다 농사일을 거들곤 했죠. 언젠가부터 그 시절이 자꾸 그리워지더라고요. 한국에서 그 그리움이 꿈으로 이어졌네요.” 농부의 꿈을 이루기 위해 도미니크는 다시 파리로 갔다. 프랑스농업대학(Centre National d'Enseignement Agricole par Correspondance)에서 2년간 공부한 뒤 와인 양조장에서 1년간 일을 배웠다. 이제 농부가 될 차례였다. 처음에 그는 프랑스에서 포도 농사를 지을 생각이었다. 남프랑스 곳곳을 돌아다니고 그럭저럭 마음에 드는 곳도 찾아냈지만, 이번엔 아내가 망설였다. 프랑스에선 파리 외의 지역에서 살아본 적이 없는 그녀가 처음으로 타국살이를 두려워했다. “아내가 한국으로 가자고 하더라고요. 한국엔 제대로 된 시드르 생산지가 없으니, 우리가 제대로 한번 해보자고요. 그때 저는 농사를 지을 수만 있다면 어디라도 좋았어요.” 2016년 한국으로 다시 왔고, 이듬해 지금의 땅을 만났다. 그는 이곳에서 보낸 지난 6년이 그저 꿈만 같다. 한여름 포도밭의 풀을 깎을 때도, 한겨울 포도나무 가지를 칠 때도, 그는 더위나 추위보다 즐거움을 더 많이 느낀다. 프로그래머로서 한국에 살 때는 미처 몰랐던 기쁨이 매일 새롭게 그에게 찾아온다. 아내를 만나기 전에는 전혀 몰랐던 이 나라를 그는 농사를 통해 하루하루 알아가고 있다. 그에게 한국은 꿈을 이루게 해준 아주 고마운 나라다. “지금의 ‘작은 알자스’는 지난해 새로 지은 건물이에요. 양조를 위해 지은 건데, 짓다 보니 애초 생각보다 규모가 커졌어요. 공간이 커진 만큼 쓰임새도 커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 안에서 생태적 농사법이며 자연적 와인 제조법도 나누고, 술이며 농사와 관련된 작품 전시도 해보고 싶어요. 내성적인 저보다는 아내가 그 일을 맡게 되겠지만, 이 공간이 그렇게 쓰일 걸 생각하면 저도 기분이 좋아요.” ‘농부’ 도미니크의 하루는 이렇게 흘러간다. 해가 뜨자마자 밭으로 가서, 온갖 생물들과 안부를 나눈다. 볕이 너무 뜨거워지면 집에서 쉬고, 볕의 기세가 누그러지면 다시 밭으로 나가 해가 온전히 질 때까지 밭을 가꾼다. 요즘 그가 힘쓰는 일은 포도나무 가지가 처지지 않고 올라가도록 줄로 잡아주는 것이다. 사람으로 치면 십 대 초반의 포도나무인 셈이라 손이 아주 많이 간다. 꽤 힘들 텐데도 그는 자주 웃음 짓는다. 자연을 그대로 담는 그의 와인들처럼, 그의 미소에 그의 행복이 오롯이 실려 있다.
박미경(Park Mi-kyeong 朴美京) 작가 한정현(Han Jung-hyun 韓鼎鉉) 사진작가
Lifestyle
2023 AUTUMN
포토프레스 세대를 위한 인셍네컷
인생네컷이 일상인 시대다. 친구들과의 모임에서 만남을 인증하듯 사진으로 남기고, 각종 브랜드를 알리는 팝업 행사엔 어김없이 하나의 이벤트로 포토 부스가 등장한다. 무한한 온라인 콘텐츠에 익숙했던 이들에게 촬영 후 곧바로 손에 쥐어지는 한 장의 아날로그 사진은 더없이 매력적이다. 놀이를 넘어 취향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자리 잡은 인생네컷, 그 비결은 무엇일까
요즘 청소년을 비롯한 20~30세대들도 뭘 하고 놀든 인생네컷 사진을 찍어 오늘의 만남을 인증하는 것으로 하루를 마무리한다.
1990년대 후반, 한국엔 스티커 사진이라는 것이 있었다. 서너 명이 길거리에 있는 작은 포토 부스에 몸을 비집고 들어가 사진을 찍으면 스티커 형태로 프린트되는 기계다. 당시 학생들이나 연인들이 우정사진, 커플 사진을 찍기 위해 스티커 사진을 이용했고, 전국적으로 크게 유행했다. 손바닥만 한 스티커 인화지에 프린트된 사진들은 한 컷씩 잘라 같이 찍은 사람들끼리 나눴다. 그렇게 지갑 속으로, 다이어리 안으로, 또는 열쇠고리로 만들어져 꽤 오랜 시간 간직됐다. 얼마나 유행이었던지 그 사진을 스캐너로 스캔한 뒤 싸이월드(당시 한국에서 페이스북 역할을 하던 웹 기반 SNS)에 게시하는 일도 많았다.
아날로그의 인기
서울 신촌 명물사거리에 오픈한 인생네컷 신촌명물사거리점. 이곳은 디지털 역량을 집약한 매장으로 곳곳에 디지털 사이니지를 배치해 디지털 결합형 매장의 느낌을 강조했다. ⓒ 인생네컷
모든 유행은 생명체와 같다. 스티커 사진 열풍도 2000년대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에 밀려 추억 속으로 사라졌다. 누구나 손에 고화질 카메라를 갖고 다니며 언제 어디서든 순간을 포착할 수 있게 됐으니,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그런데 요즘 과거의 스티커 사진이 부활해 세계로 진출하고 있다. ‘인생네컷’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열풍은 지금 Z세대 사이에서 큰 인기다. 이들은 요즘 뭘 하고 놀든 4,000원짜리 네 컷 사진을 찍는 것으로 하루를 마무리한다. 스마트폰으로 무제한 셀카를 언제 어디서든 찍을 수 있는 시대에 갑자기 인생네컷은 왜 이렇게 붐을 일으키게 된 걸까.
신촌명물사거리점 오픈 기념으로 진행한 타임세일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줄 선 이용자들. ⓒ 인생네컷
과거 스티커사진 열풍이 불었던 2000년으로 잠시 돌아가 보자. 당시는 아날로그가 디지털로 대전환되는 시기였다. ‘디지털=새로운 것’으로 여겨지던 때였다. 하지만 지금은 반대다. 태어날 때부터 PC와 모바일에 익숙한 MZ세대들에겐 ‘아날로그=완전히 새로운 것’인 셈이다. 인생네컷은 그 지점을 겨냥했다. 우선 서울 홍대 앞과 압구정동 로데오 거리 등 역세권에 테스트 버전의 낡은 즉석 사진기를 들여놨다. 그러자 한여름의 더위에도 불구하고 MZ세대들이 몰려와 긴 줄을 서기 시작했다. 사진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기 좋아하는 포토프레스 세대(PhotoPress, 사진을 뜻하는 Photo와 표현을 뜻하는 Express의 합성어)에게 유한한 온라인 콘텐츠가 아닌 단 한 장의 사진으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감성이 더해진 인생네컷은 이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놀이로 흥미를 끌어내기에 충분했다.
포토 부스 브랜드 중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인생네컷을 만든 엘케이벤처스(LKVENTURES) 이호익(Lee Ho-ik 李浩益) 대표는 서울의 지하철역마다 있는 여권 사진 무인 촬영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는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사진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사소한 것을 기록하기 좋아하는 Z세대에게 딱 맞는 아이템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말했다. 인생네컷에 따르면 매월 평균 200~230만 명이 인생네컷을 찍어 사업 시작 5년 만인 지난 2023년 1월 기준 1억 장을 넘겼다. ‘누구나 인생에서 가장 손꼽힐 만한 인생샷을 찍을 수 있다’는 의미로 탄생한 인생네컷은 2023년 초 국내를 넘어 영국 런던 소호 등 9개국에 ‘Life Four Cuts’라는 이름으로 진출하기도 했다.
온 · 오프라인의 믹스&매치
인생네컷을 비롯한 다양한 포토프레스 브랜드는 사용자들이 포토프레스 부스를 하나의 놀이문화로 인식할 수 있도록 매장 가득 가발과 소품, 액세서리 등을 구비해 놓았다. ⓒ 인생네컷
한국인은 워낙 유행에 민감한 데다 요즘 Z세대의 취향은 교체 주기가 이전보다 훨씬 짧아졌다. 그런데도 인생네컷에서 시작된 포토 프레스 인기는 5년 넘게 식을 줄 모른다. 인쇄된 사진만으론 결코 이루지 못했을 성과다. 그 성공 비결엔 온〮오프라인의 믹스&매치가 있다.
사용자들만의 놀이 문화를 만들기 위해 여러 포토 프레스 브랜드는 매장을 오프라인에서만 가능한 놀이터처럼 꾸몄다. 공간 안엔 우스꽝스러운 가발과 소품, 액세서리들을 가득 채워 넣었다. 또 촬영한 사진은 QR코드를 이용해 다운받을 수 있어 아날로그에서 찍은 사진을 온라인에서 또 한 번 새로운 콘텐츠로 재구성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출력 속도는 한 장당 단 30초 내외로, 밈과 쇼츠(Shorts) 등 이미지를 빠르게 소비하는 MZ세대의 놀이문화에 안성맞춤이다.
MZ세대가 열광하니 각종 브랜드와 인플루언서도 따라왔다. 수많은 브랜드가 팝업스토어 등을 만들 때 포토 프레스 부스를 설치하는가 하면, 정부 등 공공기관은 공익 캠페인을 함께 진행하기도 했다.
재미를 더한 프레임
사진을 찍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QR을 통해 사진과 사진을 찍는 과정이 녹화된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운로드 받은 사진은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해 또 다른 프레임으로 꾸밀 수 있어 재미를 더한다.
인생네컷의 성공 이후 한국엔 40여 개의 포토 프레스 브랜드가 경쟁하고 있다. 서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선보이니, 사람들은 브랜드별로 찾아 다니며 촬영하기 바쁘다.
모노맨션은 포토 프레임에 물결, 벚꽃, 풀밭 등 다양한 색과 디자인을 입혀 피크닉에 와서 사진 찍은 듯한 분위기를 만든다. 무브먼트 포토부스는 바닥과 천장 등에서 다양한 카메라 앵글을 제공한다. 입구에서 직원에게 어떤 앵글로 촬영하고 싶은지 말하면 이에 맞는 방으로 안내를 해준다. 1990년대 한국을 강타했던 힙합 뮤직비디오 영상감독이 찍어주는 것 같은 레트로한 느낌과 독창적인 사진이 특징이다. 더필름은 일반 용지와 투명 용지 등 인쇄용지를 선택할 수 있게 했다. 투명 용지는 다이어리를 꾸미는 걸 좋아하는 10~20대들을 겨냥한 것으로, 어디에나 붙여 DIY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인생네컷은 초기에는 기본 프레임만 제공했지만, 지금은 자신이 만든 특별한 프레임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해 촬영할 수 있도록 해 이용자들의 재미를 더했다. 또 인기 많은 연예인이나 캐릭터와의 협업도 돋보인다. 특히 콘서트나 컴백, 생일 등 특별한 기념일에 해당 가수 사진으로 꾸민 한정판 프레임을 출시하기도 한다. 이는 ‘덕질’이라 불리는 팬덤을 활용한 최신의 마케팅 도구가 됐다. 그뿐만 아니라 빅히트 뮤직과 쏘스뮤직은 인생네컷과 협업하여 오디션을 진행하기도 했다. 인생네컷 앱을 통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남성 참가자는 빅히트 뮤직 프레임을, 여성 참가자들은 쏘스뮤직 프레임을 활용해 지원하는 방식이다.
아이돌 못지않게 사랑받는 캐릭터도 프레임도 있다. MZ세대의 밈 열풍을 시작으로 10대 20대들의 탄탄한 지지와 인기를 확보한 잔망루피, 유아들이 좋아하는 콩순이 (Kongsuni)와 시크릿 쥬쥬(Secret Jouju) 같은 애니메이션 캐릭터, 모바일 게임 ‘쿠키런: 킹덤(COOKIERUN: KINGDOM)’ 캐릭터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시대를 거스르며 여전히 사랑받는 ‘월트 디즈니’ 캐릭터까지도 네 컷 사진의 프레임 안에서 만날 수 있다.
네 컷 사진의 인기는 언제까지 유효할까. 형태와 기술은 조금씩 바뀌더라도 아마 꽤 오래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흐르고 세대가 바뀌어도 우리의 인생엔 기억하고 싶은 순간과 사랑하는 사람과의 명장면이 필요한 법이니까.
김보라(Kim Bora)한국경제신문 기자(Reporter, The Korea Economic Daily)
Lifestyle
2023 SUMMER
새로운 삶의 스타일이자 여행의 미래, ‘한 달 살기’
한 달 살기는 보고 즐기고 먹기 위한 관광이 아니라 특정한 곳에서 한 달 이상 머물면서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을 말한다. 온전하게 그곳의 환경과 현지인들의 생활 풍습을 가까이서 누리고 접해보는 것이 한 달 살기의 매력인 셈이다. 팬데믹 이후 한 달 살기는 여행을 넘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고 있다.
여행 작가 청춘유리 부부의 강원도 영월 한 달 살기 프로젝트. 이들의 한 달 살기 여행 이야기는 『그 여름, 젊은 달』이라는 제목으로 영월군과 협업해 수필집으로 발간됐다. ⓒ 청춘유리
장기간 시간을 내야하고, 해당 기간 동안 머물 장소까지 구해야 하는 한 달 살기는 시간이든 경제적 요건이든 우리 삶에서 중요한 여러 가치들과 맞바꿔야 실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비교적 시간이 자유로운 전문직 프리랜서나 연예인처럼 특수한 직업군이나 은퇴 이후 지방 거주를 고민하는 이들 정도만 한 달 살기를 실행에 옮길 수 있었으나, 요즘엔 일반 직장인도 늘어나는 추세다. 일과 휴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었고, 팬데믹 이후 원격 또는 재택 근무가 보편화되면서 복지와 업무 능률 향상을 위해 워케이션을 허용하는 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생긴 변화다.
한 달 살기 열풍 주도한 제주도 그 동안 한 달 살기 같은 여행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본격 유행한 것은 지난 2010년대 초반으로 추정된다. 국내에서 한 달 살기 열풍을 주도한 곳은 제주도이다. 타 지역에서는 좀처럼 느낄 수 없는 이국적인 자연환경을 누리려는 욕구, 학업으로 받은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방학을 이용해 풀어주려는 보상심리, 제주도 내 게스트하우스 유행 등 여러 요인이 결합하면서 열풍이 일었다. 여기에 하는 일마다 대중의 이목을 끄는 국내 여가수 이효리(Lee Hyo-lee 李孝利) 씨가 2013년 결혼하자마자 제주로 이주하면서 다시 한 번 제주도와 그곳에서의 삶이 주목 받았다. 제주도 집에서 치른 스몰 웨딩, 마당에서 반려견과 한적하게 지내거나 콩을 베는 모습, 바다에서 패들 보드를 타거나 오름을 오르는 등의 평화로운 라이프 스타일은 일반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데 한 몫 했다. 한 달 살기는 팬데믹 이후 더 주목 받고 있다. 지난 몇 년 간 코로나19로 억눌려 있던 여행 수요가 현지에서 장기간 살아보는 여행 스타일인 한 달 살기, 그리고 워케이션 등과 결합하면서 여행 트렌드까지 바꾸고 있다. 또한 여행지도 다양화되고 있다. 한 달 살기 열풍 초기에는 제주도가 인기였으나, 최근에는 강원도를 비롯해 경상도나 전라도 등 다양한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렇게 긴 시간 한 지역에서 살아보는 여행이 여행 트렌드를 선도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남도에서 한 달 여행하기’, ‘경남에서 한 달 여행하기’, ‘요즘 김해, 지금 여행’, ‘너와마을, 농촌에서 살아보기’ 등이 대표적이다. 한 달 살기를 하는 동안 해당 지역의 특색을 담은 명소나 특산품 혹은 농장 체험 등의 다양한 여행을 제안하기도 한다.
영월군은 시인, 서예가, 여행작가 등 분야별 유명인을 초대하여 계절별로 한 달 살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이들의 여행기를 수필집으로 발간해 무료 배포했다. 독자들은 책을 통해 자연스럽게 영월군에 관심을 갖게 됐다.ⓒ 영월군
호텔로 변신한 마을 마을 호텔 형태의 도시에서 한 달 살기를 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한 건물에 라운지, 숙박, 헬스, 식사 등의 서비스가 모여 있는 호텔과 달리, 마을 호텔은 마을 전체가 하나의 호텔 기능을 한다. 마을 입구의 카페가 안내데스크 역할을 하고, 마을의 맛집이 다이닝 역할을, 곳곳의 공방 등이 체험 서비스 역할을 한다. 그러니 마을 전체가 곧 즐길 거리다. 해당 마을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의 교류는 덤이다. 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시(公州市) 마을 스테이 ‘제민천(濟民川)’은 마을 호텔의 대표적인 사례다. 제민천은 주민들이 유기적으로 마을 호텔을 구성하고 있다. 한옥스테이 봉황재(鳳凰齋)에서 시작하는 마을 호텔의 프런트는 가가상점(家家商店)이 담당하고, 커뮤니티이자 로비 역할은 반죽동(班竹洞)247 카페가 맡고 있다. 봉황재 외에도 공주하숙마을 등을 비롯한 고즈넉한 한옥 스테이가 있으며, 제민천을 중심으로 마을 곳곳에 먹거리와 볼거리가 숨어 있다. 2018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한 강원도(江原道) 정선군(旌善郡) ‘마을호텔 18번가’는 국내에서 가장 먼저 마을 호텔을 만든 곳이다. 고한읍(古汗邑)의 낙후된 폐광촌에 고한18리 주민들이 힘을 모아 조성했다. 빈집을 리모델링한 숙소에 머무르면 마을식당, 사진관, 이발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받을 수 있다. 어르신들이 모여 있는 마을 회관은 로비 역할을 한다.
팬데믹 이후 워케이션이 늘어나면서 지자체별로 한 달 살기를 적극 지원하는 프로모션이 늘었다. 특히 최근 사회 문제로 떠오른 농어촌 빈집을 활용하는 방안이 허용됨에 따라 여행객은 다양하고 합리적인 형태의 숙소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게티이미지코리아
농어촌의 빈집을 활용한 빈집 프로모션도 눈길을 끌고 있다. 2021년 통계청이 발표한 전국의 빈집은 1,395,256호에 이른다. 미분양 주택과 1년 이내 미거주•미사용 등 일시적 빈집까지 포함한 경우다. 빈집이 새로운 사회문제로 떠오름에 따라 정부는 농어촌의 빈집에 대해 숙박업을 허용했다. 고향 집을 방치해 온 이들에겐 ‘빈집 재테크’라는 가능성이 열렸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형태의 숙소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지자체 역시 앞다퉈 신청을 받는 등 동참하는 분위기다.
워케이션, 한 달 살기 가능성 넓혀 일과 결합해 한 달 살기를 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이른바 워케이션(Workation)이다. 이는 일(Work)’과 ‘휴가(Vacation)’의 합성어로, 집이나 사무실이 아닌 원하는 곳에서 업무와 휴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새로운 근무제도를 말한다. 이는 지난 몇 년 간 재택근무가 확산되고 원격근무가 가능한 디지털 기반이 조성되면서 늘기 시작했는데, 휴가지에서의 업무를 인정함으로써 업무와 휴식의 밸런스를 통해 능률성을 꾀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고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MZ세대들의 등장이 워케이션 확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워케이션은 새롭고 낯선 지역에서의 업무를 통해 업무 효율성 향상은 물론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워케이션이 코로나19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전 세계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독자에게 매일 새로운 글을 전달하는 메일링 서비스 ‘일간 이슬아’를 선보인 이슬아(Lee Sulla) 작가가 영월군과 협업해 발간한 『이슬아 생활집 - 영월편』페이지. 작가는 영월에서 머물며 요가, 채집, 비건 레시피 등을 사진과 짧은 글귀로 기록했다. ⓒ 영월군
워케이션은 ‘일과 삶의 조화’라는 새로운 경험을 준다. 시인이자 여행작가인 최갑수(Choi Gap-soo崔甲秀) 씨는 지난 연말 강릉에서 한 달을 살았다.
“평소 살던 곳에서 벗어나 전혀 다른 환경과 일상을 경험한다는 것은 매력적인 일입니다. 숙소에서 날마다 새로운 아침을 맞았는데, 평소의 루틴과는 완전히 다른 생활을 할 수 있었어요. 모든 것이 새로웠고 영감으로 다가왔습니다. 여유로운 몸과 느슨해진 정신으로 간만에 휴식을 취할 수 있었죠. 삶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앞으로 제 인생에 매년 새로운 한 달을 선물해주기로 했습니다.”
워케이션의 장소도 제주도에서 강릉을 비롯해 다양한 지방으로 확산, 분화되고 있다. 해마다 한국사회 트렌드를 조명하고 전망하는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 『트렌드 코리아 2023』에서 엔데믹 이후 다양한 세대의 사람들이 워케이션의 장소로 ‘시골’을 꼽았다고 밝혔다. 워케이션의 장소로 시골이 부각되고 있는 것은 날 것의 자연과 시골 고유의 매력을 즐기며 도시 생활과 다른 여유와 편안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워케이션이 마냥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혼란스러운 업무, 일과 휴가의 경계가 모호해진다는 점, 모든 업무에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한 달 살기 여행이 보편적인 여행 트렌드로 자리 잡으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것은 아침에 일어나서 바닷가를 산책하고 느긋하게 동네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는 ‘소박하지만 특별한 경험’을 원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 달 살기는 새로운 삶의 스타일이자 여행의 미래이기 때문이다.
최병일(Choi Byung-il 崔昺一)작가
Lifestyle
2023 SUMMER
대를 이어온 고소함
한국인의 밥상에서 참기름은 빠지는 법이 없다. 나물을 무치거나 고기에 양념할 때도, 볶음밥부터 비빔밥까지 안 쓰이는 곳 없이 요리의 풍미를 완성한다. 38년째 같은 자리에서 한결같이 한국인의 밥상을 책임지는 참기름을 짜고 고춧가루를 빻는 대우고추참기름은 오늘도 이른 아침부터 분주하다.
대우고추참기름 대표인 유문석(兪文錫) 씨는 그의 어머니를 이어 이 자리에서 38년째 장사를 하고 있다. 한국의 요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참기름, 고춧가루와 함께 마늘, 잡곡, 액젓 등과 같은 식재료도 판매한다.
토요일 오전, 암사 지하철역에 내려 지상으로 올라오자 눈 부신 햇살과 갖가지 냄새가 한 번에 들이닥친다. 휴일을 맞은 사람들의 가벼운 옷차림과 발걸음, 아이들이 떠드는 소리와 와르르 터지는 웃음소리가 지하철역 바로 옆에 있는 암사종합시장(岩寺綜合市場)으로 이어진다. 백여 개가 넘는 가게들이 빼곡하게 들어선 이곳은 1978년도에 개점한 전통시장이다. 오랜 시간 동안 지역주민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오긴 했지만, 본격 유명세를 타기 시작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사람들이 집안에 틀어박혀 지내던 팬데믹 기간이었다. 시장을 드나들며 식재료를 구입하던 단골들이 온라인 주문을 요구했고, 시장 측에서 그 요구를 받아들여 전국 최초로 ‘우리시장 빠른배송’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 덕에, 이제는 전국 어디에서나 암사종합시장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대를 이어온 가게
참기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수확한 참깨를 깨끗이 씻어 건조해야 한다. 이것을 골고루 볶은 다음 충분히 식힌 후 유압기에 넣어 기름을 짜낸다. 참깨 한 말(약 6kg)을 짜내면 350mm들이 병 6~7개를 채울 수 있다.
시장 안으로 한 발짝을 딛자 벌써 고소한 참기름 냄새가 풍겨온다. 이 자리에서만 38년째, 대를 이어서 가게를 지켜오고 있는 대우고추참기름에서 일 년 내내 흘러나오는 냄새다. 가게를 운영하는 이들은 아버지, 어머니, 아들로 이루어진 한 가족이다. 아들 유서백(兪抒伯) 씨는 아버지에게 일을 배우며 온라인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회사에 다니다가 2년 전쯤 가게 일을 시작했습니다. 갑자기 결정한 건 아니고 전부터 생각은 하고 있었어요. 아버지도 연세가 있으시니 슬슬 물려받을 준비를 해야겠다고요. 그러다가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우리도 온라인 판매를 하는 게 좋겠다 싶어서 본격적으로 시작했어요.”
매일 아침 일곱 시 반에 문을 열고 저녁 여덟 시 반까지 장사한다. 쉬는 날은 없다.
“깨소금 볶고 고춧가루 빻고 참기름, 들기름 짜고 선식도 만듭니다. 선식에는 겉보리, 현미찹쌀, 찰보리, 현미, 서리태, 백태, 검정찹쌀, 옥수수, 참깨, 흑임자, 땅콩, 호두, 호박씨, 해바라기씨, 아몬드, 바나나, 찰수수, 열일곱 가지 재료가 들어가요. 미숫가루처럼 물이나 우유에 타 먹을 수도 있어요. 이렇게 하루 열세 시간 일을 합니다. 저는 그래도 일주일에 하루는 쉬고 있습니다. 아이들과 놀아주기도 해야 하니까요. 그런데 부모님은 하루도 쉬지 않으세요.”
곁을 지키고 서 있던 아버지 유문석(兪文錫) 씨가 왠지 쑥스러워하며 변명하듯 설명을 덧붙인다.
“장사를 오래 하다 보니 이 동네 살다 이사 가신 분들이 많아요. 그분들이 여기까지 찾아오시는데 문이 닫혀 있으면 죄송하잖습니까. 그래서 문을 닫기가 어려워요.”
어깨너머로 배운 일 유문석 씨가 이 일을 시작한 것은 제대 이후부터였다.
“1970년대 후반 즈음 제가 군대를 다녀왔을 때 어머니께서 고추 장사를 하고 계셨습니다. 마른 고추를 빻아주는 고추방앗간이었죠. 여기 말고 다른 시장이었는데, 그 시장이 헐리면서 이쪽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어머니를 도와드리다가 일을 함께하게 되었어요.지금은 시장이 현대화되어 괜찮지만, 예전에는 지붕이 없으니 바람 불면 날아가고 비 오면 천막 쳐야 하고…. 그때는 정말 힘들었죠.”
집마다 김치를 담그고 밥을 해 먹던 시절이었고 어느 집에나 고춧가루가 필요했다. 김장철은 특히 분주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면서 고춧가루를 찾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었다.
“당시 우리 가게 바로 옆집이 참기름 짜는 가게였어요. 자주 왕래하다 보니 작업하는 걸 자주 봤고, 저도 할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1985년부터 유문석 씨는 고춧가루와 참기름을 함께 팔기 시작했다. 어깨너머로 배운 실력인지라 처음에는 실수도 잦았지만,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차차 제대로 된 참기름을 짤 수 있게 되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탕액편에 기록된 수천 가지 약재 중 첫 번째로 등장하는 것이 참깨이다. 참깨는 ‘효마자(孝麻子)’라 불리기도 하는데, 아들보다 효도를 잘한다는 의미이다. 중풍과 심근경색을 예방하고, 흰머리를 검게 해주고, 근심을 덜어주는 것이 참깨의 세 가지 덕목으로 꼽힌다. 참깨의 45~55%는 기름이고 36%는 단백질이다. 그런데 참깨는 불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해서 소화가 잘 안되는 음식이기도 하다. 참깨의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할 수 있도록 가공한 것이 참기름이다. 참깨 한 말 즉 6kg으로 350ml들이 병 6~7개를 채울 수 있다. 흔히 색깔과 향이 진하면 좋은 참기름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참깨를 오래 볶으면 색과 향이 진해지는 대신 영양가가 손실된다. 색과 향이 연한 것을 선호하는 손님도 있기 때문에 먼저 취향을 물어보고 거기에 맞추어 상품을 준비한다. 참깨는 국산과 수입산 두 종류를 사용하는데, 국산 참깨로 짠 참기름이 수입 참깨로 찬 것보다 세 배 정도 비싸다.
가업을 잇는 아들
밀키트나 배달 음식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이전보다 참기름이나 고춧가루를 찾는 이들은 줄었지만, 가족은 일 년 내내 가게 문을 열고 손님을 맞이한다. 최근엔 멀리서도 대우고추참기름의 제품을 찾는 사람들을 위해 온라인 판매도 시작했다.
유문석 씨는 멀리서 일부러 찾아오는 단골들이 늘 마음에 걸린다.
“거기는 기름집이 없습니까, 왜 여기까지 오십니까? 하고 물어요. 다른 데보다 싸게 드리지도 못하고 그저 정성껏 짜드리는 것뿐인데 매번 찾아주시니까.”
그래서 그런 손님들이 집에서 편하게 물건을 받을 수 있는 온라인 판매 쪽에 기대를 걸고 있다.
“아직은 판매량이 많진 않아요. 그런데 앞으로 점점 온라인으로 가야죠. 쉽지는 않겠지만 아이가 열심히 하고 있으니까 잘 되겠죠.”
아들이 가업을 잇겠다고 회사를 그만둔 것은 혹시 아버지의 뜻이었을까?
“강요는 안 했어요. 부모가 하라고 한다 해서 자식이 무조건 따라 하지는 않잖아요. 자기가 해야 하니까 한다고 했겠죠.”
식사 준비를 위해 주방을 지키던 그의 아내 신예서(申叡抒) 씨가 손에 묻은 물기를 닦으며 다가온다. 그녀는 스물네 살에 유문석 씨를 만나 결혼했다. 당시 시어머니가 고추방앗간을 하고 있었고 자연스럽게 신 씨도 합류하게 되었다.
“저는 처음에는 반대했어요. 자영업이라는 게 육체적 노동과 정식적 스트레스가 많잖아요. 잘될 때도 있고 안 될 때도 있고. 남이 볼 때는 앉아서 팔기만 하면 돈이 들어오는 것 같지만 그렇지는 않거든요. 장사가 잘되면 주위에 비슷한 가게가 들어서기도 하고, 손님들도 다 똑같진 않으니까 그분들 성향도 맞춰야 해요. ‘너는 직장생활 해라, 우리 수순 밟지 말고 편하게 살아라,’ 그런 마음이었어요. 그러다가 본의 아니게 같이 일을 하게 되니 부모로서 안타까운 부분들이 있어요. 우리도 힘들었는데 아들도 힘들게 살겠구나.”
부부 사이에는 두 아들이 있다. 큰아들이 장사를 같이하고 있고 작은아들은 회사원이다.
“작은애가 그런 얘기를 하더라고요. 인플레이션이 엄청나니까 갈수록 힘들어진대요. 자영업도 힘들지만, 경제적인 부분은 월등히 나아요. 반대하지 못한 이유에 그런 것도 있어요. 또 회사는 어느 정도 나이가 되면 그만둬야 하잖아요. 아이 아버지 동년배들은 이미 다 은퇴했어요. 이 일은 정년도 없고 나만 건강해서 움직이면 먹고사는 데는 걱정이 없으니 마음은 편하죠.”
신 씨는 일을 함께하게 된 아들이 걱정스럽다가도 또 한편으로는 다행이다 싶은 마음이 오간다. 어찌 되었든 이왕 하기로 한 거 잘 되길 바랄 뿐이다. 아버지의 일을 배우랴 온라인 판로를 개척하랴 정신없는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서 예나 지금이나 손님을 상대하는 것은 주로 신 씨의 몫이다.
“이것저것 물어보는 분들한테 제가 가진 노하우를 알려드리기도 하고, 그분들에게 배우기도 해요. 참기름은 상온에, 들기름은 냉장고에 보관하라거나, 제철 나물을 무칠 때는 파와 마늘을 넣지 말고 소금, 참기름, 깨만 넣으면 풍미가 훨씬 좋다거나.”
갓 짠 참기름 냄새를 뒤로하고 돌아 나오는 길, 시장 가방을 든 젊은 부부가 들뜬 발걸음으로 들어선다. 전통은 이런 방식으로, 과거에서 현재로, 현재에서 미래로 이어져 나갈 것이다.
황경신(Hwang Kyung-shin 黃景信) 작가 한정현(Han Jung-hyun 韓鼎鉉) 사진 작가(Photographer)
Lifestyle
2023 SUMMER
“새로운 삶 준 한국, 제2의 고향이죠”
스롱 피아비(Sruong Pheavy)는 지금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명한 당구 선수로 손꼽힌다. 한국에 온 지 10년 차, 한 남자의 아내를 넘어 이제는 당당히 자신의 이름을 내세울 수 있게 된 그녀는 노력으로 가득 채운 시간이 어떻게 기적을 만들어내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캄보디아를 떠나와 한국 남성과 결혼해 한국에 정착한 스롱 피아비 씨는 남편의 권유로 당구를 시작해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손꼽히는 3쿠션 프로 당구 선수가 되었다. 그녀는 당구를 시작하기 이전에는 상상할 수도 없던 삶이 펼쳐지고 있다고 말한다.
지난 3월 11일 경기도 일산 JTBC스튜디오에서 열린 ‘SK렌터카 PBA-LPBA 월드챔피언십 2023’ LPBA 결승전에서 스롱 피아비 선수가 월드챔피언으로 등극했다. 높은 벽으로만 여겼던 김가영(Kim Ga-young 金佳映) 선수를 제치고 거머쥔 트로피였기에 그녀에게는 더욱 의미가 남달랐던 경기였다. 세트스코어 4-3으로 승리를 확정 지은 이번 경기를 두고, 당구 팬들은 길이길이 남을 명승부라며 극찬을 이어갔다.
월드챔피언십 우승자 되다 “이번 월드챔피언십 우승은 그랜드슬램이라는 데 의미가 있어요. 저의 우승이 확정되는 순간, 정말 믿을 수 없었죠. 승리의 여운이 계속 남아 경기가 끝난 후에도 혼자 펑펑 울었어요. 그동안 힘들었던 모든 순간이 머릿속에서 스쳐 갔어요. 파노라마처럼 스치는 제 삶의 순간들, 그 마지막에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제가 있었죠.‘인생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아무도 알 수 없구나’라는 생각이 들면서 이번 승리가 정말 감사했습니다.”
월드챔피언십에 최종 우승자로 이름을 올린 피아비 선수는 “큰 승리가 사람에게 주는 자신감은 다른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그동안 여러 승리를 손에 쥐어봤지만, 챔피언십 승리가 주는 의미는 남다르다는 의미였다.
“예선부터 정말 힘들게 올라갔어요. 올라갈수록 몸도 마음도 부담도 커졌어요. 긴장감이 엄습할 때는 잘 때 가슴이 아파 잠을 못 이룰 정도였죠. 자고 일어난 후에도 숨이 잘 쉬어지지 않아 한두 시간 혼자 깊게 숨을 쉬면서 컨디션을 조절해야 했어요. 워낙 긴장하다 보니 몸도 제 몸 같지 않더라고요. 원래 아무리 긴장해도 이 정도는 아니었는데 말이죠.”
당구는 미세한 손의 방향으로 승부가 나는 게임인 만큼, 긴장으로 인한 손 떨림은 경기에서 큰 위기였다. 인터뷰 자리에 함께한 그녀의 매니저도 “결승전을 치를 때 보니, 김가영 선수는 워낙 경험이 많아 전혀 떨지 않더라. 반면 스롱 피아비 선수는 손이 떨리는 게 멀리서도 보일 정도”라고 이야기했다.
“당구는 자세가 결승을 판가름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그런데 제가 긴장해서 손을 덜덜 떨고 있으니 마음이 어땠겠어요. 덜덜 떠는 스스로를 보면서 저는 더 긴장되고, 긴장하니 손은 더 떨리고…. 악순환이었죠.”
하지만 긴장되는 상황 속에서도 마음을 꼭 부여잡고 경기에 임한 결과 그녀는 월드챔피언십 우승 소식을 고국의 부모님께 전할 수 있었다.
처음 접한 당구로 인생의 새 길 열다
지난 3월 열린 ‘SK렌터카 PBA-LPBA 월드 챔피언십 2023’여자부에서 우승을 한 스롱 피아비 선수가 트로피를 들고 세러머니를 하고 있다. ⓒ 박용선(朴龍先)
이번 월드챔피언십 경기에 이르기까지 스롱 피아비 선수는 수많은 경기를 거쳐 왔다. 2010년 한국에 온 후 2011년에 당구를 배우기 시작해 여자 당구 3쿠션 아마추어 대회를 휩쓸었다. 이후 2017년 프로로 데뷔한 그녀는 데뷔 10개월 만에 국내 1위라는 랭킹을 차지했다. 무섭도록 빠른 그녀의 성장에 국내 당구계는 모두 긴장하기 시작했다. ‘캄보디아’라는 국적 때문인지 이미 업계에서는 그녀의 존재감을 알고 있었지만, 이토록 빠르게 순위권을 탈환하리라고는 생각지 못했기 때문이다. “캄보디아에서 온 제가 낯선 이곳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었겠어요. 저도 제 삶에 큰 기대가 없었는데 당구를 만나면서 모든 게 달라졌죠. 뭔가를 기대해볼 수 있겠다는 마음이 들자 작은 가능성이라도 붙들고 싶었어요. 당구를 시작한 후 하루 10시간 이상 연습에만 매진할 수 있던 이유죠.” 어마어마한 연습량 때문에 집에 돌아온 후에는 팔이 아파 밥숟가락도 제대로 들지 못했다. 그런 그녀를 보며 남편 김만식(金晚植) 씨는 안쓰럽기도 했지만 그런 노력이 있어야 당구선수로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에 아내에게 약한 마음을 내비치지 않았다. “남편의 권유로 시작한 당구인 만큼 남편은 저를 정신적으로 강하게 키웠어요. 제게 당구를 알려준 스승은 따로 있지만, 남편은 제 멘탈코치인 셈이었죠. 사실 결혼 후 남편과 다른 일로 싸운 적은 없는데 오로지 당구 때문에 싸웠어요. 제 시합을 보고 난 후 ‘왜 그렇게 쳤냐’,‘더 얇게 쳐야지’, ‘그때 그렇게 하면 안 되지’, ‘저 선수 잘하는 것 좀 봐라’라며 어찌나 혹독하게 몰아붙이던지요. 그럴 땐 저도 화나서 ‘그렇게 잘하면 당신이 쳐봐라’라고 말했지만, 마음 한편에서는 남편이 어떤 마음으로 제게 말하는지 아니까 귀담아들으려고 했죠. 남편은 제게 정말 고마운 사람이에요.” 그녀가 처음 당구장에 갔던 순간은 어떻게 기억되고 있을까? 당구가 운명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을까 싶어 당시의 기분을 물었지만, 그녀의 답변은 의외였다. “그냥 당구장이었어요.” 남편을 따라 처음 간 당구장에서 딱히 인상적인 느낌은 없었다고 했다. 그저 당구를 치는 남편을 조금 지루하게 기다리고, 그곳에 있는 사람들을 구경하면서 시간을 보낸 게 전부였다. 하지만 남편은 달랐다. 처음 당구장에 온 아내에게서 가능성을 발견했다. “제가 가만히 앉아 남편을 기다리는 게 미안했는지 와서 한번 쳐보라고 하더라고요. 알려 준 대로 쳤을 뿐인데 남편은 제게서 어떤 가능성을 보았나 봐요. 그날 집에 오더니 ‘당구선수 할래?’라고 묻더라고요. 하지만 전 싫다고 했어요. 당구선수 해 봤자 돈만 쓰지 정작 돈은 못 번다는 생각 때문이었죠.”
양국에 필요한 사람 되고파
처음 접한 스포츠와 언어 장벽, 고강도 연습 등으로 힘들어 포기하고 싶었던 수많은 순간에도 그녀가 큐를 놓지 않은 이유는 캄보디아의 아이들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 ⓒ 박용선(朴龍先)
남편은 피아비 씨를 부단히 설득했고, 결국 그녀는 큐를 잡기 시작했다. 남편이 사 준 3만 원짜리 큐를 들고 그때부터 당구장에서 하루를 보내기 시작한 것이다. “당구를 시작하긴 했는데 말이 안 통하니 너무 힘들더라고요. 스승님이랑 여러 대화를 자유롭게 하고 싶은데 한국말이 부족하니 서로 그림을 그려가며 소통했어요. 몇 년 후에는 저도 한국말이 좀 늘기 시작했고, 좀 더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게 됐죠.” 처음에는 억지로 시작한 당구였지만, 나중에는 스스로를 엄격히 대하며 훈련에 임했다. 그러자 그녀의 실력은 몰라볼 정도로 성장하기 시작했고, 지금의 스롱 피아비 선수가 될 수 있었다. “남편이 요즘 저를 보면 ‘미안했다’라고 말해요. 잔소리를 많이 했는데도 포기하지 않아서 고맙다고요. 물론 저도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있었죠. 하지만 그럴 때마다 캄보디아에 있는 아이들을 생각하며 이겨냈어요. 한국에 오고 나서 제 고향인 캄보디아가 얼마나 가난한지 더 크게 체감했거든요.” 피아비 씨의 집 한 켠에는 캄보디아 아이들의 사진이 걸려있다. 그리고 그 밑에는 ‘나는 이들을 위해 살 것이다’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한국에서 꿈을 이룬 자신처럼, 캄보디아의 아이들이 꿈을 꾸고 또 그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그녀의 바람을 적은 것이다. “처음 한국에 왔을 때는 컴퓨터도 할 줄 몰랐는데, 남편이 알려줘서 컴퓨터를 시작했어요. 인터넷에 접속한 후 캄보디아의 실상을 알 수 있었어요. 여기 와서 보니 내 나라가 이렇게 가난하구나 싶어 펑펑 울었어요. 그런 저에게 남편이 말했죠. ‘당구선수로 성공해서 유명해지면 돈도 많이 벌어서 캄보디아 아이들 도울 수 있어’라고요. 그동안 제 가족만 돕는다는 생각으로 살았는데 가족을 넘어 캄보디아의 많은 아이들을 도울 수 있다는 그 말이 제게 큰 위안을 주었어요. 그 이후로 캄보디아 아이들을 위해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고 생각했죠.” 실제로 피아비 선수는 우승으로 받은 상금을 차곡차곡 저축해 캄보디아 아이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보내고 있다. 구충제와 학용품 등을 고향의 아이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을 시작으로 고향 땅에 학교를 짓는 게 그의 꿈이다. 팬들의 응원 덕에 이 자리까지 올 수 있었다는 그녀는 “힘들 때 팬들의 한마디와 응원이 정말 큰 힘이 됐다. 어젯밤에도 팬들의 댓글을 읽으며 울었다. 내가 혼자 여기까지 온 것 같지만, 사실 수많은 사람이 나를 도와 여기까지 왔다는 걸 다시 한번 느꼈다. 한국과 캄보디아, 양국에 꼭 필요한 사람이 되고 싶다”라고 이야기했다. 앞으로 캄보디아에 스포츠센터를 건립하고 싶다는 스롱 피아비 선수. 당구로서는 한 개인이 이룰 수 있는 것은 다 이룬 만큼, 이제 더 큰 가치를 찾아 나아가고 싶다는 그녀는 캄보디아의 스포츠 인프라를 개선해 고향 땅의 아이들이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갖도록 돕고 싶다고 전했다.
황정은(Hwang Jung-eun 黃淨垠) 작가 이민희(Lee Min-hee 李民熙) 사진작가
Lifestyle
2023 SUMMER
조각이 된 사진
권오상(Gwon Osang, 權五祥)은 사진으로 조각을 구현해 냈다. 큐비즘이 3차원 입체 사물을 여러 시점의 2차원 평면 그림으로 구성한 것이었다면, 권오상은 다양한 각도에서 찍은 수백 수천 장의 평면 사진을 이어 붙여 입체 조각을 빚었다. 속은 텅 비우거나 스티로폼으로 채워 가벼움을 추구했다. 이 ‘사진 조각’은 미술사 그 어디에도 없었다.
권오상 작가가 자신의 초기 작품들 사이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그는 조각의 정체성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며, 새로운 조형 구조를 실험해 오고 있는 작가다.
. 2015. C-프린트, 혼합 재료. 380 × 176 × 105 cm.
대천사 미카엘이 악마 루시퍼를 무찌르는 장면에 가수 G-드래곤을 등장시킨 작품이다. ⓒ 빅토리아앤앨버트 뮤지엄
영국의 록 밴드 킨(Keane)은 권오상이 만든 멤버들의 조각상 이미지로 2008년 발표한 앨범
의 재킷을 만들었고, 그를 천재 작가라 칭송했다.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와 펜디, BMW와 나이키 등의 제안을 받아 협업했고, 영국 자블루도비츠(Zabludowicz) 컬렉션과 데이비드 로버츠 재단(The Roberts Institute of Art)을 비롯한 해외 여러 나라의 기관에 그의 작품이 소장돼 있다.
가수 지드래곤(G-DRAGON)의 사진으로 대천사 미카엘이 악마 루시퍼를 무찌르는 모습을 제작한
는 2015년 서울시립미술관 기획전의 화제작이었고, 지금은 런던 빅토리아앤앨버트 뮤지엄(V&A South Kensington)에서 6월 25일까지 열리는
전시의 주요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를 누비는 예술가 권오상을 만나기 위해 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그의 작업실로 찾아갔다. 그곳에는 1998년에 만든 최초의 사진 조각인 친구들의 흉상 두 점부터 인터넷 검색으로 찾아낸 배우 강수연(Kang Soo-yoon, 姜受延)의 이미지들로 한창 작업 중인 최신작들이 공존하고 있었다. 획기적인 개념이라도 반복적인 작업은 재미없다. 초창기 작품이 큐비즘을 떠올리게 했다면 최근 작품들은 초현실주의와 추상적 경향을 보이며 깊이를 더해간다. 김민기(金旼琦) 작가와 협업한 가구 제작, 서울예술단과 함께한 무대 공연까지 그의 활동 영역은 점점 더 넓어지는 중이다.
‘사진 조각’은 어떻게 시작됐나요? 제가 입학한 1994년 홍익대학교 조소과는 신임 교수들의 넘치는 의욕과 유학파의 패기가 어우러져 ‘뭔가 새로운 미술을 해야 한다’는 의식이 지배적이었어요. 게다가 홍대 앞 인디 문화가 색깔을 내기 시작한 때였고, 이전 베이비붐 세대와 구분되는 X세대가 등장한 시기였습니다. 세기말적 분위기와 새로운 밀레니엄에 대한 기대가 공존했죠. 학교의 커리큘럼 자체는 전통적 수업이 많았지만, 서로가 새로운 시도를 응원했어요. 그런 상황에서 저는 학교 동아리 사진반에 들어갔어요. 입학 첫날 찾아간 조소과 작업실은 천장이 무척 높고 꽤 널찍했는데, 작업하던 흙덩이가 비닐에 덮여 있고 돌과 나무들이 널브러져 있었어요. 그 장면을 보고 있으니 ‘나는 체격이 왜소한 편이라서, 체력이 요구되는 조각 작업이 쉽지 않겠구나’ 싶더라고요. 좋아하는 조각 작업을 계속하고 싶은 마음으로, 다루기도 쉽고 구하기도 용이한 재료를 찾다가 인화지를 발견했고, 그렇게 사진 조각이 시작되었어요. 내 몸 편하자고 시작한 셈이죠.
. 2023. Archival pigment print, 혼합 재료. 110 × 40 × 42 cm.
헨리 무어의 조각을 오마주한 작품으로, 작가 특유의 이미지 채집과 유희적 콜라주가 더해져 독특한 조형 미학이 완성되었다. ⓒ 아라리오갤러리
< New Structure 4 Prism & Macallan > . 2014. 잉크젯 프린트, 알루미늄. 275 × 316 × 197 cm. ‘뉴 스트럭처’ 시리즈는 잡지에 나오는 수많은 이미지들을 오려 붙인 ‘더 플랫’ 시리즈를 입체화한 작업이다. ⓒ 아라리오갤러리
자기 몸에 대한 자각에서 사진 조각이 탄생한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대학 졸업 전에 전시를 통해 화려하게 데뷔하셨죠? 우리나라 최초의 대안 공간인 루프(LOOP)가 1999년 개관했는데, 루프의 세 번째 기획전에서 ‘데오도란트 타입(Deodorant Type)’을 처음 선보였어요.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1999) 같은 스타일의 작품이었습니다. 운이 좋았죠. 첫 개인전은 2년 뒤에 인사미술공간(Insa Art Space)에서 열었어요. 이후로 여러 미술관들의 초대를 받았고, 전속 화랑인 아라리오갤러리와는 2005년부터 함께하고 있습니다.
다루기 쉽고 구하기도 용이한 재료를 찾던 작가는 인화지에서 실마리를 발견했고, 그로부터 그의 사진 조각이 출발했다.
인터넷과 잡지 등에서 수집한 사진 이미지를 점토와 청동으로 제작한 미니어처 자동차들은 ‘더 스컬프처’ 시리즈로 불린다.
통칭해서 사진 조각이지만, 25년의 작업을 살펴보면 그 종류가 무척 다양합니다. 제 홈페이지에 ‘작품(Works)’으로 분류해 둔 것만 10개 섹션입니다. 그중 학부 때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이어진 큰 줄기가 데오도란트 타입이에요. 방취제인 데오도란트는 냄새의 근본을 제거하는 게 아니라 다른 향으로 슬쩍 냄새를 가릴 뿐인데, 대상을 포착한 사진 이미지의 조합이 본래 대상과 살짝 다른 모습으로 드러나는 사진 조각과 그 성질이 유사하죠. ‘더 플랫(The Flat)’ 시리즈는 잡지 광고에서 오려낸 시계, 화장품, 보석 사진을 조각처럼 설치한 후 사진을 찍어 프린트한 겁니다. 입체가 잡지의 평면으로, 다시 조각이 됐다가 사진으로 변화해요. 또 플랫 시리즈가 사진으로부터 튀어나와 입체가 된 ‘뉴 스트럭처’(New Structure)가 있고요, 이것들이 벽에 붙은 ‘릴리프’(Relief) 연작도 있어요. 구조가 아닌 소재로 봤을 때는 사람과 동물의 흉상, 그리고 정물로 나뉩니다. 전체적으로는 조각이라는 형식이 갖는 재현의 의미, 무게•공간•시점•추상에 대한 탐구가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조각 작업을 하다 남은 자투리 나무가 아깝다는 생각에 작업실에서 쓸 만한 가구를 만들기 시작한 게 김민기 작가와의 협업 프로젝트였습니다. 2021년부터는 3D로 모델링한 형상 위에 사진들을 붙이는 방식으로 제작한 2D 이미지로 풍선 형태 조각도 시작했어요.
장식장 하나를 꽉 채운 수십 대의 미니카들도 흥미롭습니다. 이건 사진 작업이 아닌 것 같은데요? 점토와 청동 등 전통적 조각 재료를 사용했습니다. 대신 실물을 보지 않은 채 인터넷과 잡지 등에서 수집한 사진 이미지만으로 자동차와 오토바이 형상을 만들었습니다. ‘더 스컬프처(The Sculpture)’ 연작으로 불러요. 르망 경기에 나오는 자동차들로 시작했고, BMW가 미술가들과 협업한 아트카도 만들었어요. 대략 100대 정도 만들었는데 전시하러 내보낸 것들을 제외하고 남은 게 40대 정도 되네요. 손에 쏙 들어오는 크기의 이 소형 자동차는 장대한 자연의 축소판으로 수집하던 수석과 비슷합니다. 실물을 볼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지만, 우리는 사진을 통해서 그 이미지를 접하게 되죠.
권오상에게 사진은 무엇이며, 조각이란 무엇인가요? 제가 김세중(金世中)조각상(2013)보다 먼저 받은 상이 사진비평상(Sajin Bipyong Award, 2001)이었습니다. 첫 해외 전시도 일본 미술관의 사진전이었죠. 조각에서 형태를 만들어 내는 거푸집이 아날로그 사진의 네거티브와 개념적으로 흡사합니다. 이 점에서 저는 조각과 사진이 같은 방식이라 생각해요. 게다가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3차원 지도나 증강현실은 우리가 ‘사진이 조각으로 응용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조각 전공자인 저에게 조각이 무엇이냐 질문한다면, 조각가가 만드는 것들이 조각이라고 대답하겠습니다. 다만 제가 만드는 조각들이 조각사의 맥락과 닿아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여전히 실험을 이어가고 있죠. 잔 로렌초 베르니니 같은 르네상스 조각가를 탐색한 적도 있고, 인상주의 화가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의 조각 작품을 좋아하기도 합니다. 요즘 관심은 사진을 붙일 수 있는 추상 조각으로 옮겨가 헨리 무어에 이르렀습니다. 보통의 조각가들은 인체를 변형할 때 근육이나 뼈의 형태를 바꿔보는데 무어는 좀 엉뚱합니다. 양차 세계대전 때 방공호에 숨어 지내며 어둠 속에서 목탄 드로잉을 하다가 그런 자유로운 형식을 얻었다고 해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고립됐던 저의 경험이 그가 겪은 전쟁과 가족애를 더 이해하게 했고요. 무어의 방식을 인용하며 얻은 자유로움을 아마도 새로운 작업에서 만나실 수 있을 겁니다.
<2011 December>. 2012. 라이트젯 프린트, 나무 액자. 217.6 × 172 cm. ‘더 플랫’ 연작은 잡지에서 수집한 동시대적 이미지들을 입체적으로 구축한 후 이를 촬영해 다시 평면의 사진으로 종결시키는 작업이다. ⓒ 아라리오갤러리
조상인(Cho Sang-in, 趙祥仁) 서울경제신문 기자
Lifestyle
2023 SPRING
계획에 없던 삶의 여정
과학과 디자인, 여행과 스키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관심이 있는 마리 부스(Marie Boes)는 서울시 명예시민뿐만 아니라 많은 자격증을 획득하고 상을 받았으며, 작은 사업체를 운영하는 등 예상치 못한 길을 걸어왔다.
마리 부스는 벨기에의 조용한 도시 이르프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녀가 한국에 처음 방문한 건 2014년 석사 과정의 일환으로 중국에서 여름 코스를 마친 다음이었다. 그리고 몇 년 뒤 한국이 떠올라 되돌아온 후 줄곧 한국에서 생활 중이다.
2016년 마리 부스가 한국에서 살기 위해 왔을 때, 그녀는 블로그를 시작했다. 벨기에에 있는 할머니에게 자신이 잘 지내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서였다. 그렇게 시작한 이후 블로그는 두 개의 사업으로 진화했는데, 미디어 콘텐츠 제작사와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 마케팅 회사가 그것이다. 벨기에의 조용한 도시 이프르(Ypres)에서 태어나고 자란 29세의 마리 부스는 이제 작은 회사를 운영하면서 서울에서 살고 있다. “전혀 계획하지 않았어요. 그냥 그렇게 된 거예요”라고 그녀는 말한다. “외국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보통 가족이 읽을 수 있는 블로그를 시작해요. 그렇게 저도 글쓰기를 시작했죠. 그리고 특정 지역의 지원을 받아 여행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어요. 저는 그 여행기를 블로그에 올려 지역을 홍보했고요. 이런 일을 하고 나니 ‘와, 멋지다. 나는 겨우 23살이지만, 여행 지원을 받을 수 있고, 글쓰기도 좋아하니 이것으로 뭔가 할 수 있을지도 몰라’라고 생각했어요.”
인생의 전환들 한국 생활도 계획에 없었다. 2014년 석사과정의 일환으로 중국에서 여름 프로그램을 마친 후, 젊은 여성이 혼자 여행하기에 한국이 안전한 곳이라 믿고 방문하게 되었다. “어떤 기대도 없었어요. 여행 책 『론리플래닛』을 들고 온 게 다였어요”라고 당시를 회상했다. “하이킹을 많이 했어요. 해변으로도 가고, 서울도 가고, 부산, 경주, 속초도 혼자 갔어요. 그리고 다시 영국으로 돌아가서 1년 반 동안 일을 했고 이후 벨기에로 돌아갈 예정이었어요. 그런데 ‘한국에 돌아가야겠어. 그곳에서 정말 즐겁게 지냈지’라는 생각이 들어 한 달 계획으로 한국에 돌아와서 아직도 여기에 있네요.” 처음에는 여행 블로그 ‘Be Marie’를 운영하는 것 외에 영어도 가르치고, 스키 강사도 하고, 영화 촬영장 스태프 등 다양한 일을 했다. 그녀는 또 다른 웹사이트를 위해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그 동안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이 그녀의 웹사이트를 방문할 수 있게 할지 고민했다. 그래서 유튜브에서 영상을 보면서 웹 사이트 개발과 SEO(검색 엔진 최적화)를 독학했다. 블로그가 성장하고 점점 더 많은 트래픽을 끌어들이면서 그녀는 자신이 하는 일에 재능이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여겼고 그녀에게 웹사이트 작업을 맡기기 시작했다. 그렇게 그녀의 회사 중 하나인 나무마케팅이 탄생했다. 그러나 마리 부스는 미디어 혹은 정보기술에 대해 공부한 적이 없었다. 영국의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Nottingham Trent University)에서 산업 공학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는데, 이 전공을 선택한 이유는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몰랐기 때문이었다. “저는 모든 걸 하고 싶었어요. 모든 것에 관심이 있었어요”라고 말한다. 산업 공학은 그녀가 좋아하는 과학도, 디자인도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 몇 개의 의료 관련 웹사이트 작업을 하고 있는 나무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으니 결과적으로 산업 공학은 그녀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다채로운 커리어
디자인은 마리 부스의 삶에 중요한 부분이었고 여전히 그렇다. 그녀는 벨기에와 이탈리아에서 산업 디자인 코스를 수료했으며, 자전거 용품과 슬라이딩 루프를 디자인한 경험이 있다. 심지어 패션 브랜드를 공동으로 론칭하기도 했다. 코로나19가 발생해 관광업이 멈추게 되자 할 일이 거의 없었다. 그래서 그녀는 아산상회에 지원했다. 아산상회는 북한에서 온 청년과 국내외 청년들이 함께 창업을 준비할 수 있게 도와주는 6개월짜리 글로벌 팀 창업 프로그램이다. 그곳에서 그녀는 북한에서 온 한 여성과 함께 아이스토리(IStory)를 설립했다. 아이스토리는 사회적 기업 패션 브랜드로 팔꿈치에 패치를 단 티셔츠를 생산했다. 이 디자인은 남한에 정착한 북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개념적으로 보여준다. 지금은 더 이상 관여하고 있지 않지만, 마리 부스는 “저는 그 일이 매우 자랑스러워요. 『뉴욕 타임스』 에도 우리 기사가 나왔어요! 정말 멋졌어요”라고 말한다. 그녀는 이제 자신만의 일로 담요, 가방, 티셔츠 등을 디자인하는데 궁궐과 사원의 목조 건물을 장식하는 다채로운 색깔의 단청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작품은 한국의 전통 문양에 대한 애정과 박물관에서 원하는 굿즈를 찾지 못해 직접 만들게 된 것이다.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진 않지만, 매달 열 개에서 스무 개 정도 주문을 받는다. 아산상회 프로그램을 하는 동안 그녀는 북한에서 온 대학생 이지안 씨와 한국의 병역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미국에서 돌아온 민경환 씨도 만났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그들은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있었지만 한 가지 공통된 목적이 있었다. 한국을 세상에 홍보하는 것이다. 이후 그들은 ‘한국 어때요(How Is Korea)’ 유튜브 채널을 만들었고 영어 가르치기, 여행할 만한 곳, 음식, K-팝, 안전에 대한 조언, 택시, 카카오톡 사용법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영상 콘텐츠를 제작했다. 그녀는 자신의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팬데믹 기간 동안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을 경험했다. “이전에 벨기에 사람들에게 한국에 대해 이야기 하려면 무엇을 말해야 할지 몰랐어요. 근데 지금은 K-팝과 K-드라마가 벨기에에서도 인기가 정말 많아요. 한국이 문화적으로 확실히 유명해졌다고 느껴요. 그래서 많은 사람이 한국을 방문하고 싶어 해요”라고 그녀는 말한다.
사업에 이르기까지
여행으로 와서 한국에 정착한 그녀는 웹사이트 제작, 사회적 기업 패션 브랜드 창업, 한국을 홍보하는 유튜브 채널 개설, 서울시 명예시민 등 다양한 활동과 사업을 이어가며 이곳에서의 삶을 즐기고 있다.
마리 부스는 두 개의 회사를 운영하지만 풀 타임으로 사무실에서 일하는 직원은 없다. 그녀는 두명의 파트너와 함께 일주일에 두 번 사무실에서 일하고, 다른 모든 일은 프로젝트 단위로 프리랜서와 일한다. 그녀는 대부분 서울 이태원에 있는 집에서 일한다. 이런 모습이 태평스럽게 보일지 모르지만, 그녀는 매우 체계적이라고 말한다. “항상 아침 7시 30분에 일어나서 천천히 아침 식사를 하고 9시쯤 일을 시작해요. 아침은 저에게 가장 생산적인 시간, 즉 최고의 ‘집중 시간’이에요. 이때 웹사이트 콘텐츠, 제안서, 또는 보고서를 쓰죠. 제가 최고로 집중을 해야 하는 일들입니다.” 오후에는 긴장을 풀고 친구를 만나거나 다시 책상 앞으로 돌아오기 전에 근처 남산을 오르기도 한다. 그녀는 한국의 카페 문화를 사랑한다. 원하는 카페에 앉아 몇 시간 동안 작업을 하면서 시간을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팬데믹 기간 중 거의 일을 할 수 없었을 때 그녀는 뷰티 관련 수출 회사 마케팅팀에서 정규직으로 일했다.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사무실에 앉아 한국 회사의 위계질서와 인간관계의 복잡함을 경험했다. 한국과 한국 사람을 좋아해서 한국으로 이주해온 많은 다른 사람들처럼 그녀는 사회적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정말 여러 면에서 적응하려고 애를 썼어요. 한국어를 열심히 배웠고 한국인 친구를 만들려고 노력했어요. 제가 한국 사람처럼 행동하려고 하니까 저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모르는 것 같았어요”라고 그녀가 말했다. 자신이 외국인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자 삶이 더 쉬워졌다. 그녀가 한국인이 아니기 때문에 그녀의 친구들 대부분이 외국인이고, 대부분의 작업이 영어로 이루어진다. 사업주로서 젊고 외국인이며, 여성이기 때문에 그녀는 자신을 증명하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해야 했다. “저는 무엇을 하든 남자보다 3~4배는 더 잘해야 한다고 느꼈어요. 하지만 그것이 결국 저를 더 나은 사업가로 만들었어요”라고 말하면서 그녀는 좋은 변호사와 회계사를 두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이제 탄탄한 실적을 갖고 있다. 서울법률그룹과 같은 고객과 일하고 있으니 그것이 이미 많은 것을 말해준다. 2019년에는 한국관광공사와 서울관광공사로부터 블로그 상을 받았고, 2021년에 서울시 명예시민으로도 선정됐다.
다른 사람에게 영감 주기 마리 부스의 모든 교육과 경험은 그녀의 세월과 비례 되지 않는 것 같다. 이제 겨우 29세인 그녀는 실제로 동년배들과 비교했을 때도 아주 다른 삶의 단계에 있다. 그런데 그녀는 자신이 아주 느릴 뿐 아니라 수줍음을 많이 타고 부적응자라고 말한다. “저는 시골에서 자랐어요. 그래서 적응하는 게 항상 어려웠어요. 누구보다 수줍음을 많이 타는 사람이었고요. 짧은 머리를 하고 농구를 했어요. 남자애 같았죠. 모든 것이 어울리지 않았어요.” 그녀는 삶에서 쉬운 길을 택하지 않았다. 스스로 많은 장애물을 극복했던 그녀는 이제 자신의 경험을 나누기 위해 대중 강연과 다른 젊은 여성들을 멘토링 하는 데에 관심이 많다. 작년에 이와 관련된 몇 가지 프로그램에 참여했는데 그중 하나는 이화여대 이과 여학생들을 위한 것이었다. 그녀는 젊은 여성들에게 영감을 주고 그들에게 정해진 길을 꼭 따라야 할 필요가 없음을 보여줬다. “반응이 아주 좋았고 저도 많은 것을 얻었어요”라고 그녀는 말한다. “제가 선택한 길을 보면 하나의 길을 따르지 않았어요. 그래도 모든 게 잘 되었고요.” 하지만 그녀가 벨기에에서 안정적인 사무직을 갖지 못한 것을 걱정하는 할머니가 여전히 마음에 걸린다. 사진을 찍기 위해 포즈를 취하고 미소를 지으면서 그녀는 “이 사진이 할머니가 제가 제대로 된 일을 하고 있음을 믿도록 도와줄 거예요”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궁궐이나 박물관에서 자신이 원하는 굿즈를 발견하지 못한 그녀는 단청에서 영감을 얻어 이를 패턴화한 가방, 담요, 티셔츠 등의 굿즈를 직접 제작해 판매하고 있다.
마리 부스는 한국이 낯선 외국인들에게 다양한 여행 정보와 한국의 매력을 소개하는 웹사이트 ‘Be Marie(bemariekorea.com)’에서 한국의 전통 문양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굿즈도 판매하고 있다. ⓒ Be Korea Shop
조윤정(Cho Yoon-jung 趙允貞) 프리랜서 작가, 번역가 이민희(Lee Min-hee 李民熙) 사진작가
Lifestyle
2023 SPRING
한국인이 건축을 대하는 태도, 어떻게 달라졌나
건축 관련 콘텐츠가 시사 교양 영역으로 취급되던 과거와 달리 지금 우리는 건축을 탐구하거나 의뢰인의 의도에 맞는 집을 찾아 중개하는 예능 방송을 즐기며, 애플리케이션으로 남의 집을 구경하면서 동시에 인테리어 쇼핑을 즐긴다. 건축과 공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졌기 때문이다. 덕분에 건축을 대하는 대중의 인식이 달라졌으며 건축 관련 콘텐츠를 일상의 문화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관람객이 오픈하우스서울 2020에 참여한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있는 수곡리 땅집을 둘러보고 있다. 한국의 유명 건축가 조병수가 설계한 이 집은 땅 속에 박혀 있는 모습으로,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였던 윤동주(尹東柱 1917~1945)의 하늘과 땅과 별을 기리는 집이다. ⓒ 오픈하우스서울
건축은 딱딱하고 어렵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음악이나 문학처럼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도 없고, 한 끼 좋은 식사를 하는 것처럼 조금 욕심을 낸다고 내 것이 될 수도 없기 때문이다. 특히 부족한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획일적인 주택을 대량 공급했던 한국의 시대적인 배경 탓에, 건축을 문화예술의 관점에서 어떻게 살펴보고 감상해야 하는 지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과 이해 자체가 부재했다.
건축, 내 것처럼 즐기기
‘오픈하우스서울’은 도시를 둘러싼 환경, 건축, 장소와 예술을 담은 공간을 개방하고 발견하는 도시건축축제이다. 사진 속 공간은 ‘오픈하우스서울 2019’에 참여한 소설호텔로, 객실마다 개성을 부여해 여행자가 다양한 공간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 이강석(오픈하우스서울 제공)
건축물은 해당 장소를 직접 방문해야만 볼 수 있고, 사유지는 입장하는 것조차 어렵다는 태생적인 한계가 있다. 지난 2017년 tvN에서 방영한<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 2 > 은 이러한 건축의 한계를 깼다. 국내 여행지에서 마주하는 문학, 미식,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건축, 도시 등의 이야기를 엮어 내고 독특한 시각에서 건축을 재해석해 젊은 세대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켰다. 이 방송을 통해 대중에게 이름을 알린 유현준 건축가는 유튜브 채널 개설 1년 만에 구독자 74만 명을 넘기며 건축도 대중이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해냈다. EBS< 건축탐구-집 > 이나 MBC< 구해줘! 홈즈 >역시 높은 시청률을 바탕으로 시즌을 거듭하면서 하나의 방송 장르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이와 함께 평소 방문이 어려운 건축물을 한시적으로 개방해 건축의 문턱을 낮춘< 오픈하우스서울 >역시 대중과의 소통에 성공한 사례다. 서양에서 일반인에게 건축물을 개방하는 축제에서 영감을 받은 임진영 건축 저널리스트가 2014년 서울에서 시작한 이 프로그램은 매해 온라인 예약 오픈과 동시에 서버가 다운될 정도로 대중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축제로 자리 잡았다. 프로그램에서는 주택, 사옥, 문화 공간, 종교 공간, 문화재, 공장 등 도시에 존재하는 모든 건축 유형을 다루며, 해당 건축에 참여한 건축가와 시민의 만남을 주선해 건축과 도시가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 아님을 깨닫게 한다. 현시점에서 건축의 직접 경험이 음악, 패션, 미술보다 시대적인 대세라 할 수 있는 이유는 시각 정보 전달 중심인 SNS를 통해 유행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특정 공간을 누가 설계했는지까지(특정 공간의 건축가까지) 파악하려는 태도이다. 건축가의 이름이 대중이 선택하는 브랜드가 되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인증 문화는 한 때의 유행처럼 경쟁적으로 장소를 소비하려는 가벼운 행태로 건축에 접근한다는 우려도 있다. 하지만 실제 인스타그램에서 인기 있는 공간을 설계한 건축가들에게 새로운 프로젝트 의뢰가 이어지는 것 또한 사실이다. 포토제닉을 넘어서 이제는 인스타그램에 최적화된 이미지를 의도해 설계하기도 한다. 인스타그래머블(Instagrammable)이라는 신조어가 캠브리지 영어사전에 등록될 정도로 무시 못 할 현상으로 자리 잡은 탓이다.
동네의 재발견
‘서교근생’은 상가 또는 가게라 불리는 한국의 근린생활시설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어닝을 장식과 상징 요소로 사용해 건물에 캐릭터를 부여했다. ⓒ 진효숙
최근 30~40대 젊은 건축가들을 중심으로 지역성, 한국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K-00’로 대표되는 수식이 해외 미디어가 아니라 건축계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이들은 미디어의 발달과 해외 건축 답사를 통해 일찍이 서양 건축을 배우고, 이를 자신들의 디자인에 참고 대상으로 삼았던 세대이다. 그러다 본인의 사무소를 열고 건축가로 활동하면서 건물을 짓는 풍토가 서양과는 다르다는 점을 깨달은 것이다. 기후, 재료, 사업비, 취향, 문화적 배경, 법 조항 등 많은 것이 달랐다. 이들은 ‘지금’, ‘여기’에 무엇이 있는지부터 살폈다. 그 결과 이전에는 고등 교육을 받은 건축가들이 부정하고 무시했던 1970~80년대에 집중적으로 지어진 다세대-다가구 건축을 재조명하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 붉은 벽돌과 갈색 새시, 은색 대문으로 대표되는 건축 유형은 문화유산이나 막대한 자본이 투입된 고급 건축이 아니라 평범한 이웃이 사는 곳이다. 하나의 설계 도면으로 도장 찍듯 복제했다는 비판이 과거의 시각이라면, 이제는 어찌 됐든 이것 또한 우리의 자산이며 아파트 재개발로 동네가 사라지는 가운데 얼마 남지 않은 공동의 기억이라는 입장이다. 비록 예술적 기교 없이 마구 지어진 건축이지만,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건물을 짓는 인부들이 자발적으로 시도한 즉흥적인 디자인이 곳곳에서 드러난다. 한계가 명확한 상황에서 구현된 현장의 즉흥적인 창작에서 건축가들은 매력을 느끼고 이를 응용하고 있다. 권태훈 건축가의 『파사드 서울』, 『빌라 샷시』와 같이 무명의 건축을 정교한 드로잉으로 기록한 책이 대표적이다. 또 일반 점포의 천막 차양(awning)을 콘크리트로 재해석한 서재원 건축가의 임대 근생 건축물인 ‘서교 근생’이나 현대식 건축에 기와지붕을 얹은 김효영 건축가의 ‘점촌 기와올린집(Gi-Wa House, Jeomchon)’, 담대한 아치가 돋보이는 김현대+텍토닉스 랩의 ‘청운동 주택’ 역시 한국 근현대사와 한국적 건축 특징을 적용한 대표 사례이다. 이들뿐 아니라 요즘 지어진 수많은 건축물이 벽돌로 마감했다는 점도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실용을 중시하는 세대
둥그런 원을 절반씩 잘라 겹겹이 쌓아놓은 듯한 아치형의 파사드를 이용한 ‘청운동 주택’ 역시 한국 근현대사와 한국적 건축 특징을 적용한 사례로 장엄하지만 포근한 느낌을 준다. ⓒ 텍토닉스랩
집을 사는 것(buy)으로 생각했던 과거에 개인 주택에서 자랑할만한 요소는 큰 창과 수입 자재로 마감한 세련된 인테리어, 돋보이는 형태처럼 주로 시각적인 부분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집이 비싼 상품이라면 돈을 지불하는 만큼 높은 품질을 보장해야 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실용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이들은 친환경 공법, 빠른 시공, 에너지 효율, 공기 질과 같이 보이지 않는 부분에도 기꺼이 비용을 들인다. 한국의 주거는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추운 기후 특성상 수시로 창문을 열기 어렵다. 또한 에너지가 낭비되지 않게 단열에 신경 쓰는 만큼 실내 공기를 가둔 상태에서 쾌적함을 유지해야 한다. 기밀성, 에너지, 공기 질과 같이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원하는 성능의 집을 구매하는 소비자 역시 늘고 있다. 코로나와 같은 대규모 질병, 극심한 기후 변화, 장기 불황으로 인해 불투명한 미래, 전기차의 등장, 4차 산업혁명 등 우리가 이미 겪고 있는 다양한 현실의 문제들은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것은 곧 건축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또한 계속 변화하고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배윤경(Bae Yoon-kyung 裵允卿) 건축 칼럼니스트, 단국대학교 건축학과 초빙교수
Lifestyle
2023 SPRING
자수로 이름표 새겨주는 체육사
체육사는 운동에 필요한 기구와 장비들을 파는 곳이다. 하지만 학교 인근 체육사들은 그것만으로 수익을 내지 않는다. 학생들의 교복과 체육복에 자수로 이름을 새겨주는 일. 김일체육사 이경자 사장이 40년간 변함없이 해온 일이다. 재봉틀로 한 글자씩 이름을 새기면서, 그녀는 오늘도 기쁘게 손님들을 맞이한다.
이경자 씨는 지난 40년간 변함없이 오전에 체육사 문을 열고 손님을 기다린다. 학생이었던 손님이 엄마가 되어 아이 이름을 새기러 오기도 한다. 시간이 흘러 손님도, 정겨웠던 주변 풍경도 변했으나 변하지 않은 한가지는 그가 손수 새기는 이름 자수이다.
‘뚝딱’이란 말이 있다. 힘들이지 않고 일을 손쉽게 해치우는 모양을 나타낸다. 이경자 씨가 재봉틀로 이름을 새기는 데는 1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말 그대로 뚝딱 일을 끝내버린다. 하지만 그렇게 되기까지 그가 보낸 시간은 결코 짧지 않다. 일자로 선을 긋는 일부터 시작해 한글까지 수없이 연습하며 가능해진 일이다.
변함없는 40년
김일체육사가 일 년 중 가장 바쁠 때는 매년 신학기가 시작되기 전인 1~2월이다. 신입생들은 교복을 새로 맞춘 뒤 이곳을 방문해 입학 연도에 해당하는 컬러에 이름을 새긴 명찰을 단다.
이 씨의 손가락들은 한쪽으로 일제히 휘어있다. 이름을 새기며 살아온 40년 세월이 손에 오롯이 담겨있다. “처음 재봉틀을 다룰 땐 손을 많이 다쳤어요. 지금은 손가락이며 손목 통증에 시달리고 있고요. 그래도 참 행복했던 것 같아요. 재봉틀을 돌리고 있으면 딴생각이 전혀 안 나거든요. 바쁠 땐 밥 먹는 것도 잊어요. 시간이 정말 빠르게 가요.” 그녀가 40년을 보낸 김일체육사는 경기도 김포시 북변동에 있다. 북변동은 과거 김포시의 중심가였던 곳이다. 1970년대 군청과 우체국이 들어서고 그 주변에 점포와 술집, 다방 등이 들어서면서 김포 최고의 번화가로 자리 잡았다. 그랬던 이 거리가 현재 재개발을 앞둔 상태다. 지금의 정겨운 풍경들이 몇 년 안에 흔적 없이 사라질 예정이다. “이 동네가 철거되면 그때는 체육사를 그만두려고요. 지금은 한 달 월세가 오십만 원인데, 새 곳으로 가면 지금 보다 몇 배를 더 내야 할 거예요. 현재의 수입으로는 감당할 방법이 없어요. 이 일을 할 수 있는 날이 몇 년 안 남았다고 생각하니, 저를 찾아오는 손님들이 더없이 고맙게 느껴져요.” 자수로 이름표를 새겨주는 학교는 김포중학교, 김포여자중학교, 김포고등학교를 비롯해 김포시에 있는 약 20개의 중•고등학교다. 학교별로 학년별로 명찰 색이 다르다. 혹여 실수라도 할까 봐 해가 바뀌면 학교, 신입생, 재학생 등 각각의 명찰 색깔을 벽에 새로 써서 붙여두고 일한다.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한 그루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스피노자처럼, 색색의 이름표를 새기며 그녀는 묵묵히 새봄을 맞이한다.
손, 발, 무릎의 삼박자
김일체육사는 이 씨가 세 번째 주인이다. 첫 번째 주인은 이 씨의 고교 동창의 아버지였다. 김포 시가지가 형성되던 무렵에 문을 연 이곳을 고교 동창이 물려받아 운영했고, 1983년 그녀가 인수해 지금에 이르렀다. “김일체육사가 ‘김포에서 제일가는 체육사’라는 의미더라고요. 뜻이 참 좋아서 상호를 그대로 쓰고 있어요.” 체육사는 운동과 관련된 여러 가지 기구와 장비를 파는 곳이다. 하지만 학교 인근 체육사들은 그것만으로 수익을 내지 않는다. 교복에 자수로 이름을 새겨주는 것이 꽤 중요한 수입원이다. 체육복을 팔 때 ‘서비스’로 이름을 새겨주다 교복에 다는 명찰까지 체육사의 몫이 된 것이다. 학교 교과에 교련(敎鍊 고등학교 이상의 학생들에게 실시된 군사 교육훈련 과목으로 대학 교련은 1988년에 폐지됐고, 고등학교 교련은 1997년부터 선택과목으로 바뀌어 사실상 폐지됐다)이 있던 시절에는 교련복에 이름을 새겨주는 것도 체육사의 일이었다. 교련복을 파는 곳이 체육사였기 때문이다. “초창기엔 여기서 판매하는 교련복이며 체육복을 다른 가게로 가지고 가서 이름을 새겨왔어요. 자수를 할 줄 몰랐으니까요. 언제까지 그럴 수는 없어서 장사하면서 틈틈이 연습했어요. 이른 아침부터 늦은 밤까지 온종일 재봉틀과 함께했죠. 자신 있게 이름을 새기기까지 6~7년은 걸린 것 같아요. 재봉 자수는 손으로만 하는 게 아니라, 발로 페달을 밟아 속도를 조절하고 무릎 리프트를 밀어 글씨 두께를 조율해야 해요. 삼박자가 맞아야 하기 때문에 오랜 숙련이 필요하죠.” 이경자 씨가 바늘귀에 실을 꿰는 건 아주 순식간이다. 시력이 좋아서가 아니라, 실을 꿰는 감각이 손에 익은 덕분이다. 재봉틀로 새긴 그의 글씨체는 아름다운 궁서체다. 궁서체는 조선시대 궁녀들이 쓰던 한글 서체로 예의를 갖춰야 하는 문서에 주로 사용한다. 붓글씨에서 유래한 서체답게 자수로 새긴 그의 글씨도 여간 유려하지 않다. 무엇보다 세상에 하나뿐이다. 손으로 새기니 그럴 수밖에 없다. 명찰 한 개를 새겨주면 이천 원을 받는다. 어떤 이는 너무 싸다고 하고 어떤 이는 좀 비싸다고 하지만, 그녀는 그저 웃으며 이름을 새길 뿐이다. “4년 전에 우리 가게에도 컴퓨터자수 기기를 들여놨어요. 친동생이 컴퓨터 자수를, 제가 재봉 자수를 맡아 함께 작업해요.” 컴퓨터자수와 재봉자수는 그 느낌이 사뭇 다르다. 체온이 스미기라도 한 것처럼, 수동으로 새긴 것이 좀 더 따뜻하다. 재봉 자수를 찾는 고객들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김일체육사엔 학창 시절 이곳에서 명찰을 해간 이들이 아이 엄마가 되어 다시 찾아오는 경우가 더러 있다. 그런 이들을 만날 때마다 그녀는 참 기분이 좋다. 한 자리를 오래 지키길 잘했다 싶어진다. 요샌 근처 유치원생 엄마들이 유치원복이며 수건에 이름을 새기러 올 때가 많다.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꼬마들인데도, 이름을 새기는 이 씨의 얼굴엔 늘 환한 미소가 돈다.
고향에서 나무처럼
매년 명찰을 새기다 보면 그 해 유행하는 이름을 알 수 있다. 부모의 성을 함께 쓰는 네 글자 이름이나, 다섯 글자나 되는 긴 이름을 발견할 때도 있다. 손끝의 온기를 더해 이름 한 글자 한 글자 정성 담아 새기다 보면 하루가 지났는지도 모르게 시간이 빠르게 흐른다.
“40년을 하다 보니 시대별로 어떤 이름이 유행하는지 알게 되더라고요. 한때는 한글 이름이 많더니 요샌 중성적인 이름이 많은 것 같아요. 부모의 성을 함께 쓰는 네 글자 이름도 새겨봤고, 한글로 된 다섯 글자 이름도 새겨봤어요. 돌아보니 다 재미있는 추억이네요.” 유행은 스포츠 물품에도 있다. 인기를 끄는 운동에 따라 잘 팔리는 물건이 그때그때 달라진다. 너른 들이 있는 김포는 1970~80년대까지만 해도 겨울마다 논을 얼려 아이들이 썰매며 스케이트를 타던 지역이다. 운영 초창기인 80년대 중반까진 그도 스케이트를 많이 팔았다. 겨울이 겨울답던 시절이었다. 롤러스케이트가 잘 나가던 때도 있었다. 무엇이 잘 팔리든, 아이들이 건강하게 놀 수 있는 물건을 판매한다는 게 그는 참 좋았다. 탁구 세트와 배드민턴 세트, 축구공, 농구공 등은 유행을 타지 않고 그럭저럭 팔리던 물품이지만, 최근엔 인터넷 판매에 밀려 판매실적이 매우 저조하다. 대신 옷에 패치를 붙이러 오는 사람이 많다. 집에서 바느질하는 사람이 드물기 때문이다. “구멍 난 겉옷에 패치를 붙여달라고 고객들이 찾아오면, 장미꽃이나 나뭇잎 같은 문양으로 바느질을 해 구멍을 메워드리곤 해요. 재질이 다른 패치를 옷감에 붙이는 것보다, 옷과 같은 색 실로 문양을 만들어 구멍을 메우는 게 더 잘 어울리거든요. 손님들이 좋아해 주셔서 저도 기분이 좋아요.” 이 동네엔 김일체육사 외에 체육사가 한 곳 더 있다. 김포체육사가 그곳이다. 거기서도 재봉 자수를 하지만, 두 곳은 경쟁하는 관계가 아니라 협력하는 관계다. 체육복이 필요한 학생 수를 계산해 체육복을 반반씩 들여오고, 한 곳에서 먼저 다 팔면 다른 곳으로 안내하는 식이다. 서로 도와야 오래갈 수 있음을 경험으로 알고 있다. 아이들도 동네 사람들과 함께 길렀다. 92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오기 전 김일체육사는 김포시 유일의 영화관이던 우파레극장 자리에 세 들어있었다. 가게 안에 살림집을 들이고 거기서 두 아이를 길렀다. 이웃들이 수시로 아이들을 돌봐줬다. 일과 육아를 함께하느라 꽤 힘들었는데도, 온 동네에 온기가 가득하던 그 시절이 그녀는 무척 그립다. “김포 양촌읍에서 태어나 김포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 나왔어요. 고등학교 선배와 결혼해서 여태 김포에 살고 있고요. 어릴 땐 이 주변이 다 논밭이었어요. 가을이면 벼가 노랗게 익은 들판이 정말 아름다웠죠. 도시가 형성되면서 옛 정취는 사라졌지만, 따뜻한 추억들이 내 가슴에 있어요. 생애 마지막까지 이 지역에서 살고 싶어요.” 이경자 씨는 올해 칠순을 맞는다. 태어난 자리에서 한평생을 살아가는 나무처럼, 고향 땅에 단단히 뿌리내린 칠십 년 인생이다. 그녀가 만든 나무 그늘 아래로 오늘도 하나 둘 손님이 찾아오면 이름을 새기며 이곳에 온기를 채워간다.
박미경(Park Mi-kyeong 朴美京)자유기고가(Freelance Writer) 한정현(Han Jung-hyun 韓鼎鉉) 사진가(Photographer)
Lifestyle
2023 SPRING
K-좀비의 탄생에 그가 있었다
4인조 댄스팀 센터피즈(Centipedz)는 한국 최초로 결성된 본브레이킹 크루이다. 팀의 리더이자 영화 안무가인 전영(Jeon Young, 田穎)은 K-좀비의 몸동작을 구상하고 배우들에게 가르치는가 하면 영화에도 여러 차례 직접 출연했다. 댄스라는 장르를 넘어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있는 그에게 영화 속 캐릭터들의 몸짓을 탐구하는 즐거움에 대해 들었다.
전영의 활동명은 ‘언데드(Undead)’다. 이 강렬한 이름은 그가 영화 안무가로 참여했던 대표작들을 연상시킨다.< 곡성(The Wailing, 哭聲) > (나홍진 감독, 2016)을 시작으로 안무 지도 작업에 뛰어든 그는 국내에서 처음 시도된 좀비 블록버스터< 부산행(Train to Busan, 釜山行) > (연상호 감독, 2016) 속 좀비들의 움직임을 만든 안무가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그는 또 다른 좀비가 등장하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Kingdom, 王國) > (김성훈 감독, 2019),< 부산행 > 의 세계관을 이어받은 두 번째 이야기< 반도(Peninsula, 半島) > (연상호 감독, 2020)에 차례로 참여하며 이른바 ‘K-좀비’의 전문가로 자리매김했다. 뼈를 꺾는 듯 춤추는 본브레이킹 댄서 전영은 죽지 않는 인간들의 팔다리에 기괴한 안무를 접목해 새 숨을 불어넣는다. 작품의 색깔에 따라 좀비의 스타일도 달라진다.< 부산행 > 의 좀비들이 광견병 환자처럼 날뛴다면,< 킹덤 > 에서는 몽유병 환자같이 움직인다. 그의 활동 반경은 좀비에 머물지 않는다. 평범한 사람에게 어느 날 갑자기 놀라운 능력이 생긴 뒤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염력(Psychokinesis, 念力) > (연상호 감독, 2018)의 초능력자, 인간의 몸에 수감된 외계인 죄수들을 쫓는 과정을 그린< 외계+인 1부(Alienoid) > (최동훈 감독, 2022)의 외계인을 비롯해 스파이 색출 작전이 긴박하게 펼쳐지는< 헌트(Hunt, 狩猎) > (이정재 감독, 2022)에서는 고문 피해자의 동작을 구상하며 한국 장르 영화 곳곳에 자취를 남기는 중이다.
영화 안무가 전영에게는 어떻게 하면 더 기괴해질 수 있는지가 주된 관심사다. 기괴함을 극대화해 영화에 개성적인 색채를 불어넣는 게 그의 역할이다.
그가 디자인하는 좀비는 작품의 성격에 따라 스타일이 달라진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부산행 > 의 좀비들이 집요하면서도 역동적이라면, 사극< 킹덤 > 에 나오는 조선 시대의 가난하고 힘없는 좀비들은 몽유병 환자처럼 정적으로 움직인다.
본브레이킹이라는 춤을 언제 접했나? 미국 브루클린에서 태동한 플렉싱(FlexN)이라는 댄스 장르가 있다. 본브레이킹은 그중 한 요소인데, 기존에 볼 수 없었던 기계적인 움직임에 매력을 느꼈다. 뼈가 뒤틀리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서는 타고난 신체 능력이 필요한데, 왠지 선택받은 사람만이 출 수 있는 춤이라는 인상 때문에 더 빠져들었다.
대학에서 행정학을 전공하다 군 전역 후 본격적으로 춤을 시작했다. 춤에 입문한 계기는? 부모님이 원하는 대로 안정적인 직업을 갖기 위해 나름대로 열심히 공부했다. 그런데 전공이 적성에 맞지 않더라. 오히려 춤이나 익스트림 스포츠에 더 흥미를 느꼈다. 그러던 와중에 브레이크 댄서로 프로팀에서 활동하는 후임을 군대에서 만났다. 그 친구와 교류하면서 내가 춤출 때 행복하다는 걸 알게 됐다.
영화 안무 작업 전에는 어떤 활동을 했나? 실용 무용을 전공하기 위해 다시 학교에 들어갔다. 당시 브레이크 댄스에 관심이 많았는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춤을 추면 좋을지 고민이 많았다. 하지만 학교보다는 오히려 유튜브를 통해 답을 얻었다. 해외 댄서들의 영상을 보면서 본브레이킹도 접했고, 저 새로운 춤이 미래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연습하기 시작했다. 그 시기가< 곡성 >작업에 들어가게 된 때와 맞물린다.
< 곡성 > 에 합류한 스토리가 듣고 싶다. 학교에서 오디션이 열렸다. 다른 학생들은 영화 작업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나는 춤을 통해 무언가 도전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해 참가했다. 오디션에서 브레이크 댄스, 하우스 댄스를 추고 마지막에 요즘 연습하는 새로운 춤이라며 본브레이킹 테크닉을 선보였다. 몸을 꺾어 화살을 맞는 듯한 동작을 선보이자마자 심사를 보던 안무가의 표정이 바뀌었다. 이 영화에서는 캐릭터들이 빙의와 저주에 의해 몸이 뒤틀리는데, 내 춤이 그런 장면을 표현하기에 적절하다고 여기신 것 같다.
장면에 필요한 움직임을 만들어 보는 경험은 무대에서 춤을 추는 것과 어떻게 달랐나? 독특한 장면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 건지 늘 궁금했는데, 영화 작업을 하면서 그 과정을 체험할 수 있어 즐거웠다. 관객이 이해할 수 있는 동작을 만들기 위해 내가 가진 능력을 갈고닦는 과정 자체가 신선하게 다가왔다.
< 부산행 > 에서는 좀비 동작을 사실적으로 개발하려고 애썼다고 들었다. 누가 봐도 무용수가 짠 것 같은 리드미컬한 동작으로 크리처들의 움직임을 보여 주는 영화도 많다. 하지만< 부산행 >좀비들의 움직임을 그렇게 표현하고 싶지는 않았다. 그래서 박자를 무시하는 동작을 만들었다. 본브레이킹이라는 장르 자체가 아름다움보다 기괴한 표현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이 영화에 잘 어울릴 수 있었다.
그는 팀의 후배 안무가 전한승 (Jeon Han-seung, 田翰昇)과 함께< 방법: 재차의 > 에도 참여했다. 이 영화 속 좀비들은 제식 훈련을 하는 군인들처럼 일사불란하고 절제력 있는 동작을 선보여 매우 인상적인 장면을 연출했다.
전영은 만화나 게임 속 캐릭터에서 주로 영감을 얻는다. 때로는 일상에서도 아이디어를 얻는데, 인형 뽑기 게임에서 착안한 동작을 영화< 염력 > 의 주인공 캐릭터에 적용하기도 했다.
영화 현장에서는 감독뿐 아니라 다른 스태프들과 소통할 일이 많은데, 댄서로 활동할 때와 달리 다양한 분야의 스태프들과 협업하면서 어려운 점은 없었나? 스턴트 액션을 담당하는 무술팀과 협업할 때 고민이 많이 필요했다. 예를 들어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며 인간을 덮치는 좀비를 보여 주기 위해서는 무술팀에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게 효과적이다. 하지만 바닥에서 구르던 좀비가 기괴한 움직임으로 일어나는 모습은 안무팀이 개발한 동작으로 더 멋있게 표현할 수 있다. 해당 시퀀스에 필요한 표현을 누가 더 효과적으로 창조할 수 있는지 계속해서 조율해야 했다.
평소 만화와 게임 영상에서 영감을 많이 얻는다고 들었다. 어떤 작품들을 참고했나? 처음< 부산행 > 을 작업할 때는 미국의 TV 시리즈< 워킹 데드(The Walking Dead, 行尸走肉) > (2010~2022)와 영화< 월드워Z(World War Z, 僵尸世界大戰) > (2013)의 좋은 장면을 참고해 발전시키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후 일본의 초능력 만화< 모브 사이코 100(Mob Psycho 100, 路人超能100) > (2012~2017)을 보며< 염력 > 의 모티프를 찾았고, 프랑스의 공포 게임< 프레시피스(Précipice) > 에서 오컬트 영화< 방법: 재차의(The Cursed: Dead Man’s Prey, 謗法: 在此矣) > (김용완 감독, 2021) 속 동작들의 힌트를 얻었다. 이 외에도< 다크 소울(Dark Souls) > ,<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Sekiro: Shadows Die Twice) > ,< 다잉 라이트(Dying Light) >같은 게임도 인상적이었다. 게임 캐릭터들의 움직임에서 신선한 아이디어를 얻는다. 하지만 딸이 태어나고부터는 게임을 별로 접하지 못하고 있다. 대신 유튜브를 통해 게임 플레이 영상과 게임 VFX, CGI를 설명하는 영상을 보며 영감을 얻는다.
전영은 언젠가 은퇴할 순간을 대비하여 안무를 통해 한국 영화 발전에 일조할 수 있는 역량 있는 후배들을 키우는 데도 관심을 기울인다.
실사(實寫)와 그래픽은 무슨 차이가 있나? 만화와 게임은 영화보다 마니아적이라는 것이 강점이다. 특히 게임은 3D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람이 할 수 없을 것처럼 보이는 비현실적인 동작을 보여 주는데, 그런 모습을 볼 때마다 본브레이킹 댄서로서 도전 정신을 느낀다.
앞으로의 활동 계획은? 최근 넷플릭스의 서바이벌 예능 프로그램< 피지컬: 100(Physical: 100) > 에 출연했다. 새로운 경험이어서 무척 재미있었다. 지금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스위트 홈(Sweet Home) >시즌 2, 3과 tvN이 올해 방영 예정인 TV 드라마< 구미호뎐1938(Tale of the Nine Tailed 1938) > 을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영화 안무가로서 바라는 점이 있다면? 말로 설명만 하는 안무가는 진정한 안무가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감독이 상상하는 동작을 내 몸으로 직접 보여 줄 수 있어야 한다. 나도 언젠가는 은퇴를 할 수밖에 없을 텐데, 현재 본브레이킹을 활용해 영화에 아이디어를 줄 수 있는 인력이 많지 않다. 그래서 내 뒤를 이을 후배들을 육성하는 일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남선우(Nam Sun-woo 南璇佑)『씨네21』 기자 허동욱(Heo Dong-wuk 許東旭) 사진가